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밤 백선엽 육군 예비역 대장이 향년 100세로 별세했다.
[기사출처] '일제에 항거한 의병이 국군의 뿌리였다'... 국방부 재평가 https://www.yna.co.kr/view/AKR20190221180200503
백선엽 장군은 6.25 전쟁 당시 혁혁한 무공을 세운 장군으로 기록되었지만, 동시에 만주국 소속 군인으로 독립전쟁사에 오점을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백선엽 개인의 죽음에 대해서 인간적인 애도의 뜻을 표한다. 그렇지만, 역사적 인물로서 백선엽에 대한 평가는 다른 문제다. 한국군의 전통이 만주국군이 아니라 의병과 광복군에서 찾는다는 것이 국방부의 공식적인 평가라면 이에 맞는 조치가 이뤄져야 하는것이 아닐런지... <친일인명사전>에서 백선엽 관련 항목을 옮겨본다.
백선엽(白善燁, 1920 ~ 2020) 만주국군 중위, 간도특설대
1920년 11월 23일 평안남도 강서에서 태어났다. 1939년 3월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했다. 만주국이 초급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펑텐(奉天)에 세운 중앙육군훈련처(봉천군관학교)에 1940년 3월 입학해서 1942년 12월에 제9기로 졸업하고 견습군관을 거쳐 1943년 4월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했다. 자무쓰(佳木斯) 부대를 거쳐 간도특설대에서 근무했다. 일제 패망 당시 만주국군 중위였다.
[사진] 간도특설대 사진(출처 : https://www.nocutnews.co.kr/news/4000118)
간도특설대는 1938년 9월에 만주국 젠다오성(間島省) 성장 이범익(李範益)의 건의를 받아들여 엔지현(延吉縣) 특무기관장 겸 젠다오 지구 고문인 오고에(小越信雄) 중좌가 주도해서 만든 조선인 특수부대다. 일본인 군관 7명, 조선인 위관 9명과 조선인 사관 9명을 먼저 선발하여 옌지현 명월구에서 같은 해 12월 15일 제1기 지원병 입대식을 열었다. 모두 7기까지 모집한 간도특설대는 총인원 740여 명 중에서 하사관과 사병 전원, 그리고 군관 절반 이상이 조선인이었다. 간도특설대는 일제의 패망으로 해산할 때까지 동북항일연군과 팔로군에 대해 모두 108차례 '토공(討攻)'작전을 벌였다. 이들에게 살해된 항일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했으며, 그 밖에 많은 사람이 체포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했다.
일제가 패망하자 9월초 고향으로 돌아가 평안남도 도인민위원회 치안대장을 지냈으며 평양에 있던 조만식의 비서를 잠시 지냈다. 1945년 12월 간도특설대 출신의 김백일, 최남근 등과 함께 월남했다. 같은 달 군사영어학교에 입교해서 1946년 2월 제1기로 졸업한 뒤 육군 중위로 임관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육군본부 정보국장(대령)으로 재직하면서, 좌익을 제거하기 위한 숙군(肅軍)작업을 지휘했다. 1948년 11월, 박정희 소령이 '여순사건'이후 남로당 활동 혐의로 체포되자 구명에 앞장서 문관 신분으로 정보국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1949년 7월 제5사단장으로 부임했고, 1950년 4월부터 제1사단장으로 복무하던 중 6.25전쟁이 일어났다. 1950년 7월 준장으로 진급했고, 1951년 4월 소장으로 진급해 제1군단장을 맡았다. 1952년 1월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을 지냈다. 1953년 1월 한국군 최초로 대장으로 진급했다. 1959년 2월부터 1960년 5월까지 연합참모본부 의장을 지내고 5월말 예편했다.
1960년 7월 주중화민국 대사, 1961년 7월 주프랑스 대사, 1965년 7월 주캐나다 대사를 거쳐 1969년 10월부터 1971년 1월까지 교통부장관을 지냈다. 1973년 4월부터 1980년 3월까지 한국종합화학공업주식회사 사장을 지냈다. 2008년 5월 대한민국 건국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윈회 고문에 위촉됐다. <친일인명사전> 中
여기에 한 줄 보탠다. 2020년 7월 10일 사망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고인을 가슴이 아닌 머리에 묻으며 동시에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