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4.20. 처음에 먼지가



  처음에 말씀이 있다. 처음 여는 길에 말씨를 심는다. 첫발을 떼는 하루는 마음에 씨앗 한 톨이 깃든다. 첫손을 내미는 눈빛에 이야기가 반짝인다. 처음에는 버벅거리면서 헤맬 수 있다. 한참 더듬거리면서 맴돌 수 있다. 처음부터 낱말을 하나하나 가려쓰지는 못 하지만, 살펴보고 알아보고 찾아보는 사이에, 저마다 제 몸과 삶에 맞게 터뜨릴 소리값을 깨닫는다.


  처음에 너와 나는 하나이다. 처음에 나는 나로서 너를 마주한다. 처음에 너는 나를 바라보면서 가만히 다가온다. 처음에 나는 너하고 손을 맞잡고서 한 발짝을 떼고 두 발짝을 잇는다. 처음에 너하고 나는 ‘우리’를 이루면서 하늘을 바라본다. 이윽고 하늘에 해가 솟으면서 햇빛이 비추고, 어느새 해가 넘어가면서 별이 돋는다.


  처음에 너도 나도 사랑을 모른다. 아직 사랑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고, 사랑이라는 낱말마저 모른다. 그러나 그림을 본다. 그리고 그린다. 또 무엇인지 모르는 그림을 보고 다시 보면서 문득 꿈이라는 길을 느낀다. “꿈을 심을 수 있을까? 아니, 꿈을 심어 볼까? 그래, 꿈을 심어서 볼까(바라볼까)?” 하고 생각을 한다. 바야흐로 ‘생각’이라는 빛씨앗이 생기고 샘솟고 새록새록 흐른다.


  처음에 너랑 나는 먼지이다. 몸을 입지 않고서 온누리에 흩어져서 떠도는 먼지로 가볍게 날아다닌다. 아무런 모습이 없이 몸도 없이 떠돌고 헤매고 날아다니는 가벼운 알갱이인데, 멋도 모르지만 꿈을 그렸다. 그리고 스스로 그린 꿈대로 어느 곳으로 휙 빨려들듯 달려간다. 이제 먼지만큼 조그마한 두 씨앗이 하나인 씨앗으로 만나는 자리에 깃들고, 하나이자 둘인 씨앗은 넋과 얼이라는 빛으로 한덩이를 이루는 두 겹으로 나타나면서 천천히 잠든다.


  잠든 “하나인, 그러나 두 씨앗”은 조금씩 눈을 뜬다. 몸이 자라는 줄 느낀다. 몸과 머리를 잇는 목이 돋는다. 하나부터 아홉까지 세고서 열에 이르니, “아, 이제 열어야겠구나! 그런데 어디를 열지? 어디가 열리지?” 두 씨앗을 하나인 빛으로 여민 둘 가운데 한 사람은 누워서 눈을 감는다. 두 씨앗을 하나인 빛으로 모은 둘 가운데 한 사람은 서서 눈을 뜬다. 둘은 이제 새빛을 맞아들이고, “하나 더하기 하나는 셋”이라고 하는 놀라운 사랑을 지어서 품에 안고 손으로 쓰다듬고 눈으로 빗물을 내리고 입으로 소리를 터뜨린다. “사랑스러워! 사랑이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삽 한자루 달랑 들고 건달농부의 농사 일기 2
장진영 지음 / 내일을여는책 / 200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4.21.

만화책시렁 743


《삽 한 자루 달랑 들고》

 장진영

 내일을여는책

 2000.12.15.



  삽 한 자루 쥐고서 땅을 폭폭 파노라면 손바닥부터 발바닥까지 흙바닥 기운이 가볍게 올라옵니다. 호미 한 자루 쥐고서 땅을 콕콕 쪼노라면 손끝부터 발끝까지 풀내음이 부드러이 스며듭니다. 낫 한 자루 잡고서 풀포기를 슥슥 베노라면 마디마디 새록새록 푸른바람이 슬며시 불어옵니다. 《삽 한 자루 달랑 들고》는 앞뒤를 안 재고서 시골살이에 나선 어느 아재가 온몸으로 겪은 하루를 들려줍니다. ‘귀촌·귀농’이 아닌 ‘흙살이·흙살림’을 맨몸으로 부딪히자는 마음 하나로 해바람비를 어떻게 맞이할 적에 스스로 즐거울까 하고 돌아보고 헤아리고 살피고 배우는 나날을 풀어내요. 흙일이라면 터럭만큼도 몰랐기에 처음에는 이이가 하는 말도 저분이 하는 말도 그분이 들려주는 말도 그냥그냥 넙죽넙죽 받아들였다지요. 이렇게도 고꾸라지고 저렇게도 자빠지고 그렇게도 엎어지면서 “참말로 이러다가 우리나라 다 죽겠고마잉” 하고 알아차리는 길이었다지요. 돈이 있으면 언제 어디에서나 돈부터 내밀면서 일을 합니다. 몸이 있으면 언제 어디에서나 몸소 나서서 일을 합니다. 마음이 있으면 언제 어디에서나 마음으로 가만히 다가가서 일을 합니다. 서울에서건 시골에서건 ‘잘살기’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아이곁에서 하루노래’를 그리면서 살림을 지으려고 하면 넉넉합니다.


