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프 왈도 에머슨 : 자연 위대한 생각 시리즈 3
랄프 왈도 에머슨 지음, 서동석 옮김 / 은행나무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삶은 두 가지 요소, 즉 힘과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우리가 삶을 달콤하고 건강하게 만들고자 한다면, 이 둘 사이의 균형이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둘 중 어느 한 요소가 과도해지면 그것이 부족한 것만큼이나 해악을 끼친다. 모든 것은 극단으로 나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좋은 성질의 것도 나쁜 요소와 섞이지 않으면 해로워진다.(p195)...  우리는 두 가지, 즉 환경과 생명을 갖고 있다. 예전에 우리는 긍정적인 힘이 전부라고 생각했다. 이제 우리는 부정적인 힘, 즉 환경이 그 반쪽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연은 압제적인 환경이다... 자연의 책자는 운명의 책자이다.(p231) <자연> 中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1803 ~ 1882)의 <자연 Nature>에서 자연(自然)은 긍정적인 존재가 아닌 부정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존재인 자연이 인간에게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리뷰에서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에머슨의 답(答)을 찾아보려 한다. 


 에머슨에게 자연은 감각적이고, 도덕적이며, 종교적인 세계, 인과율에 따라 움직이는 부정적인 세계다.


  자연은 인간의 보다 고상한 욕구, 즉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마음을 채워 준다.(p23)... 

 모든 만물은 도덕적이다. 그 무한한 변화 속에서 영적인 본성과 끊임없이 관계 맺고 있다. 따라서 자연은 형태와 색깔과 움직임으로 찬란해진다... 자연은 언제나 종교의 동맹자이며, 자연의 모든 화려함과 풍부함을 종교적 감정에 부여한다.(p49) <자연> 中


 만물의 주변과 변경에 이르기까지 자연의 모든 왕국을 통해 자연은 그 근원이 되는 원인에 충실하다. 자연은 언제나 정신을 말한다. 자연은 절대적인 것을 암시한다. 자연은 영원한 결과이다. 자연은 우리 뒤의 태양을 언제나 가리키는 위대한 그림자이다.(p69) <자연> 中


 이에 반해, 인간은 이성적이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존재이며, 원인을 탐구하는 존재다. 에머슨에게 인간이 '빛의 자녀'라면, 자연은 이의 그림자에 해당한다. 빛의 밝은 면이 긍정적인 인간이라면, 어두운 그림자는 부정적인 자연에 속한다. 에머슨은 이처럼 부정적인 자연이 인간에게 의미있는 이유는 긍정과 부정의 조합을 통해 인간의 완성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라 설명한다.


 인간은 세상의 주인이다. 그것은 인간이 가장 영민한 거주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이 세상의 머리이자 가슴이며 크고 작은 모든 것에서, 모든 산의 지층에서, 관찰과 분석에 의해 드러나는 색깔의 모든 새로운 법칙과 천문학적 사실 또는 대기의 영향 속에서 자신의 일면을 발견하기 때문이다.(p77) <자연> 中


 지적으로 고려하여 우리가 이성이라고 부르는 것을 자연과의 관계에서 고려할 때, 그것을 우리는 정신이라 부른다. 정신은 창조자이다. 정신은 그 자체에 생명을 지니고 있다.(p35)... 생각과 그 적절한 상징을 연결하여 말할 수 있는 인간의 힘은 그 성격의 단순함, 즉 진리를 사랑하는 마음과 온전히 그것을 전하고자 하는 욕망에 달려 있다.(p37) <자연> 中


 보다 세부적으로 인간 삶은 이성과 감성의 조화, 진리와 덕의 조화(harmony)로 완성되며. 에머슨은 부정적인 면의 제거가 아닌 부정적인 것과의 혼합을 통해서 인간은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에머슨은 이러한 아름다움이 잘 표현된 것이 예술(藝術)이라고 설명한다. 그렇기에, 에머슨은 예술의 아름다움(美)이 단순한 자연의 모방이나 인간 정신의 구현이 아닌 자연과 인간 정신의 혼합으로 완성되는 것으로 인식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 진리와 덕을 사랑하는 마음은 눈을 정화시켜 경전의 내용을 이해하게 만들 것이다. 점차 우리는 영원한 자연 만물의 원초적 의미를 알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세계는 우리에게 한 권의 펼쳐진 책이 될 것이며, 모든 형상은 감추어진 생명과 궁극의 원인을 드러낼 것이다.(p43) <자연> 中


 자연의 아름다움은 마음속에서 재현되는데, 이것은 메마른 관찰을 위해서가 아니라 새로운 창조를 위해서이다. 예술 작품의 생산은 인간성의 신비에 한 줄기 빛을 던진다. 예술 작품은 세계의 추상이거나 요약이다. 그것은 축소화된 자연의 결과이거나 표현이다... 예술은 인간이라는 증류기를 통과한 또 다른 자연이다. 세상은 이처럼 영혼이 지닌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이 요소를 나는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부른다.(p31) <자연> 中


