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가짜 2023.12.5.불.



너는 몸이라는 옷을 입지. 너는 너일 뿐, 네 몸이 너일 수는 없어. 네 몸은 ‘겉’이요 ‘껍데기’야. 너는 넋만으로는 걷거나 쉬거나 먹거나 자거나 맛보거나 느끼거나 만지지 못 한다고 여겨서 몸이라는 옷을 겉에 입는단다. 그러니까 ‘몸·옷·겉’은 네가 아니기는 하되, 거짓(가짜)은 아냐. 넋으로서는 겉을 몸이라는 옷으로 둘러야 땅에 발을 디디고 눈으로 둘레를 보고 손으로 무엇이든 만져서 머리에 온갖 이야기(정보·지식)를 담거든. 넋이 입은 몸을 오롯이 알기에 스스로 빛나면서 사랑이라는 하루를 살아. 몸만 쳐다보거나 매만지려 하기에 그만 넋을 잊거나 잃어, 스스로 바래거나 시들거나 꺼지면서 사랑 없이 쳇바퀴를 돌아. 하루를 살아가기 바라니? 그러면 ‘겉·옷·몸’도 알뜰히 여기렴. 하루를 살며 사랑이 샘솟기를 바라니? 그러면 ‘몸을 입은 넋’을 가만히 되새기면서 네 눈망울에 빛살을 띄우렴. 네 눈을 거쳐서 네 넋이 초롱이는 빛물결을 내보낸다면, 이 빛물결이 너와 둘레를 하얗게 덮으면서 파랗게 밝히다가 푸르게 피어나고 노랗게 퍼지더니 빨갛게 솟아서 까맣게 쏟아지는 별밤을 이룬단다. 넋을 잊어서 잃으면 죄다 허울(가짜)이야. 그러나 허울을 너무 나무라지는 마. 허울이라는 거짓을 보면 상냥하게 타이르렴. 허울을 쓴 이는 허울인 줄 몰라. 거짓으로 덮은 이는 거짓으로 감추려고 하지. 이들이 스스로 허울과 거짓을 녹이고 털어내도록, 넌 곁에서 사랑으로 빛나면 넉넉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지붕 2023.12.6.물.



오래가는 집이 있고, 얼마 못 가는 집이 있어. 살아가면서 손길이 닿아 살아가는 집이 있고, 조금씩 무너져가는 집이 있어. 너는 어떤 집에서 하루를 보내니? 너희 집은 지붕이 튼튼하니? 너희 집은 비가 올 적에 지붕을 두들기는 소리를 듣니? 너희 집은 지붕에 새가 내려앉아서 쉴 수 있니? 빗소리를 못 듣는다면 지붕이 없니? 지붕이라 여길 곳을 생각할 수 없는 겹겹 쌓은 칸 하나에 깃들었니? 곰곰이 돌아보렴. 지붕이 없는 그곳이 집일까? 지붕이 없다면 마당도 없겠지. 지붕에 마당이 없이 잠을 자거나 밥을 차리거나 짐을 두는 데가 집일 수 있을까? 너희는 ‘집’이 아닌 ‘집척(집인 척)’인 곳을 값비싸게 치르고서 부둥켜안지는 않았니? 비를 느끼고 바람을 보고 해를 알고 별을 그리고 새를 만나고 온누리를 척척 너희 발로 디디는 첫자리이기에 집이라고 해. ‘부동산’이나 ‘아파트’가 아닌 ‘집’을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너희 손으로 짓고, 너희 손길로 돌보고, 너희 숨결을 담아서 물려주는 삶터여야 집이지 않을까? 온누리를 느껴가면서 눈을 틔우고 마음을 다스리는 터전이기에 집이야. 비바람을 가리기만 하는 곳이지 않아. 먹고자고 짐을 두기만 하는 곳이지 않아. 살림이 피어나고, 사랑을 싹틔우는 곳이기에 집이야. 너희 집에 새라는 이웃을 맞아들이렴. 너희 집에 개구리라는 동무를 받아들이렴. 나무가 자라고 풀이 돋고 꽃이 피어 나비가 춤추는 집을 이루렴. 밤낮으로 숨을 틔우면서 도란도란 지내는 집을 품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겨울새 2023.12.7.나무.



