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바니 피코 델라 밀란돌라 군주(Frurst Giovanni Pico della randola, 1463 ~ 1463)와 더불어 르네상스 정신이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두 가지 관점에서 그렇다. 첫째로 종교적인 감정이 매우 가한 자연적인 감정, 즉 일반적인 인간들의 감정으로 되고, 그리스도교에만 있는 특별한 감정으로 되지 않는다.p16)... 다른 편으로 미란돌라는 새로운 인간상, 즉 무한한 인간상을 발전시켰다. 자기가 쓴 <인간의 존엄(위신)에 관해서>라는 책에서 그는 인간의 본질과 위대함은 무한하게 변형될 수 있는 그 능력에 있다고 보았다. 인간은 하나의 무한한 과정 속에서, 언제나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이 창조를 통해서 자기 자신을 실현한다는 것이다. 이런 것이 위대한 인간이다.(p17) <서양철학사> 中
우리에게 르네상스(Renaissance) 시기는 다른 말로 계몽(啓夢 enlightment)시대의 다른 말로 알려져 있다. 인간이 이성(理性 reason)의 빛을 비춰 중세의 어둠을 이겨내고 새로운 근대(近代)를 열었다는 관점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을 대표하는 책은 야곱 부르크하르트(Jacob Christoph Burckhardt, 1818 ~ 1897)의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Die K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부르크하르트는 우리에게 '르네상스 인 Renaissance man/재woman'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기도 한다.
예리한 문화사적인 안목이 있는 사람이라면 15세기에 들어서 완벽한 인성의 소유자들이 증가하는 현상을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최고의 인격 완성을 향한 충동이 당대의 모든 문화적인 요소에 통달한 다재다능한 품성과 만나게 되면 이탈리아에서만 볼 수 있는 '만능인(l'uomo universale)'이 탄생하게 된다... 르네상스기의 이탈리아에 이르면, 우리는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이고 고유의 완벽한 작품을 창조하면서 동시에 인간으로서도 깊은 인상을 주는 예술가들을 만나게 된다(p207)... 여기에 새로운 종류의 외부 지향적인 가치가 호응하는데, 그것은 바로 근대적 명성이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전제정치와 민주주의에 앞서서 이미 계급 사이에 평등의식이 일어나고 있었다. 명성이라는 새로운 삶의 요소를 싹틔우기 위해서는 바로 이러한 토대가 필요했던 것이다.(p213)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中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에서 저자는 15세기 이탈리아의 분열된 도시국가 상황과 완벽을 추구하려는 개인, 명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르네상스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말하는데, 이는 이미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엔트로피 Entropy: A New World View>의 저자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 1945 ~ )이 생각하는 르네상스 혁명의 발생원인은 다르다. 엔트로피 법칙의 결과로 인해 르네상스로 변화가 '어쩔 수 없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엔트로피 Entropy(열역학 제2법칙)이 의미하는 바는 이렇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일정한 구조와 가치로 시작해서 무질서한 혼돈과 낭비의 상태로 나아가며, 이 방향을 거꾸로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엔트로피란 우주 내 어떤 시스템에 존재하는 유용한 에너지가 무용한 형태로 바뀌는 척도를 내는 척도이다.(p21) <엔트로피>