 '미 美'로서 보이고 느껴지는 자연의 이러한 아름다움은 최소한의 부분일 뿐이다... 미를 완성하려면 보다 높은, 말하자면 정신적인 요소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유약한 성질을 배제하고 우리가 사랑할 수 있는 높고 신성한 아름다움은 인간의 의지가 결합될 때 발견되는 것이다. 아름다움은 신이 미덕에 새긴 표시다.(p27) <자연> 中


 그렇다면, 우리는 자연과 하나된 궁극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완성된 인간이 되기 위해 어떤 삶의 자세를 지녀야 하는가. 에머슨은 이에 대해 순응과 일관성을 피하고, 자신 내면의 소리(神聲)에 귀를 기울이며 현재를 살아갈 것을 권유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살펴본다면 에머슨의 자연사상은 중용(中庸) 또는 적도(適度) 사상이라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진한 포도주를 희석시키기 위해 사용한 물처럼, 에머슨에게 자연은 그런 존재에 불과하지 않았을까.


[사진] The Symposium in Ancient Greece(출처 : https://www.metmuseum.org/toah/hd/symp/hd_symp.htm)


 그대 자신을 믿어라. 신의 섭리가 그대를 위해 마련한 그 위치, 그대의 동시대인들이 있는 사회, 세상사의 관계를 받아들여라.(p92)... 인간이 되고자 한다면 누구나 비순응주의자가 되어야 한다. 불멸의 영예를 얻고자 하는 자는 선이라는 이름에 방해받지 말고, 그것이 과연 선한 것인지 탐구해야 한다. 결국 자신의 마음의 고결함 이외에 신성한 것은 없다.(p95) <자연> 中


 삶 자체는 힘과 형식의 혼합물이고, 둘 중 어느 하나가 조금이라도 과도해지는 걸 견딜 수 없는 법이다. 이 순간을 완성하고, 인생행로의 모든 걸음마다 삶의 목적을 발견하며, 가능한 한 좋은 시간을 많이 갖는 것이 지혜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순간에 있으니 지금 이 순간을 최대한 활용하자.(p190) <자연> 中


 이처럼 <자연>에 나타난 에머슨의 자연관(自然觀)은 순수한 자연주의자 또는 환경주의자(Environmentalism)의 사상으로 보기 어렵다. 그런 면에서 에머슨의 자연 사상은 <주역(周易) 계사전> 의 생생지위역(生生之謂易) 또는 노자(老子, BC 601 ? ~ ?) <도덕경 道德經>에서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받는다.  에머슨의 <자연> 안에서도 우리는 '허(虛)'를 발견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에머슨의 '허'를 통해서 수학에서 '허수(imaginary number)'와 같은 느낌을 받는다. 에머슨에게 자연은 이성을 통해서 인식되었을 때 의미가 부여될 수 있기에 수학의 '허'가 이에 해당한다 여겨진다. 또한, 허수가 '실수(real number)'로 표현할 수 없는 해를 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인 것처럼, 에머슨에게 자연은 스스로 설 수 없는 존재라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인간에게 봉사하는 데 있어서 자연은 재료일 뿐만 아니라 과정이며 또한 결과이기도 하다. 모든 부분들이 인간의 이익을 위해 끊임없이 서로의 일손이 되어 일하고 있다... 그리하여 신의 자비는 끊임없이 순환하면서 인간을 양육한다. 유용한 예술이란 바로 그 자연의 혜택들을 인간의 재치로 재생산하거나 새로이 조합한 것들이다.(p20)... 모든 보조물들의 도움으로, 노아의 시대로부터 나폴레옹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표면은 얼마나 변했던가!... 인간이 먹는 것은, 단지 먹기 위함이 아니라 일하기 위함이다.(p21) <자연> 中


 이러한 면에서 에머슨의 자연은 수동적 존재다. 그의 사상에서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는 신의 뜻과 인간의 의지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개발주의자의 사상에 가깝지 않을까. 때문에, 개인적으로 그의 사상 속에서 말보로 맨(Marlboro Man)으로 대표되는 서부개척가들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 또는 대상화한 에머슨의 자연주의 사상은 21세기 문제를 해결하는 사상으로서는 한계를 느낀다.  에머슨의 <자연>을 통해 자연을 좋아하지만, 자연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지는 못했던 한 사상가의 모습과 함께 20세기 미국의 정신을 확인하며 리뷰를 마무리한다.


[그림] Marlboro Man(출처 :  https://www.compulsivecontents.com/detail-event/remembering-the-marlboro-man/)


  인간은 기대어 선 버드나무가 아니고, 스스로를 독립시킬 수 있고 독립시켜야만 하며, 자기 신뢰를 실천함으로써 새로운 힘이 생겨날 것이다. 인간은 신의 말씀이 육신으로 나타난 것이고, 여러 민족들을 치유하기 위해 태어났으며, 인간은 동정을 부끄럽게 여겨야 한다.(p120) <자연>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