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연구한 모든 역사적 궤적은, 불평등구조가 얼마나 기존 정치제체 형태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래의 삼기능사회든 19세기에 개화했던 소유자사회든, 심지어 노예제사회나 식민사회라 하더라도, 일정한 유형의 불평등주의체제를 지속시켜온 것은  바로 정치권력의 조직화 양식이다.(p1067)... 정치체제의 또다른 측면, 즉 정치활동과 선거민주주의의 자금 측면에 더욱더 관심을 기울이는 일이 시급하다.(p1068)... 요약하자면 시민 각자에게 동일한 가치의 연간 바우처를 주자는 것으로,.. 민주적 평등 바우처의 핵심 목표는 평등주의적인 참여민주주의를 고무하려는 것이다.(p1070) _토마 피게티, <자본과 이데올로기>


 전작 <21세기 자본>에서 심화되는 경제의 불평등 문제를 지적한 피게티는 <자본과 이데올로기>에서 정치를 통한 해결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번 저작을 통해 비로소 <21세기 자본> - <자본과 이데올로기>로 이어지는 피게티의 정치경제사상을 온전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마치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독일 이데올로기>를 연상시키는 이러한 조합이, 경제학계에 어느날 혜성처럼 등장한 그에게 아킬레우스가 그토록 원했던, 그리고 마르크스가 죽은 후에야 누릴 수 있었던 불멸의 명성을 보장해주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독점자본과 부의 불평등이라는 공통된 시대의 과제를 다룬 두 경제학자들의 서로 다른 처방전을 대조해 보는 것은 분명 독서를 즐겁게 하는 또다른 방법이라 생각한다. 조금 시간은 걸리겠지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2-11 1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1 10: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2 1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12 19:4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