역사는 엔트로피 법칙을 따른다. 일반적인 역사 교과서를 보면 중세에서 현대로 옮겨가는 것이 인간 정신의 획기적인 각성의 결과라고 되어 있다. 13세기와 16세기 사이에 서유럽은 엔트로피 분수령을 거쳤다. 중세의 에너지 기반이었던 나무는 점점 구하기 힘들어졌고 인구증가로 인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자 사람들은 그 대안으로 석탄을 발견했다. 이로 인해 서유럽의 생활방식도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다. 즉 나무에서 석탄으로의 경제기반의 변화야말로 중세에 종말을 고함과 동시에 산업혁명의 첫 장을 연 것이다(p101)... 두 날 쟁기, 3포식 농업, 말에 의한 경작 등을 통해 사람들은 같은 땅에서 더욱 많은 소출을 올렸고 넓은 땅을 경작지로 개간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p103)... 14세기 중엽이 되자 유럽인들은 엔트로피 분수령에 도달했다. 인구가 에너지의 기반을 갉아먹었고 지력은 쇠퇴했으며, 나무는 부족해서 서유럽과 북유럽 사람들은 위기에 직면했다.(p103)... 목재위기의 대안은 석탄이었다. 목재를 석탄으로 바꾼 것은 단순이 에너지 기반의 변화에 그치지 않았다. 석탄이 도입되기 전까지 유럽문화는 철저하게 나무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에너지 기반이 바뀌자 생활 방식 전체가 뿌리째 변화될 필요가 생겼다. 사는 방식, 이동방식, 복장, 행동양식, 정부의 통치방식 등 모든 것들이 안팎으로, 위아래로 뒤집혀 버린 것이다.(p105) <엔트로피> 中
중세 유럽의 풍부한 산림이 중세 사회를 떠받치는 기반이었다면, 늘어난 인구와 생산력은 이러한 기반을 붕괴시켰다. 엔트로피 법칙에 따르면 유용한 산림이 무용한 에너지로 소멸되고, 지구 생태계라는 폐쇄계(閉鎖系 closed system)안에서 한정된 자원은 고갈될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 석탄으로 대표되는 근대 사회로의 이행은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리프킨의 이러한 주장은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 ~ 1883)의 유명한 명제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는 유물사관(唯物史觀)과 결합되었을 때 우리에게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특정한 양식으로 생산적 활동을 하고 있는 특정한 개인들은 이러한 특정한 사회적 및 정치적 관계들 속으로 들어간다... 이념들, 표상들, 의식 등의 생산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물리적 활동과 물질적 교류 속에, 현실적 생활의 언어 속에 직접적으로 연루된다....한 민족의 정치, 법률, 도덕, 종교, 형이상학 등등의 언어 속에 표현되는 정신적 생산에 관해서도 같은 말이 적용된다...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는 독일 철학과는 정반대로 여기에서 우리는 땅에서 하늘로 올라간다. 우리는 현실적으로 활동하는 인간들에서 출발하며, 또한 그들의 현실적 생활 과정으로부터 이 생활 과정의 이데올로기적 반영들과 반향 反響들의 발전을 표현한다.(p202)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 선집, 독일이데올로기> 中
리프킨에 따르면 이른바 역사의 진보(進步)는 엔트로피 법칙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처절한 몸부림에 불과하다. 거창한 이성의 승리가 아닌 인간이라는 생명체가 살아남기 위한 궁여지책(窮餘之策)이 르네상스, 산업혁명을 가져왔을 뿐이라는 리프킨의 비판. 인간의 과도한 욕구(欲求)가 인류를 파멸로 이끄는 것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리프킨은 인류 역사를 칠정(七情) -기쁨(희,喜), 노여움(노,怒), 슬픔(애,哀), 두려움(구,懼), 사랑(애,愛), 싫어함(오,惡), 바람(욕, 欲) - 중 하나인 욕(慾)을 기(氣)의 부정적 발현으로 생각하는 입장과 통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세계의 유용한 에너지는 끊임없이 무용한 에너지의 형태로 분산된다 인간은 가장 먼저 손에 넣을 수 있는 에너지부터 쓰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후대의 사람들은 앞선 사람들보다 더 구하기 어려운 에너지에 의존해야 하는 것이다. 나무를 베는 것보다 석탄을 캐고 처리하는 것이 더 힘들다. 유전을 개발하고 석유를 뽑아 올리는 것은 더 어렵다.(p106)...이것이 이른바 '진보'의 참모습인 것이다.(p110) <엔트로피> 中
최근의 경제성장의 부작용인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떠오르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러한 리프킨의 비판에 수긍할 수 밖에 없다. 그렇지만,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소비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 1859 ~ 1941)의 <창조적 진화 L'e'volution Cre'atrice>은 리프킨에 대한 반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 1908 ~ 1970)의 <동기와 성격 Motivation and Personality>의 욕구 이론은 종족의 보존과 개체의 안전을 추구하는 본성 本性은 긍정해야 할 것이다.
