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소외양간, 돼지우리라도 널찍하고 곧아서 법도가 있지 않은 것이 없고, 장작더미나 거름구덩이까지도 모두 정밀하고 고와서 마치 그림과 같았다. 아하! 제도가 이렇게 된 뒤에라야만 비로소 ‘이용‘이라 할 수 있겠다. 이용을 한 후에야 ‘후생‘을 할 수 있고, 후생을 한 연후라야 ‘정덕‘을 할 수 있다. 쓰임을 능히 이롭게 하지 못하고서 삶을 두텁게 하는 것은 드문 경우이다. 삶이 이미 스스로 두텁게 하기에 부족하다면 어찌 자신의 덕을 바로잡을 수 있겠는가?(p69)

(의주) 만상 중에서 ‘한(씨)‘이나 ‘안(씨)‘과 같은 자들은 해마다 북경 출입하기를 마치 제집의 문과 뜰을 드나들듯 하여. 북경의 장사치들과는 서로 짝짜꿍이 맞아서 물건을 조종하고 값을 올리고 내리고 하는 것이 모두 그들의 손아귀에 달려 있다. 중국 물건의 값이 날로 오르는 이유가 실상은 그들 때문인데도, 온 나라 사람들은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오로지 역관만 탓하고 나무란다.(p59)

정묘, 병자호란의 국치 이후 백년이 지났지만, 명나라 숭정의 연호를 사용하며 청나라를 인정하지 않는 조선. 그렇지만, 그동안 경제적으로 청은 동아시아 경제의 패권국이었고 조선은 이에 의지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연암의 눈에 조선의 많은 제도는 청의 그것에 비해 개선할 점이 많아 보였다. 이러한 하부구조의 부실함을 인정치 않고, 성리학의 질서를 구현하려는 ‘북벌‘은 얼마나 비현실적이었는가를 독자들은 짐작할 수 있다.

후세에 땅의 경계를 상세하게 알지 못하고서 한사군의 땅을 모두 압록강 안으로 한정해 사실을 억지로 합치시키고 구구하게 배분하고는, 그 안에서 ‘패수‘가 어디인지 찾으려 하였다... 이는 조선의 옛 영토를 전쟁도 하지 않고 줄어들게 만든 격이다.(p84)

여기에 더해 우리 역사도 제대로 고증하지 않는 당대의 학문풍토는 우리의 상부구조 역시 빈약했음을 입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종이 더 오래살았다한들 북벌이 성공할 수 있었을 것인가. 「연암일기 1」에서 우리는 옛 영토이자 국경지대인 요동지역을 통해 북벌의 한계와 이른바 ‘강건성세 - 강희, 옹정, 건륭 -‘를 통해 전성기를 구가하는 청나라의 실상을 생생하게 접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