푸코에 의하면 광기의 경험에는 '거대한 분리선'이 있다. 한편에서 광기는 설명될 수 없는  어두운 미지 세계의 영역이라면, 다른 한편에서 광기는 설명될 수 있는 오류의 한 조건이다. 이러한 분리선에 따라 동일자와 타자, 초월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 공포와 통제의 구분이 이뤄진다._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p26, 해제 中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 ~ 1984)는 <광기의 역사 Histoire de la folie l' ge classique>에서 광기(狂氣)의 경험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설명될 수 없는 광기'와 '설명될 수 있는 광기'.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늘 두려움과 공포에 잠겨 있고 자신이 결코 좋아지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늘 영혼이나 몸이 위험에 처해 있거나 둘 다 위험에 처해 있어서 이리저리 도망쳐 다니므로, 안전하게 가둬두지 않으면 어디에 있을지를 알 수 없다." 이들의 마음이 어둡고 혼탁한 원인은 대부분 시커먼 체액에 있었다. 흑답즙, 또는 구워지고 태워진 자극적 황담즙의 찌꺼기가 몸을 부패시킨 탓이었다.(p128)... 이와 동시에, 우울증은 한편으로 교양 있는 계층 사이에서 뭔가 멋져 보이는 이상, 학자와 천재가 특히 잘 걸리는 것처럼 보이는 고통이 되었다._앤드루 스컬, <문명과 광기>,p130

 

 이에 대해서는 앤드루 스컬(Andrew Scull)의 <광기와 문명 Madness in Civilization>이 실마리를 제시한다. 안좋은 체액에서 비롯된 몸과 마음의 질병, 또는 신(神)에 의한 형벌이 '설명될 수 없는 광기'라면, '미쳐야 미친다(不狂不及)'처럼 하나에 마니아 성향을 보이는 천재들의 광기는 설명될 수 있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종류의 광기일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설명될 수 있다'는 말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개념으로 바꿀 수 있을까.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영국의 정신과 의들이 저마다, 그리고 분명 독립적으로, 강력한 전류를 사용해 환자들에게 커다란 고통을 가했다. 이들의 증상을 강제로 포기시키려는 카우프만 치유법이 환자들에게 행해졌다. 카우프만 치유법이란 마비된 것으로 보이는 사지에 몹시 고통스러운 전기 충격을 한 번에 몇 시간 동안 가하면서, 군사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구령들을 외치는 것이었다. 목표는 환자가 굴복해 자신의 증상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인간 도살장으로 돌아갈 준비를 마치도록 하는 것이었다._앤드루 스컬, <문명과 광기>,p420


 사회적으로 득(得)이 있기에 빈센트 반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 ~ 1890),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 ~ 1900)의 광기는 인간의 극한까지 밀어붙인 아름다운 모습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어느 누구도 이들의 광기에 대해 비난하지 않는다. 오히려, 문명에 이바지하는 광기는 숭배까지 받지만, 전쟁에서 포탄 쇼크로 상처받은 광인들은 자신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명령받는다. 정상화(正常化)라는 명분으로 행해지는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을 본다면, 푸코가 말한 '거대한 분리선'이라는 개념 역시 사회 공동체의 입장에서 바라본 이데올로기가 아닐까.

 

 이데올로기 - 그것은 사악한 일에 그럴듯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악인에게 필요한 장기간에 걸친 강인함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그 사회적인 이론은 자기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악행을 은폐하게끔 도와주고, 비난과 저주를 듣는 대신 칭찬과 존경을 듣도록 도와준다._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수용소 군도1>


 또한, '광기'의 문제를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만이 '설명될 수 있는 광기'가 지배하는 사회가 '설명될 수 없는 광기'를 합법적 권력을 사용하여 '감시와 처벌'을 행한다라는 현실이 설명된다. '정의'의 이름으로 광기어린 악(惡)의 무리에 대항하는 반대편의 광기어린 집단을 우리는 '정의의 사도'라고 부르며, 선(善)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사고들의 근원은 공리주의(功利主義, Utilitarianism)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과거 동네마다 한 명씩은 있었던 '사람 좋은 바보 형'들이 오늘날 보이지 않게 된 이유와 함께 '광기 Madness'에 대해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함을 느낀다... 

광기의 고전적 인식과 원시적 치료법은 근대적 치료법과 단절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계보학적 연계성을 갖고 있다고 푸코는 설명한다. 광인이 감시와 심판을 받고, 유폐의 대상이 되고 있는 19세기의 과학적 정신의학은 고전주의 시대의 수용소를 대체한 정신병원의 구조를 통해 결국 광인에 대한 새로운 억압형태를 나타낼 뿐이다._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p30, 해제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