에너지는 어디서 나오는가> 그것은 섭취된 양분에서 생긴다. 왜냐하면 양분은 일종의 폭발물로서 이것은 스스로 축적한 에너지를 발산하기 위한 불똥만을 기다릴 뿐이기 때문이다... 동물이든 식물이든 생명 전체는 그 본질적인 점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다음에는 그것을 유연하고 변형가능한 관(管) 속에 풀어 놓으려는 노력으로 나타난다. 이 관들의 끝에서 생명은 무한히 다양한 일들을 수행할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생명의 약동(엘랑 비탈)이 물질을 관통하면서 단번에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p379)... 종 種은 자신만을 생각하며 자신만을 위해 살아간다. 그로부터 자연이라는 무대에서 무수한 투쟁이 유래한다. 또한 놀랍고도 충격적인 부조화도 거기서 유래한다. 그러나 그에 대해 생명 원리 자체에 책임이 있다고 해서는 안 된다.(p380) <창조적 진화> 中
일반적으로 동기이론의 출발점이 되는 욕구는 이른바 생리적인 추동이다... 다른 모든 욕구 중에서 생리적 욕구가 가장 강력하다. 삶에서 모든 것이 극단적으로 결핍되어 있는 사람은 다른 어떤 욕구보다도 생리적 욕구에 따라서 동기화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뜻이다.(p85)... 일단 다른(상위) 욕구가 생기면 생리적인 배고픔보다는 그런 상위 욕구가 인간을 지배한다. 그리고 그 욕구가 충족되면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새로운 욕구가 생기며, 이런 과정은 계속해서 이어진다.(p88)... 생리적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새로운 욕구가 생기는데 그것을 안전 욕구라고 분류할 수 있다.(p89)<동기와 성격> 中
인간과 생명체의 본성을 긍정하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존재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우리의 욕구 또한 부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그 자체의 본성 문제가 아닌 극단적인 치우침이 문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바라봤을 때, 칠정이 악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정이라는 면에서 선/악이 모두 내재한다는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升, 1527 ~ 1572)의 주장에 더 공감하게 된다. 문제는 적도(適度), 중용(中庸)인 것이다.
주자가 말한 정 情은 기쁨, 노여움, 슬픔, 두려움, 사랑함, 미워함, 하고픔의 정으로서, <중용 中庸>에서 말한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과 같은 정입니다. 무릇 이미 마음이 있으면 사물에 감응함이 없을 수 없는 것이니, 정이 이 理와 기 氣를 겸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물에 감응하여 움직이면 선과 악이 여기에서 나뉘니, 정에 선악이 있음을 또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쁨과 노여움, 슬픔과 즐거움이 발현하여 모두 절도에 맞으면 곧 이 理이고 선 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발현하여 절도에 맞지 않으면 곧 기가 부여한 치우친 성질로 말미암아 선하지 않음이 있게 됩니다.(p481)... 칠정 七情이 비록 이와 기를 겸하지만, 이가 약하고 기가 강하여, 이가 기를 관리해도 되지 않고 악으로 쉽게 흐르기 때문에 기의 발현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발현하여 절도에 맞는 것은 이에서 발현하여 언제나 선한 것이니 사단 四端과 더불어 애초에 다르지 않습니다.(p482)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中
<중용 中庸>에서는 성(誠)을 인간의 본체로, 그리고 밝음(明)으로 나아가는 것을 성(性)으로 바라본다. 밝음(明)을 문명(文明 civilization)이나 계몽(enlightment)라 본다면 중세에서 르네상스로의 이행은 자연스러운 성(性)이라 할 것이다. 거칠게 말해서 역사의 엔트로피 법칙 또한 하나의 흐름이라 하겠다.
중용 제21장 自誠明,謂之性;自明誠謂之?。誠則明矣;明則誠矣。중용 제21장
성 誠에서부터 명 明으로 구현되어 나아가는 것을 성 性이라 일컫고, 명 明에서부터 성 誠으로 구현되어 나아가는 것을 교 敎라 일컫는다. 성 誠하면 곧 명 明해지고, 명 明하면 곧 성 誠해진다.(p533) <중용 한글 역주> 中
존재자로서의 귀신이 아닌, 형용사적 귀신, 그리고 우주만물 전체에 편재해있는 귀신, 그 귀신을 헤겔은 "가이스트 Geist"라 표현했고, 자사는 "성 誠"이라 표현한 것이다.(p534)... "명 明"은 인간의 언어와의 관련을 떠날 수 없다. 명 明을 레게는 "intelligence"라고 번역했고, 찬(Wing-tsit Chan, 陳榮㨗)은 "enlightment"라고 번역했는데 모두가 언어적 사태라고 볼 수 있다.(p535)... 본체적인 성 誠으로부터 인간이 "밝음"을 획득하는 과정을 "성 性"이라고 말한 것이다. 우리의 본성 nature은 천지의 성 誠으로부터 밝음을 획득하는 과정 process이라는 말은 "천명지위성 天命之謂性"이라는 대명제와 쉽게 연관된다.(p536) <중용 한글 역주> 中
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가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우리가 주변환경에 기대어 사는 존재임을 깨달았을 때, 우리는 에너지가 고갈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중용 제22장 惟天下至誠, 爲能盡其性; 能盡其性, 則能盡人之性; 能盡人之性, 則能盡物之性; 能盡物之性, 則可以贊天地之化育; 可以贊天地之化育, 則可以與天地參矣.
