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찜질바다 책판구경 (2024.9.7.)

― 부산 〈광안바다 부키스트〉



  인천에서 나고자라는 동안 바다를 으레 찾아가서 하염없이 뻘과 바다금을 바라보았습니다. 인천내기한테 바다란, 뻘과 미세기입니다. 썰물을 따라서 한나절을 걸어도 끝이 닿지 않는 기나긴 뻘밭인데, 드디어 썰물에 먼먼 끝까지 걸어서 닿았으면, 그때부터 거꾸로 달리기를 합니다. 밀물은 사람 걸음새보다 빠르거든요.


  전남 고흥도 뻘이 제법 넓지만 인천만 하지는 않습니다. 어마어마한 뻘밭인 인천인데, 이 나라는 아름바다에 그만 하늘나루를 때려박았습니다. 하늘나루를 때려박은 옛뻘 언저리로는 다시 찾아가지 않았습니다.


  부산 바다는 늘 찰랑입니다. 포항바다도 강릉바다도 늘 찰랑찰랑일 테지요. 처음 부산바다를 보고는 “우리나라가 좁은 듯하지만 넓구나” 싶더군요. 조금만 하늬녘으로 가도 뻘이 나오지만, 거꾸로 조금만 새녘으로 가도 찰랑바다입니다.


  부산 광안바다에서 〈부키스트〉를 연다고 합니다. 9월 8일 16시에 이야기꽃을 펴야 하기에 이날 맞추어 마실할까 하다가 하루 일찍 움직입니다. 마침 흙날이라서 순천서 부산 가는 시외버스에 빈자리가 드뭅니다. 용케 자리 하나 얻습니다. 밤새 여러 집일을 뚝딱뚝딱 하고서 졸린 몸으로 달려갑니다.


  왜 ‘부키스트’처럼 어설피 영어놀음을 할까 싶었는데, ‘부-’로 앞말을 잇고 싶은 듯하더군요. 그러면 〈광안바다 부지런히〉라든지 〈광안바다 부쩍부쩍〉이라든지 〈광안바다 부드럼꽃〉처럼 ‘부-’를 넣은 부드럼말씨를 헤아릴 만합니다. 영어를 쓰기에 안 나쁘되, 참으로 엉성합니다. 수영구 벼슬꾼은 길장사를 해본 적 있을까요? 아마 없을 테지요. 길장사를 아침부터 밤까지 한 적 있을까요? 틀림없이 없겠지요. 덩그러니 천막 하나에 책걸상 한둘을 내어주고서 길바닥에 서거나 앉아서 하염없이 사람구경을 하면서, 또 바닷가에서 몽실몽실 퍼지는 담배내음을 억지로 맡으면서, 또 시끌벅적 소리에 시달리면서, 이런 어지럼판에서 책판을 꾸리라고 하니, 그야말로 딱하고 안쓰럽고 쓸쓸합니다.


  아니, 부산시장과 수영구청장과 구의원과 국회의원부터 “책을 안 읽으”니까 이 따위로 허접하게 판을 벌인다고 느낍니다. 9월 7일 아침부터 밤까지 자리를 지켰습니다만, 어느 벼슬꾼도 코빼기조차 안 비치더군요. “책 읽는 부산”이기를 바란다면, 이놈이건 저놈이건 벼슬꾼(공무원·공직자)과 길잡이(교사)부터 책판으로 더위를 잊으면서 찾아와서 한 손에 책 한 자락씩 쥘 노릇입니다. 무엇보다도 잘난책(베스트셀러)이 아니라 마을책(지역도서)부터 천천히 읽고서, 그분들부터 느낌글(독후감)을 쓸 때라야, 엉터리로 뒤틀린 나라꼴이 조금은 반듯하게 서리라 봅니다.


ㅅㄴㄹ


《소요북구》(김정곤, 빨간집, 2004.9.5.)

《금정산 식물일기》(하윤, 공공북스, 2004.9.6.)

《책의 몸을 즐기는 법》(영영, 공공북스, 2021.5.22.첫/2024.8.15.2벌)

《세상의 변화를 읽는 50책》(조영란 엮음, 국회도서관, 2003.12.15.)

《책을 읽다가 잠이 들면 좋은 일이 일어날》(박솔뫼, 위즈덤하우스, 2004.7.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9.5. 나한테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나한테는 누가 이웃일까 하고 돌아봅니다. 담벼락을 맞댄 옆집이 이웃일까요? 나고자란 고장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이웃일까요? 책숲이웃으로 지내는 숱한 사람들이 이름 그대로 이웃일까요? 내가 걸어가는 숲길을 지켜보면서 마음을 띄우는 사람이 이웃일까요?


  나한테는 새와 풀꽃나무와 해바람비와 돌흙나무가 이웃이라고 여깁니다. 나한테는 뭇사람 누구나 “이웃 사이”에 있는 숨결이라고 느낍니다. 나한테는 풀벌레하고 벌나비가 이웃이요, 잠자리하고 매미가 이웃이며, 거미와 개구리와 구렁이가 이웃입니다. 나한테는 별과 바람과 바다가 이웃입니다. 나한테는 이 여러 이웃을 이웃으로 느끼는 누구나 이웃입니다.


  낫으로 풀을 쳐야 할 때가 있고, 나무를 땔감으로 삼거나 책걸상을 짜거나 종이로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나무를 여러 길로 다루거나 쓸 일이 아니라면, 모든 나무는 그곳에서 그대로 아름드리로 우거질 노릇이라고 봅니다. 이웃이거든요.


  이웃이란, 내가 선 이곳에서 잇는 숨결이라는 뜻입니다. 서로 이야기를 하기에 이웃입니다. 별이라는 이웃을 함께 바라보기에 이웃이요, 나비춤을 나란히 지켜볼 줄 알기에 이웃입니다.


