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6 아이 2024.9.20.
오래도록 ‘아이·어른’ 두 마디로 바라보았다. 아직 철이 들지 않을 적에는 누구나 ‘아이’요, 바야흐로 철이 들며 거듭날 적에는 ‘어른’이라 여겼다. 나이로 ‘아이·어른’을 가르지 않았다. 두 이름으로 가르는 잣대는 언제나 ‘철’ 하나이다. 봄·여름·가을·겨울은 네 가지 철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철’을 안다면 해와 달과 날이 흐르는 길을 안다는 뜻이고, 이때에는 짚고 살피고 헤아리고 생각하는 매무새로 가리고 고르고 나누면서 읽고 아는 빛이 있는 셈이다. 봄인데 가을로 잘못 여긴다면 철이 없다. 겨울인데 여름타령을 하면 철을 모른다. 바다에서 멧나물을 찾으니 철이 없고, 숲에서 바닷고기를 바라니 철을 모른다. 아이란, 천천히 철을 돌아보면서 찬찬히 배우는 때요 몸이자 삶이다. 어른이란, 차분히 철을 짚고 헤아리면서 참하게 익혀서 누구한테나 펼 줄 아는 몸짓이요 살림이다. 일찍 철이 드는 사람이라면, 일찍 살림을 알아보고서 스스로 서기에 ‘어른’이며, ‘어른스럽다’고 본다. 나이가 한참 들었어도 철이 안 든다면 ‘어른’이 아닌 ‘아이’로 치고, ‘아이처럼’ 군다고 나무란다. 요즈음은 ‘아이’라는 낱말을 잘 안 쓰고 으레 ‘어린이’라는 낱말을 널리 쓰는데, ‘어린이 = 어리다 + -이’인 얼개이고, “나이가 적은 사람”이나 “나이가 적은 탓에 어리숙하거나 어리석은 사람”이라는 밑뜻이 흐른다. 나이로 사람을 가를 적에는 세 가지이니, ‘어린이·젊은이·늙은이’이다. 나이로 사람을 가를 적에는, 나이가 적어서 어리석다고 여기거나, 다리를 절듯 여기저기 마구 부딪힌다고 여기거나, 이제 늙고 낡고 삭아서 죽어간다고 여긴다. ‘나이’로 사람을 볼 적에는 철을 등진다. ‘아이’란 낱말을 차츰 안 쓰면서 오히려 우리 스스로 철을 잊고 잃는 어리석은 길로 가는 듯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