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65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김경미 옮김 / 책세상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프리드리히 엥겔스 (Friedrich Engels, 1820 ~ 1895) 의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Der Ursprung der Familie, des Privateigentums und des Staats>은  루이스 헨리 모건 (Lewis Henry Morgan)의 <고대 사회 Ancient Society>를 계승하면서 유물론적 역사관을 발전시킨 책으로, 책세상에서 나온 문고판은 9장에 원본의 축약본이다. 축약본에서는 1장 선사시대의 문화 단계들 과 2장 가족이 담겨있다. 그렇지만, 2장이 다른 장의 4배 분량을 차지하고, 3장 이후 내용이 2장의 실증 예시임을 고려한다면 엥겔스 주장의 대강을 파악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다. 상세한 내용은 완역본을 통해 다시 살펴보도록 하되, 요약본에서는 큰 줄기를 파악하도록 하자.


 부(富)가 가족의 사적 재산으로 급속히 늘자 대우혼과 모권적 씨족에 기초한 사회는 강한 타격을 입었다. 대우혼은 가족에 새로운 요소를 가져왔다. 그것은 친어머니와 함께 공적으로 인정된 친아버지를 내세운 것이었다.(p86)... 당시 가족내의 노동 분업에 따라, 남편은 식량을 조달하고 그에 필요한 노동 수단을 만들었고, 이에 대한 소유권은 그에게 있었다. 이혼을 하게 되면, 아내가 가재도구를 보유하듯 남편은 이 노동 수단을 차지했다. 그러나 동일한 관습에 따라 자식들은 그의 재산을 상속할 수 없었다.(p86)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中


  엥겔스는 가족의 발전도식(혈연 가족 -> 푸날루아 가족 -> 대우혼 가족 -> 단혼 가족)에 따라 가족의 모습이 변화, 발전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이러한 가족 발전도식에서 '혈연 가족'과 '푸날루아 가족', '대우혼 가족'에서 공통된 특성이 모계제 母係制다. '대우혼 가족'에서 '단혼 가족'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부계제 父係制의 모습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상속재산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사망한 남자의 자식들은 그의 씨족이 아니라 어머니 씨족에 속했다. 따라서 가축 떼의 소유자가 사망한 경우, 그 가축 떼는 우선 형제자매와 자매들의 자식들, 혹은 그의 어머니의 자매들 자손에게 넘어갔을 것이다.(p87)... 그러므로 부가 늘어남에 따라 가족 내에서 남편이 아내보다 더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는 한편, 강화된 지위를 이용해 관습상의 상속 순위를 자식들에게 유리하게 완전히 바꾸려는 욕망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모권에 따른 혈통이 이어지는 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그래서 모권제가 폐기되어야만 했고, 결국 폐기되었다.(p88)...  모권의 전복은 여성의 세계사적 패배였다.(p89)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中


  생존에 위협을 받던 수렵시대와는 달리 가축과 작물을 통해 안정적인 식량을 확보하고, 생산량의 증대로 인한 가족 부의 증가는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의 변화를 촉진시킨다. 엥겔스는 일부일처제인 단혼이 포유류에서도 인간만이 가진 특성으며, 이러한 특성은 자본주의 제도 하에서 모순이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한다. 


 오늘날 부르주아적 결혼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가톨릭 국가들에서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부모들이 젊은 부르주아 아들에게 종전과 마찬가지로 부모들이 젊은 부르주아 아들에게 적당한 아내를 얻어주는데, 그 결과 당연히 일부일처제에 내재된 모순이 전면에 나타난다. 즉 남편의 왕성한 난교와 아내 측의 왕성한 간통이다.(p108)... 어느 경우든 결혼은 당사자의 계급적 위치에 의해 규정되며, 이런 점에서 언제나 정략 결혼이다.(p109)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中


 엥겔스는 이러한 부르주아적 결혼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여성의 공적 산업으로의 복귀와 개별 가족의 성격이 제거되어야 함을 본문에서 강조한다.


 가족 내에서 남편을 부르주아고, 아내는 프롤레타리아트를 대표한다.(p113)... 남편과 아내가 법적으로 온전히 동등한 권리를 가지게 될 때 비로소 현대 가족에서 아내에 대한 남편의 지배가 가지는 특성, 그리고 부부의 진정한 사회적 평등을 수립할 필요성과 방법이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그러면 여성 해방의 전제 조건은 모든 여성이 공적 산업으로 복귀하는 것이다.(p114)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中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에서 가족의 발전 도식은 칼 맑스(Karl Marx, 1818 ~ 1883)의 유명한 역사발전 5단계를 떠올리게 한다. '원시 공산주의 -> 고대 노예제 -> 중세 봉건제 -> 근대 자본주의 -> 공산주의'로 이르는 일련의 흐름이 가족 단계에서 구현되었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모든 역사의 흐름이 5단계 발전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은 것처럼, 우리는 여러 문화권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근거로 엥겔스 이론을 비판할 수 있다. 또한, 엥겔스의 역사관 속에 담긴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속에서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게 된다. 중동의 기후와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 그들의 문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것이라 여겨지지만, 일단은 여기서 멈추자.


 사실상 일부다처제는 노예제의 산물이었으며, 특별한 지위를 가진 개인들에게 국한되었다.... 일부다처제는 실사에 있어서 회교도의 질투로 가득 찬 하렘 제도보다는 훨씬 더 온당한 것으로 보인다.(p95)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 中


 정리하자면,  '국가 = 부르주아에 의한 프롤레타리아의 수탈 도구'가 맑스의 관점이며, 이보다 소공동체인 가족에 적용되는 정의가  '가족 = 남성에 의한 여성의 수탈 도구'다. 이는 엥겔스의 정의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다. 이러한 엥겔스의 관점에 대해 개인적으로는 비판적인 입장인데, 이는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집 6>에 실린 완역본 리뷰를 통해 보다 상세한 내용 정리 후 여러 문헌을 통해 페이퍼에서 하는 것으로 일단 미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