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의한 육지의 분리가 가장 중요하다. 분리의 영향은 분리의 정도에 달려 있다. 관건은 분리가 완전한지 아니면 불완전한지, 따라서 육지가 섬의 형태인지 아니면 반도의 형태인지 하는 것이다. 또한 관건이 되는 것은 분리하는 바다의 폭이다. 왜냐하면 협만이 좁은 경우에는 생물이 뛰어넘을 수 있으며, 이는 기후학적 영향을 거의 미칠 수 없다. 이런 것들은 그 원인을 지질적 현대에 두고 있는 현상, 따라서 기후와 인간 생활에 대해서는 큰 의의가 없다. 하지만 이것은 동/식물의 분포에 대해서는 중요한데, 이는 종과 속 그리고 부분적으로 이른 과거로 그 기원을 소급할 수 있으며, 현재는 바다인 육지상에서 빈번히 이동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p258) <지리학2> 中


[사진] Mediterranean Lingua Franca(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Mediterranean_Lingua_Franca) 


 알프레트 헤트너(Alfred Hettner, 1859 ~ 1941)는 <지리학 Die Geographie: Ihre Geschichte, Ihr Wesen und Ihre Methoden>에서 지리의 자연 분류에서 바다와 육지의 관계가 자연환경과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한 위의 이론은 기후가 생태계에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간 생활에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없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헤트너의 이론은 역사(歷史)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이번 페이퍼에서는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 1902 ~ 1985)과 데이비드 아불라피아(David Abulafia, 1949 ~ )를 통해 이를 살펴보도록 하자. 

 

 우리는 지중해 지역의 삶을 포근하고 편안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짙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매력적인 풍경에 의한 착각이다. 경작지는 부족한 반면 메마르고 척박한 산들이 사방에 널려 있다. 강우량도 고르지 못하다... 이밖에도 지중해의 물은 항상 따뜻해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섭씨 13도를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자원이 풍부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p68)... 지중해의 생명선은 대서양과 연결된 좁은 해협이었다. 만약 제방을 쌓아 지브롤터 해협을 막아버린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지중해는 십중팔구 염수호로 변할 것이고, 그 안의 모든 생명체가 사라지고 말 것이다.(p69) <지중해의 기억> 中


 패르낭 브로델은 유고작 <지중해의 기억 Les-Memories de la Mediterranee>에서 지중해의 역사를 기후, 지리 등 자연환경과 연관지어 분석하는데 반해, 데이비드 아불라피아는 이러한 브로델의 관점을 비판하며, 인간의 역할을 보다 강조한다.

 

 브로델의 접근 방법에는 '모든 변화는 느리게 진행된다'는 것과 '인간은 자기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운명에 속박되어 있다'는 사상이 내포되어 있다. 이 책은 두 가지 관점 모두에 반대되는입장을 취한다. 특정 시대를 고찰하여 지중해의 특성을 파악한 브로델의 수평적 역사 서술 방식을 지양하고, 시대에 따른 지중해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는 수직적 역사 서술 방식을 지향하려는 것이다.(p24) <위대한 바다> 中


 이 책도 바람이나 해류의 중요성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보다는 지중해를 넘나든 인간들의 경험이나, 바다를 생계 수단으로 삼은 항구 도시 및 섬들에 거주했던 인간의 삶을 전면에 부각시키려는 것뿐이다. 인간의 힘은 브로델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던 것보다 한층 더 지중해 역사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p28)... 이렇듯 룰렛의 결과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지만, 회전 바퀴를 돌리는 것은 결국 인간의 손이었다.(p30) <위대한 바다> 中


 이러한 저자의 입장이 반영되어 <위대한 바다>에서 자연의 변화는 역사의 사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아불라피아의 지중해 역사에서 변수(變數)는 인간이고, 자연은 상수(常數 constant)다. 그런 면에서 <위대한 바다>는 의지를 가진 위대한 인간이 활동한 바다를 그려내는 역사책이라 할 것이다.


 브로델은 정치사를 '사건들(events)'로 치부하고 경멸에 가까운 조소를 보였다. 사건보다는 지형이 지중해 유역 내에 일어나는 일을 결정짓는 요소라고 보았다. 그는 지중해의 진정한 중요성은 다른 곳, 예컨대 지중해를 둘러싼 육지 지형과, 지중해를 오가는 사람들이 항로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바람과 해류 등 지중해 자체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p24) <위대한 바다> 中


 그렇지만, 서문의 브로델 비판에도 불구하고 문명(文明 civilization)의 초창기 역사에서 자연의 역할을 빼놓을 수는 없다. 초창기 풍부한 식량과 자원이 있는 곳에 사람들이 모여들고 교역이 일어났다는 사실은 <위대한 바다>에서도 피해갈 수 없는 사건이다. 이런 점에서 바라본다면 브로델의 관점을 비판하고 인간의 역사를 강조한 아불라피아의 역사관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기원전 5000년 무렵의 이른바 중석기 시대, 도구를 만드는 기술은 착실히 발전하고 있었지만 축산, 도기, 곡물 경작은 아직 출현하지 않았던 과도기에는 시칠리아 섬의 선사 시대인들의 식량이 도미류와 농어류 같은 바다의 산물로 바뀌었다.(p38) <위대한 바다> 中


 수백 년 동안 큰 변화가 없던 몰타 섬과 달리 시칠리아 섬은 극심한 변화를 겪었다. 각종 자원이 풍부한 데다 접근하기 쉬운 커다란 땅덩이다 보니 그런 결과가 초래된 것이다. 리피리 제도에 흑요석이 흔한 것도 시칠리아 섬으로 사람들이 모여든 요인이었다.(p46)... 모르긴 해도 토로이는 아나톨리아 내륙 및 흑해와의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주석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을 것이다.(p53) <위대한 바다> 中


  이러한 비판에 대해 아불라피아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초창기에 인간은 자연의 영향을 받았지만, 문명이 발달하면서 자연의 역할은 점차 비중이 약해졌고, 이제는 무시할 수준에 이르렀다는.