  먼먼 옛날부터 모든 사람은 누가 이웃인 줄 어질고 슬기롭고 참하게 알고 나누었다고 느낍니다. 이제 웬만한 사람들은 누가 이웃인 줄 쓸쓸히 잊고 안쓰럽게 잃고 어리석게 등돌린다고 느낍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온천 溫泉


 온천에라도 들러 → 포근샘에라도 들러 / 샘꽃에라도 들러

 온천광광을 계획하는 중이면 → 꽃샘마실을 생각한다면 / 푸근샘길을 살핀다면


  ‘온천(溫泉)’은 “1. 온천에서 목욕할 수 있게 설비가 된 장소. 또는 온천이 있는 곳 = 온천장 2. [지구] 지열에 의하여 지하수가 그 지역의 평균 기온 이상으로 데워져 솟아 나오는 샘. 온천의 온도 한계는 일정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5℃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여러 가지 광물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의료에 효과가 있다 ≒ 열천·영천·온정·탕천”을 가리킨다고 하는군요. ‘더운곳·더운데·더운터’나 ‘더운샘·더운씻이·뜨끈샘·뜨끈씻이’로 손볼 만합니다. ‘포근샘·푸근샘·포근씻이·푸근씻이’로 손볼 수 있고, ‘불가마·불솥’이나 ‘찜질샘·찜질집·찜질채·찜질칸‘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수수하게 ‘샘·샘물·샘길’이나 ‘샘빛·샘꽃·샘줄기’라 할 수 있어요. 새롭게 ‘꽃샘·꽃샘물·꽃샘빛·꽃샘길·꽃샘줄기’ 같은 낱말을 여미어도 어울려요. ㅅㄴㄹ



온천의 여명은 비록 산에 가려져 다소 늦지만

→ 더운샘은 비록 메에 가려 좀 늦게 동트지만

→ 뜨끈샘은 비록 메에 가려 살짝 늦게 밝지만

《유키×츠바사 8》(타카하시 신/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4) 137쪽


각종 노천온천에 그 지역의 신선한 재료로 만든 맛있는 요리가 나오고

→ 온갖 마당포근샘에 그곳 싱싱한 먹을거리로 지은 맛있는 밥이 나오고

→ 여러 한뎃푸근샘에 그 고장 싱싱한 먹을거리로 지은 맛밥이 나오고

《경계의 린네 23》(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 98쪽


이전에 온천 지역으로 떠들썩했다는 것이 거짓말인 것처럼 지역 전체의 활동이 정체해 버렸다

→ 예전에 샘마을로 떠들썩하던 모습이 거짓말인 듯 마을이 모두 가라앉아 버렸다

→ 한때 더운샘마을로 떠들썩하던 모습이 거짓말인 듯 마을이 모두 멈추어 버렸다

《동네서점》(다구치 미키토/홍성민 옮김, 펄북스, 2016) 39쪽


온천의 노천탕에 몸을 담그고

→ 트인포근샘에 몸을 담그고

→ 한뎃찜질샘에 몸을 담그고

《신들이 노는 정원》(미야시타 나츠/권남희 옮김, 책세상, 2018) 50쪽


무색투명하고 언뜻 평범한 온천물처럼 보이지만

→ 맑고맑아 언뜻 여느 더운샘물처럼 보이지만

→ 말갛고 언뜻 수수한 포근샘물처럼 보이지만

《행복은 먹고자고 기다리고 2》(미즈나기 토리/심이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마사토(まさど/磨砂土)



마사토 : x

まさど(眞砂土) : [광물] 마사토, 화강암이 풍화하여 생긴 모래


 마사토를 주문했다 → 굵은모래를 시켰다

 마사토를 적절히 조합하여 → 굵모래를 알맞게 섞어



  우리 낱말책에 없는 ‘마사토’는 ‘まさど/磨砂土’라고 적는 일본말입니다. 굳이 일본말을 그대로 쓸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말로 ‘굵은모래’나 ‘굵모래’로 나타낼 일입니다.



마사토와 진흙 잡석 사이

→ 굵모래와 진흙과 돌 사이

→ 굵은모래 진흙 잔돌 사이

《니들의 시간》(김해자, 창비, 2023) 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니트NEET



니트(nit) : [전기·전자] 휘도(輝度)의 단위. 1니트는 1㎡당 1칸델라의 밝기를 갖는 겉면의 휘도이다. 기호는 nt.

NEET : 니트족(직장에 다니는 것도 아니고 교육이나 훈련을 받는 상태도 아닌 젊은이)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ニ-ト(NEET) : 니트(족), (취업에 대한 의욕이 없는) 자발적 실업자, 학교도 다니지 않고 직업 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무직자. (= 無業者)



스스로 일을 안 하는 나날이라고 한다면 ‘일없다·일이 없다’라 할 만합니다. ‘맨손·맨몸’이나 ‘빈손·빈몸·빈그릇’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빈둥거리다·빈둥빈둥’이나 ‘피둥피둥·핀둥핀둥’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탱자탱자·하느작’이나 ‘놀다·노닥거리다’나 ‘뒹굴다·놀고먹다’로 나타낼 만하지요. 때로는 ‘빈둥이·노닥이’처럼 나타내어도 되고요. ㅅㄴㄹ



저와 똑같은 니트니까요

→ 저와 똑같이 노니까요

→ 저와 똑같이 뒹구니까요

→ 저처럼 핀둥대니까요

→ 저처럼 빈손이니까요

《행복은 먹고자고 기다리고 2》(미즈나기 토리/심이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