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 誠이라야 자기의 타고난 성 性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다. 자기의 타고난 성 性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게 되어야 타인의 성 性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가 있다. 타인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어야 모든 사물의 성 性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어야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다.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어야 비로소 천 天과 지 地와 더불어 온전한 일체가 되는 것이다.(p539) <중용 한글 역주> 中
저는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지구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지니는 것이야말로 뭔가 거대한 힘을 지닌 것이라고 생각하는 바입니다.(p270)... 이 지구는 실제입니다. 지구상의 생명 역시 실제이며, 오늘날 이 지구를 위험에 처하게 한 정치적 분열은 하나같이 인류의 고안품입니다.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께서 직접 내린 계명 같은 것이 결코 아닙니다. 이 작은 세계에 사는 모든 생명체들은 상호 의존적입니다.(p271) <과학적 경험의 다양성> 中
또한, 우리 각자가 각자의 자리에서 바른 식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우리 개인도 심리적 엔트로피 법칙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이야 말로 베르그송이 말한 엘랑 비탈(Elan Vital)이며, 엔트로피에 반하는 네겐트로피(negentropy)가 아닐까.
중용 제26장 故至誠無息。不息則久,久則徵。徵則悠遠。悠遠,則博厚。博厚,則高明。博厚,所以載物也。
그러므로 지성 至誠은 쉼이 없다. 쉼이 없으면 오래가고, 오래가면 징험이 드러난다. 징험이 드러나면 유원 悠遠하고, 유원하면 박후 博厚하고, 박후 하면 고명 高明하다. 박후 博厚하기 때문에 만물을 실을 수 있고, 고명 高明하기 때문에 만물을 덮을 수 있고, 유구 悠久하기 때문에 만물을 완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p564) <중용 한글 역주> 中
우리의 의식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심리적 무질서(psychic disorer)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미 마음먹었던 의도나 이를 실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런 상태로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이름을 붙이는데, 바로 고통, 공포, 불안, 분노, 질투와 같은 것들이다.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무질서들은 우리의 주의를 바람직하지 못한 여러 가지 사물에 분산시키고, 결국 우리가 원하는 활동들을 수행하지 못하게 만든다.(p80)... 심리적 엔트로피의 반대 상태는 최적 경험(optimal experience)이라고 할 수 있다... 최적 경험이란, 의식이 질서 있게 구성되고 또한 자아를 방어해야 하는 외적 위험이 없기 때문에 우리의 주의가 목표만을 위해서 자유롭게 사용될 때를 말하는 것이다. 이미 이러한 상태를 바로 플로우(flow) 경험이라고 이름 붙였다... 우리가 가능한 자주 플로우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의식을 조절하면 삶의 질은 저절로 향상되게 마련이다.(p87) <몰입 flow> 中
정리해보자. 역사의 발전은 역사 교과서에서 말하듯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처절한 생존의 기록이며, 물리 법칙에 대한 생물의 생존 투쟁이다. 오존층으로 외부로부터 보호받는 생태계라는 폐쇄된 시스템에서 우리는 자원의 고갈이라는 엔트로피 법칙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의 처지를 인식하고 올바르게 처신한다면 속도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어찌보면 당연한 결론이지만, 이 결론을 내리기 위해 정말 많은 인용을 했다는 생각을 하며 서둘러 마무리 한다.
PS. 속도를 늦춘다고 해도 대략 50억년 정도만 버티면 될 듯하다. 50억년 뒤에는 태양이 적색거성(赤色巨星, red giant)이 되어 금성이나 지구 궤도까지 팽창한다고 하니, 이때는 자원 고갈을 걱정할 필요가 없을 듯하다. 엘론 머스크가 화성 식민지를 개척한다고 하지만, 50억년 뒤에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해왕성 정도까지는 나가야 될 것 같다는 생각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