ㅍㄹㄴ


‘그래! 삽 뒀다 뭐 해. 삽으로 해보는 거야.’ (26쪽)


“친구라뇨? 아무것도 없는데.” “아무것도 없긴 잘 보라구! 여기 얼마나 많은 생명들이 살고 있나. 온갖 벌레들, 애채, 곡식, 잡초, 사람까지. 서로 협력하면서 잘 살 수 있게 사람도 함께 돕고 사는 게지. 나도 한때 유기농 농사를 지었었지. 하지만 유기농도 사람의 이익을 위해 땅을 착취하는 건 일반농사나 똑같아. 또 농사로 돈을 벌기 위해선 빚을 내야 하고, 빚지면 또 돈을 벌어 갚아야 하니, 그 얼마나 불행한 일이야.” (61쪽)


“어어, 황사장! 어제 꿈속에서 쌀 백 가마 팔았다며? 아니 그 꿈을 나한테 팔기 전에 떠들고 다니면 어떻해!” (14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극채의 집 3
빗케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4.21.

만화책시렁 742


《극채의 집 3》

 빗케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9.12.15.



  탓을 하고 미워하는 나날을 이을수록, 오히려 그들이나 그사람은 하나도 안 바뀔 뿐 아니라, 누가 저희를 탓하거나 미워하는지 그저 모를 뿐이기도 합니다. 곰곰이 보면, 우리가 스스로 새길을 찾아서 뛰쳐나올 수 있던 바탕은, 스스로 수렁을 파면서 한집안을 수렁으로 끌어들이는 그사람이었다고 할 만합니다. 이러한 수렁에서 우리가 뛰쳐나오기에 그사람은 처음으로 고개를 들어서 바깥을 바라보는데, 이때에 일어서서 깨우치는 사람이 있고, 그저 멈추거나 다시 고개를 박고서 수렁에 잠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극채의 집 3》을 가만히 읽습니다. 머리카락 빛깔 때문에 ‘집’에서 어버이 품을 누리며 살아갈 수 없는 아이들이 어느 절집에 모여서 어린날과 푸른날을 보내야 하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이 줄거리로 엿보듯, 오늘날 온누리는 ‘아이들한테 묻지 않’고서 아이들을 쉽게 어느 구석으로 몰아넣습니다. 아이들이 어릴적부터 포근히 사랑을 누리고 느끼고 배우는 길이 아닌, ‘어른나라에서 어떤 쓰임새가 있는 톱니바퀴’로 여긴다고 할 만합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어떤 곳에 몰려서 ‘어버이를 빼앗긴 채’ 지내더라도 삶과 살림과 사랑이 궁금할 뿐 아니라, 삶과 살림과 사랑을 스스로 찾아나서려고 합니다. 먹이고 입히고 재우기에 ‘잘살’지 않습니다. 품고 풀고 나누고 지을 줄 알기에 비로소 삶입니다.


ㅍㄹㄴ


“너랑 비슷한 또래 동생이 여기 있거든. 그 녀석도 울보라서 종종 달래주다 보니까 이젠 익숙해.” (67쪽)


“남의 외모를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하는 건 야비한 짓이야. 언젠가 남의 위에 설 생각이라면 조심하는 게 좋을걸. 그래선 아무도 널 따르지 않을 테니까.” (80쪽)


“네 머리카락이 예뻐진 건 네가 열심히 손질을 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고, 마음이 강해졌기 때문일지도 몰라. 어쨌든 그 머리카락을 아름답게 만든 건 틀림없는 너 자신이야. 그것만은 확실해. 그렇게 생각하면 자신이 생기지 않아?” (85쪽)


‘나는 아무 힘도 없지만 쿠치나시에게 많은 것을 받았다. 주위를 밝게 밝혀 주는 공기, 다정함, 격려, 이 생명마저.’ (115쪽)


#極彩の家 #びっけ


+


《극채의 집 3》(빗케/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9)


남의 외모를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하는 건 야비한 짓이야

→ 남을 겉모습으로 이러쿵저러쿵하다니 몹쓸짓이야

→ 남을 겉얼굴로 이러쿵저러쿵하다니 못된짓이야

80쪽


그렇게 생각하면 자신이 생기지 않아?

→ 그렇게 생각하면 기운이 나지 않아?

→ 그렇게 생각하면 힘이 나지 않아?

85쪽


나는 아무 힘도 없지만 쿠치나시에게 많은 것을 받았다

→ 나는 아무 힘도 없지만 쿠치나시한테서 잔뜩 받았다

→ 나는 아무 힘도 없지만 쿠치나시는 잔뜩 베풀었다

115쪽


네가 의외로 위태위태하다고 생각한 것뿐이야

→ 네가 뜻밖에 줄타기 같다고 여겼을 뿐이야

→ 네가 되레 흔들린다고 느꼈을 뿐이야

130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철을 잊은 사람 (2025.2.15.)

