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이 책에서 말해주고 싶은 것은 이런 고통을 겪지 않아도 충분히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사실과, 인간의 마음에는 의지력 말고도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바로 반복적인 행동 패턴, 우리의 습관 말이다._웬디 우드, 「해빗」, p42
「해빗」의 저자 웬디 우드는 책에서 인간의 의식적인 의지는 한계가 있으니, 바뀌기 위해선 비의식적인 습관을 활용할 것을 강조한다. 구체적인 계획으로 저자는 자신의 주변을 살펴보고 상환을 재배열하며 적절한 보상을 통해 습관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끝. 자기계발서의 다수가 그러하듯 나머지 부분은 ‘습관 예찬‘이기에 책의 핵심은 이 정도가 될 듯하다. 이제 남은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독자 각자의 실천뿐이다. 자기계발서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심한 비판을 해서는 안되겠지만, 몇 가지 의문을 지우기는 힘들다.
개인적으로「해빗」의 저자 주장에 의문을 갖게 되는 것은 습관화 과정이다. 저자는 인위적인 인간 의지의 한계를 지적하지만, 이를 대신한 습관화에서는 ‘보상‘이라는또다른 인위적인 개입을 주장하는데 이것은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러한 모순은 습관화의 주체를 폐쇄적인 ‘뇌‘로 한정시켜 바라보는 저자의 한계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저자는 인간 행동의 주체로서 ‘뇌‘를 설정하지만, 행동의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뇌‘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 듯하다. 마치 뇌를 기독교의 ‘신‘과 같은 절대적인 위치에 놓고 폐쇄계로서 시스템을 가정했기에 결국 ‘동기 부여를 통한 습관형성‘이라는 스키너의 주장에서 크게 나가지 못한 것이 아닐까.
우리는 전화번호를 누를 때 자주 사용하는 번호는 ‘손가락이 기억‘하는 경험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무의식적인 반응은 의식적인 인간 기관인 뇌가 아닌 몸에서 나온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서구적인 사고와 뇌과학에 기반한 습관화 연구가 선뜻 동의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습관화와 관련해서는 「해빗」보다 노자의 「도덕경」이 더 바람직한 길을 제시해 준다 생각된다.
인위적으로 행하려 하지 않고, 내버려 둔 상태(let it be)에서 별다른 감정의 기복없이 자신의 길을 간다면 그것이 습관화가 아닐런지... 「해빗」을 통해 「도덕경」의 무위를 생각하며 글을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