몸에 안 맞는다고 여기기에 ‘덥다’거나 ‘춥다’고 해. 그리고 몸을 새롭게 맞추는 길을 바라보려고 하지 않을 적에도 ‘덥다’거나 ‘춥다’고 여기지. 먼저 몸이 어떻게 느끼는지 지켜보아야겠지. 모든 사람도 새도 짐승도 풀꽃나무도 몸이 달라. 다 다른 몸이기에 더위나 추위를 다 다르게 느끼지. 어느 몸은 덥다고 여기고, 어느 몸은 따뜻하다고 여기고, 어느 몸은 춥다고 여겨. 여러 몸 가운데 어느 쪽이 옳지 않아. 그저 다르니까 달리 느끼지. 두 그릇이나 열 그릇을 먹는들 대수롭지 않은걸. 굶어도 대수롭지 않고. 겨울에 너희 터전으로 날아드는 새가 있어. 너희가 느끼는 겨울이 반갑고 즐거우니까 겨울철에 맞추어 기쁘게 날지. 여름새는 여름이라는 철을 누리면서 이 삶을 노래하고 싶어서 여름에 맞추어 날아와. 너희 사람은 딱히 철을 안 가려. 봄은 봄대로, 가을은 가을대로, 여름은 여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다 다르게 누린단다. 겨울새는 그곳이 어떤 철이기에 찾아올까? 겨울이 겨울스럽지 않으면 겨울새는 안 오겠지? 겨울새는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철빛을 스스로 읽으면서 날아왔어. 봄이면 “이제 떠날 때로구나. 봄여름 지나고 가을이 깊으면 다시 와야지.” 하고 여기면서 기운차게 하늘을 갈라. 너희는 철빛을 어떻게 느끼고 바라보는지 하나하나 짚어 봐. 이 겨울이 춥니? 겨울이지만 포근하니? 겨울인 줄 어떻게 아니? 달종이(달력)로 따지니? 스스로 살갗으로 느끼고 온몸으로 헤아리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스폰·스폰서sponsor



스폰 : x

스폰서(sponsor) : 1. 행사, 자선 사업 따위에 기부금을 내어 돕는 사람. ‘후원자’로 순화 2.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 따위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광고주. ‘광고주’, ‘광고 의뢰자’로 순화

sponsor : 1. (방송 프로그램스포츠 행사 등의) 스폰서[광고주/후원 업체] 2. (자선 행사의) 후원자 3. (장학금교육비를 지원하는) 후원자[원조자] 4. (법안 등의) 발기인 5. (다른 사람에 대한) 보증인 6. (기독교 세례식의) 증인[대부/대모]

スポンサ-(sponsor)  : 스폰서. (음악회·연극 따위의) 흥행주. (민간 방송의) 광고주; 전하여, 돈을 대는 사람



‘스폰’은 ‘스폰서’를 줄여서 쓰는 말씨일 텐데, 퍽 뜬금없다고 여길 만합니다. 영어 낱말책은 ‘sponsor’를 ‘스폰서’로 풀이하면서 ‘후원자·원조자’로도 풀이합니다만, 이런 일을 맡는 사람을 두고 우리말 ‘벗바리’가 있습니다. 벗바리가 하는 일이란 ‘뒷배’입니다. “뒤를 봐주다”나 ‘도와주다·돕다·밀다·받치다’로 풀어낼 만하고, ‘도움벗·도움지기·도움님’이나 ‘밑동·밑받침·이바지’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떡하니 기부해 주는 스폰서의 도련님을 후보로 앉혀놓을 순 없을 것 같은데