  그렇지만. 이에 대해서도 반론이 가능하다.  문명 초기 좋은 기후와 환경이 위치한 곳에 이미 인류 문명의 포석이 끝난 상태에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변지역으로 확장이 일어났다고 본다면, 결국 인류 문명은 부처님 손바닥 안의 손오공 같은 존재가 아닐런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한 문명과 이의 확산 발전은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 1772 ~1823)의 차액지대론으로 보충설명한다면 반론에 대한 답이 되지 않을까. 정리하자면, 지중해 역사에서 자연(또는 기후)의 영향을 배제한<위대한 바다>의 아부라피아 관점보다는 이를 통해 역사를 설명하고자 한<지중해의 기억>의 브로델 관점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한 나라에 사람이 처음 정착할 때는, 기름지고 비옥한 토지가 풍부해 매우 적은 부분만이 현재 인구의 부양을 위해 경작되면 되거나, 아니면 그 인구가 지배할 수 있는 자본으로써 실제로 경작될 수 있기 때문에 지대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아직 점유되지 않은 토지가 풍부하고 따라서 누구나 원하는 대로 그것을 경작하기로 선택할 수 있는 때에는 아무도 토지의 사용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p71)... 사회가 발전하면서 2급 비옥도의 토지가 경작되면 1급 질의 토지에서 즉각 지대가 발생하며, 이 지대의 크기는 이 두 종류의 질적 차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p72) <정치경제학과 과세의 원리에 대하여> 中


 보나파르트는 처음부터 몰타 섬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1797년에 그가 아직 총재 정부에서 일하고 있을 때, "우리의 주 관심사는 몰타 섬"이라고 하면서 우호적인 기사단장을 확보할 필요성을 역설하는 글을 상사들에게 보낸 것도 그 점을 말해 준다... 나무와 식수가 부족한 것을 모르고 보급 기지로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실수를 범하기는 했지만, 나폴레옹의 이 견해는 매우 정확한 판단이었다.(p773) <위대한 바다> 中


 또한, 개인적으로 브로델의 역사관에 더 끌리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는데, 그것은 역사의 변인(變因)을 외부에 두었을 때 역사의 보편성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다른 환경에서  문명의 차이가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가 문명으로 표현되었다는 브로델의 관점과는 달리, 아불라피아와 같이 인간(또는 문명) 속에서 역사의 변인을 찾는다면, 자칫 선민(選民)사상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심정적으로도 별로 끌리지 않는다. (실제로 아불라피아는 유대계 영국인이다.) 


 사실 지중해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지구에서 가장 큰 땅덩어리에 갇혀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유럽-아프리카-아시아가 하나로 연결된 거대한 대륙에 갇혀 있는 꼴이다. 이 거대한 땅덩어리는 그 자체로 지구라고 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상품과 인간이 교류되었던 땅이기도 하다. 인류는 이렇게 세 대륙이 하나로 연결된 땅에서 역사라는 드라마를 공연해왔다. 또한 이 땅은 중대한 교환이 이루어진 곳이기도 하다.(p73) <지중해의 기억> 中


 '지중해의 정체성'을 규정하거나 지중해의 어떤 물리적 특성이 인간의 경험을 형성했다고 주장하기 위해 지중해 역사를 몇 가지 공통 요소로 묶으려 하는 것은 일견 그럴듯해 보인다. 하지만 지중해의 기본적 통합성을 주장하려는 그런 시도야말로 지중해 유역과 섬들에 거주했거나 또는 지중해를 오간 사람들을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통합성을 찾기보다는 다양성에 주목해야 한다.(p947)... 지중해 역사의 통합성은 역설적이게도 변화무쌍한 가변성, 상인과 유랑민들의 이산, 오래도록 고생에 시달린 이븐 주바이르나 펠리스 파브기 같이 겨울이 닥쳐 해상에서 발이 묶이지 않기 위해 서둘러 바다를 건너려 한 사람들 사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p956) <위대한 바다> 中


 개별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어느 변수가 역사의 절대 변수인가를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 역사의 시간에서 어느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는가는 말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에 대한 답으로 우리는 <지중해의 기억>애서 '자연과 인간이 만들어간 역사'와 <위대한 바다>는 '독립한 인간의 역사'를 확인하게 된다. 어느 역사가의 관점에 동의하는가는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우리의 시야를 넓게 해준다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지중해는 역사 초기부터 이러한 불균형, 즉 자신의 운명 전체를 결정한 원동력의 목격자였다. 우리가 이미 언급한 남분의 차이 그리고 수준의 차이를 보이면서 마침내는 문명간의 뚜렷한 갈등으로 비화된 동서의 차이가 바로 지중해의 운명을 결정한 원인이었다.(p115) <지중해의 기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