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석 달린 드라큘라
브램 스토커 지음, 레슬리 S. 클링거 엮음, 김일영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주석달린 드라큘라 The New Annotated Dracula>는 제목 그대로 브램 스토커(Bram Stoker, 1847 ~ 1912) 의 <드라큘라 Dracula>에 주석을 단 책으로, 필자의 세세한 주석들은 시대적으로 낯선 약 120년 전의 빅토리아 시대(Victorian era)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생생하게 당시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여름날 무더위나 식힐 요량으로 <주석달린 드라큘라>를 꺼내들고 읽었지만, 주석달린 책 덕분에 무더위에 땀을 뻘뻘 흘려야 했다. 예를 들면, 작품 내에 '코레아 Korea'라는 단어를 설명하는 문장을 살펴보자.
한 사람 더 올 걸세. '코레아 Korea'(50)에서 만난 우리의 오랜 친구 잭 수어드 말이야. 우리 둘은 술 한잔 하면서 같이 눈물도 흘리고, 하나님이 만드신 가장 고귀한 마음을 가진 어떤 여인, 가장 얻을 만한 가치가 있는 어떤 여인을 얻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친구의 건강을 진심으로 기원하며 술도 한잔 할 걸세.(p175) <주석 달린 드라큘라> 中
주석없이 읽을 경우 우리는 19세기 후반에 이미 우리나라가 유럽에 널리 알려져 있으리라고 넘겨짚기 쉽지만, 엮은이의 주석은 이러한 오해로부터 우리를 구해준다. 덕분에 우리는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지만, 이와 비례하여 책진도에도 과부하가 걸림을 실감하게 된다.
(50) 여기서 모리스가 말한 코레아(Korea)가 어느 나라를 가리키는지는 모호하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에 '코레아 Corea'로 더 잘 알려져 있던 한국(Korea)를 지칭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후반에 리버풀에서 풀항해 아시아로 항해했던 코레아(Corea)라는 배도 있었다. 레더데일은 이 명칭이 어떤 선술집이나 남자들이 모이는 클럽을 지칭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p176) <주석 달린 드라큘라> 中
또한, 주석은 문학작품에 몰입 대신 분석적으로 접근하게 만든다. 이 때문일까. 공포문학의 선조(先祖)라 할 수 있는 <드라큘라>지만, 생각만큼 무섭지 않다. 책의 내용을 영화화한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Francis Ford Coppola, 1939 ~ )의 <드라큘라 Bram Stocker's Dracula>을 최근에 봤을 때에도, 생각만큼 무섭지 않았다. 아무래도 시각적으로 더 자극적인 공포물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해서 그런것이겠지만, 이들 작품에는 후대 작품이 따라갈 수 없는 아우라(Aura)가 존재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영화의 경우 게리 올드만(Gary Leonard Oldman, 1958 ~ ), 앤소니 홉킨스( Sir Philip Anthony Hopkins, 1937 ~ )가 펼치는 연기는 지금봐도 관객을 압도하고, 다른 색깔의 공포를 선사한다.
[그림] Bram Stoker's Dracula(출처 : https://www.pinterest.es/pin/398498267010086356/)
공포문학으로서 <드라큘라>는 어떨까. 개인적으로 <드라큘라>가 주는 공포는 치밀한 묘사나 빠른 전개보다는 작품 내용 전달에서 느껴진다. 책에서는 내용이 등장인물들의 일기, 편지, 축음기에 남긴 메세지 등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독자들은 마치, 소극장에서 드라이 아이스가 놓여진 캄캄한 무대 위에서 등장인물들이 한 줄로 앉아 한 명씩 일어나 자신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느낌을 받는다. 이들은 서로 대화를 하지 않고 각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한다.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에 서로 충돌되는 내용도 많지만, 정리하는 것은 오로지 독자들의 몫이다.
때문에, 우리는 안정적으로 작품 내용을 들여다 보는 대신 혼란에 빠진 이들의 어지러운 증언만으로 내용을 짐작해야 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어두운 방안에서 흐릿한 랜턴을 이리저리 비추는 불빛 속에서 어지럽게 날아다니는 박쥐로 변한 드라큘라 백작을 찾기에 억지로 동참한다. 어느 누구도 드라큘라가 무엇을 할 수 있으며, 그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한다. 다만, 그가 보여주는 힘을 통해 어렴풋하게 그에 대해 정리해 나갈 뿐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작품 안에서 전해지는 공포가 드라큘라의 날카로운 이빨이나 기괴한 모습이 공포의 근원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 무언가가 있다는 사실이 진정한 공포임을 느끼게 된다. 영화에서는 이를 3인칭으로 객관화하여 보여준다면, 문학에서는 그렇지 않고 상상력을 자극하면서 다른 의미에서의 공포를 보여준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한계를 알 수 없는 존재가 주는 공포. 이러한 부분이 문학작품이 주는 독특한 매력이 아닐까 한다. 비슷한 종류의 공포로는 내기 볼링을 칠때 상대가 터키(Turkey)나 파이브배가(5 Begger)를 쳐서 점수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때의 심정이 있지 않을까.
또한, <주석달린 드라큘라>는 작품 해설을 통해 <드라큘라>에 대한 여러 해석들도 함께 제시한다. 작품에 담겨진 숨겨진 의미를 찾는 것도 문학만이 갖는 멋진 매력일 것이다.
스토커의 이야기는 여러 이론으로 분석할 만한 광범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켄 젤더(Ken Gelder)가 <뱀파이어 읽기 Reading the Vampire>에서 밝혔듯이, 시점이 자주 전환되는 이 작품에는, "민족학, 제국주의, 의학, 생물학적 퇴화(그리고 반대로 진화)에 대한 담론, 관상학, ... 여성주의, ... 남성주의, 신비주의 등의 다양한 분야의 담론과 함께 여러 비평 주제와 비평적 접근의 예가 나오기 때문이다.(p714) <주석 달린 드라큘라> 中
당초 리뷰에서 해당 내용을 정리해보려 했으나, 막상 해보니 일이 걷잡을 수 없을만큼 커져 별도로 정리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한다. 다만, <드라큘라>가 단순한 고전 문학 작품이 아니라 19세기 말 제국주의 시대 절정기에 당대의 갈등과 대립, 그리고 당시 싹트고 있던 새로운 사상의 관점에서도 해석이 가능한 작품이라는 것을 정리하고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