→ 떡하니 내놓아 주는 도움벗 도련님을 뒤에 앉혀놓을 순 없을 듯한데

→ 떡하니 뒷배해 주는 집안 도련님을 뒤에 앉혀놓을 순 없을 듯한데

《메이저 세컨드 3》(미츠다 타쿠야/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7) 108쪽


부자가 돼서 내 스폰서가 돼주겠다더니

→ 돈 벌어서 나를 돌봐주겠다더니

→ 돈쟁이 돼서 내 뒷배를 서겠다더니

→ 돈 벌어 내 벗바리가 되겠다더니

→ 푸지게 벌어서 날 돕겠다더니

→ 목돈 쥐어 내 도움벗이 되겠다더니

《내 어머니 이야기 4》(김은성, 애니북스, 2019) 105쪽


그러기 위한 스폰서를 찾고요

→ 그러자면 도움이를 찾고요

→ 그러려면 벗바리를 찾고요

→ 그렇게 할 도움벗을 찾고요

《80세 마리코 5》(오자와 유키/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19) 71쪽


스폰받은 자랑에 ‘그거 뇌물죄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상대의 얼굴을 눈치챘는지

→ 돈줄 자랑에 ‘검은돈이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저쪽 얼굴을 눈치챘는지

→ 뒷배 자랑에 ‘뒷돈이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그쪽 얼굴을 눈치챘는지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이연주, 포르체, 2020)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 검찰 부패를 국민에게 고발하다
이연주 지음, 김미옥 해설 / 포르체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9.

읽었습니다 243



  언제부터인가 ‘검찰공화국’ 같은 말이 퍼집니다만, 썩 옳지 않은 말이라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democracy’라는 영어는 ‘민중 + 권력’을 뜻하는데, 이 나라는 ‘힘덩이’일 뿐이거든요. 힘(권력)을 틀어쥔 놈들이 힘을 부릴 뿐이니, 그놈이 검찰이면 검찰이고, 재벌이면 재벌이고, 문단권력이면 문단권력이요, 웃사내라면 웃사내이고, 서울대 교수라면 서울대 교수이고, 군수나 웃대가리라면 군수나 웃대가리입니다.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는 이 나라 살핌이(검찰)가 어떻게 구린내가 풀풀 나는지 여러모로 들려주는데, 시골 군수나 농협이나 구청장이나 군의원·구의원도 나란히 고린내가 폴폴 납니다. 대학교수뿐 아니라 적잖은 교감·교장도 얄궂지요. 잘 보아야 합니다. 힘(권력)을 거머쥔 놈들은 이름도 돈도 움켜쥐려고 합니다. 이들은 끼리끼리 담벼락을 쌓으면서 힘·돈·이름을 부둥켜안고서 낄낄댑니다. 사랑도 삶도 살림도 숲도 없는 이들은 온나라 어디에나 똑같이 있어요.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이연주, 포르체, 2020.12.2.)


상명하복을 거부하는 순간 여러 이유로 보복 조치를 당하는데

→ 웃질을 거스르면 여러 가지로 돌려받는데

→ 시킴질을 안 하면 여러모로 받아치는데

20쪽


스폰받은 자랑에 ‘그거 뇌물죄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상대의 얼굴을 눈치챘는지

→ 돈줄 자랑에 ‘검은돈이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저쪽 얼굴을 눈치챘는지

→ 뒷배 자랑에 ‘뒷돈이잖아요’라며 어이없어하는 그쪽 얼굴을 눈치챘는지

22쪽


자신들의 전리품을 위해서 움직일 뿐이다

→ 저희 모가치 때문에 움직일 뿐이다

→ 저희가 받으려고 움직일 뿐이다

36쪽


부당한 인사 청탁을 하고 그 보은이 전관예우로 이어지는 것이

→ 자리를 고약하게 바라고 빚처럼 받들어 주니

→ 자리를 옳지 않게 묻고 모심질로 돌려받으니

10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