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많이 모인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적게 있다고 나쁜 것도 아니다. 모인 사람들이 정을 나누며 서로 아끼고 살아가는 삶터가 바로 작은 곳이다. 큰 학교라고 서로 정을 나누며 살 수 없는 것도 아니고, 꼭 작은 학교라고 모든 사람이 정겹게 살아가는 것도 아니다. ‘작은 곳‘이란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가까운 정도를 말한다. 가까움은 함께 사는 사람들이 서로의 작은 일, 작은 것에 주목할 때 살아난다.(p19)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中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는 폐교 위기에 몰렸던 시골의 여러 학교들이 혁신 학교의 모델로 거듭 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농촌 인구가 줄면서 자연스럽게 학생수100명 이하의 학교는 폐교의 수순을 밟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요즘. ‘작은 곳‘이기 때문에 줄 수 있는 무엇인가를 찾아내고 노력하는 이들을 우리는 책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보여지는 혁신 학교의 모습속에서  일찍이 1970년대에 인간 중심 경제를 주장한 슈마허(Ernst Friedrich "Fritz" Schumacher, 1911 ~ 1977)의 「작은 것이 아름답다」의 주장을 발견하게 된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를 통해 저자 슈마허는 대규모 조직을 활용한 대량 생산의 시대에서 환경 오염과 과도한 자원 이용의 위험을 경고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동양 사상인 ‘불교경제학‘과 ‘교육‘을 본문에서 제시하고 있다.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가 소규모 집단이 생존을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가 긴밀한 관계를 맺어가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면,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산업화 시대 대규모 집단이 생존을 위해 소집단으로 분화할 것을 요구한다. 전자는 소규모 집단에서 대규모 집단으로 성장하는 것이 지향점인 반면, 후자는 대규모 집단에서 소규모 집단으로 줄어드는 것을 지향한다. 이처럼 출발점과 지향점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이들 모두 '작은 곳'에서 ‘인간‘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 인간의 모습은 크고 높은 곳이 아닌 작고 낮은 곳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아닌런지... 마침 '작음'와 관련하여 오래전 읽었던 시집 제목이 떠오른다.

 

  1992년 당시 인기있었던 시집 중 칼릴 지브란의 「보여줄 수 있는 사랑은 아주 작습니다」가 있었다. 한참 감수성이 예민했던 때 읽었던 시집이라 제목 말고는 잘 기억나지 않지만 제목만큼은 지금까지 기억할 만큼 인상적이었다.

 

 '작음'으로 연결되는 오늘 책 속에서 삶의 의미를 정리해본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 「보여줄 수 있는 사랑은 아주 작습니다」라는 말 속에서 작은 것에 우리 삶의 의미가 있음을 깨닫고,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 과 같이 작은 것에서 길(道)을 발견하는 것이 우리가 힘써야 할 바가 아닐런지 생각하며 이번 페이퍼를 갈무리 한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5-30 1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5-30 13: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15: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18: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2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2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23: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7 0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21: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6 23: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6-17 00:0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