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 1 - 상 - 2015년 개역판, 정치경제학비판 자본론 1
카를 마르크스 지음, 김수행 옮김 / 비봉출판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품의 가치는 그 상품에 체현되어 있는 노동량에 정비례하고 노동생산성에 반비례한다. 이제 우리는 가치의 실체를 알았다. 그것은 노동이다. 우리는 가치의 크기의 척도를 알았다. 그것은 노동시간이다.(p50) <자본론 1-(상)> 中

<자본론 1-(상)>에서 마르크스는 노동가치론을 기반으로, 자본의 확대재생산을 설명한다. 우리는 책에서 최초의 자본 M과 유통과정을 거친 자본 M‘이 동일하지 않게 된 현상을 가변자본에 의해 생산된 잉여가치가 자본가에게 귀속되고 있다는 사실과 당시의 처참한 노동현실을 알게된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혁명가 마르크스가 아닌 당대의 처참한 현실을 고발하는 고발자 마르크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본론 1-(상)> 리뷰에서는 노동가치론과 자본의 확대재생산과 노동의 착취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단순상품유통 C-M-C에서 상품의 가치는 기껏해야 그 사용가치와는 무관한 화폐형태를 취할 뿐이지만, M-C-M [자본의 유통]에서는 가치가 스스로 발전하며 스스로 운동하는 하나의 실체로 갑자기 나타난다. 상품과 화폐는 모두 그 실체에 대해 단순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가치는 이제 과정 중의 가치 value in process, 과정 중의 화폐로 되며, 이런 것으로서 가치는 자본이 된다. 가치는 유통에서 나와 다시 유통으로 들어가며, 이 순환 속에서 자신을 유지하고 증식시키며, 더 커져서 유통에서 나오고, 그리고 이 동일한 순환을 끊임없이 되풀이한다. M-M‘, 즉 ‘화폐를 낳는 화폐‘, 이것이 자본의 최초의 해설자인 중상주의자들이 자본을 묘사한 말이다.(p202) <자본론 1-(상)> 中

노동일의 길이는 12시간으로부터 14,15시간 사이였고, 야간노동이 진행되며, 식사는 그 시간이 불규칙할 뿐 아니라 대다수의 경우 인의 독이 가득찬 작업장에서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만약 단테가 이 제조업의 광경을 보았더라면 그가 상상한 처참하기 짝이 없는 지옥의 광경도 여기에 미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을 것이다.(p330) <자본론 1-(상)>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