― 부산 〈카프카의 밤〉



  꽃물(약·보약)을 몸에 넣기에 몸이 바뀌지 않습니다. ‘꽃물’ 때문이 안 바뀝니다. ‘꽃물을 받아들이는 마음’ 때문이 바뀝니다. 고기빵(햄버거)을 먹기에 몸이 망가지지 않습니다. ‘고기빵’ 때문이 아닌 ‘고기빵을 먹는 마음’ 때문에 망가지거나 튼튼합니다.


  누구나 머리카락이 새로 돋고, 손톱이 새로 자라고, 살갗도 낱(세포)도 날마다 끝없이 바뀝니다. 그저 우리 스스로 못 느끼거나 안 느끼려 할 뿐입니다. 아주 조그맣던 씨앗 한 톨이 어떻게 우람나무로 자라는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해와 바람과 비만 받아들이는 씨앗 한 톨인데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납니다.


  사람들은 곧잘 ‘몸바꾸기(성형수술)’를 하지만, 아무리 몸을 칼로 째서 바꾼들 씨톨(유전자)은 안 바뀝니다. 샅(성기)을 바꾸고서 종이(주민등록증)에 적는 갈래(성별)를 바꾸더라도 씨톨(DNA)은 고스란합니다. 어떤 몸(성별)을 입고서 태어났는지 대수로이 여길 수 있지만, 순이몸은 순이몸일 뿐이고 돌이몸은 돌이몸일 뿐입니다. 낫거나 나쁜 몸이란 없습니다. 다른 몸으로 다른 삶을 받아들여서 누리다가, “나하고 다른 몸이지만, 나하고 같은 빛을 속으로 품은 너”를 알아보면서 비로소 손을 맞잡고서 같이 살림을 짓는 새길을 열 뿐입니다.


  부산 연산동 작은책집 〈글밭〉을 들러 아주 천천히 책을 읽고서 〈카프카의 밤〉으로 건너갑니다. 어느덧 훌쩍 건너온 둘쨋달과 셋쨋달 사이입니다. 달종이에 적힌 1·2·3 같은 이름으로 철이 바뀌지 않습니다. 푸른별을 감싸면서 도는 해에 따라서 철이 바뀌고, 해길(태양주기)에 따라서 바람이 바뀌며, 해바람에 맞추어 들빛이 바뀌며, 들빛에 따라서 모든 새와 짐승과 씨앗이 새길을 찾아서 움직입니다.


  텃새란 터를 한 곳에서 이루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새입니다. 철새를 철을 읽으며 터를 두 곳에서 나란히 이루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새입니다. 텃새가 낫거나 철새가 나쁘지 않습니다. 철새가 뛰어나거나 텃새가 안 뛰어나지 않습니다. 둘은 다른 몸과 빛과 숨과 넋으로 이 별에서 사람하고 함께 살아가는 이웃입니다.


  누가 철을 잊은 사람인지 곱씹을 일입니다. 벼슬판을 쥐락펴락하는 그들만 철바보이지 않습니다. 우리 보금자리를 잊거나 등지는 누구나 철바보입니다. 들숲바다를 잊은 채 ‘사람이라는 빛’에는 눈감는 모두가 철바보예요.


  빈틈 하나 없이 살아야 하지 않습니다. 빈구석에 빈털터리로 살아가도 아름답습니다. 비울 줄 알기에 사랑으로 차오르도록 채울 수 있습니다. 가득가득 채우기에 새로 나누면서 노래하는 오늘을 사랑하게 마련입니다.


+


[숲노래 낱말책]

철새 (철 + 새) : 철을 읽고서 알맞고 넉넉하게 살아갈 터전을 헤아리며 두 곳을 살림터로 여기며 오가는 새. 한 해는 네철로 움직이기에, 알맞게 지낼 살림터는 아주 먼 곳에 있게 마련이라, 머나먼 길을 의젓하게 날면서 가로지르는 철눈을 어질게 품는 새. 철을 살펴서 보금자리를 꾸려 새끼를 낳아 돌본 뒤에, 새끼새하고 함께 예전 보금자리로 돌아가는 새. 철빛을 사람한테 보여주는 새. 스스로 제 숨결대로 살며 제 삶길을 여는 목숨. 여름새와 겨울새가 있다.


ㅍㄹㄴ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이타가키 류타/고영진·임경화 옮김, 푸른역사, 2024.2.1.첫/2024.2.22.2벌)

#板垣龍太

《백신의 배신》(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글/홍지수 옮김, Mid, 2024.12.11.)

《혼란 기쁨》(김비, 곳간, 2025.1.31.)

《짝 없는 여자들》(조지 기싱/구원 옮김, 코호북스, 2020.8.31.)

#TheOddWoman #GeorgeRobertGissing

《단지, 50년의 이야기》(빙그레·뉴포맷 엮음, 케이스스터디, 2024.12.1.)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14.


《촛불이 길을 밝혀 줄 거야》

 게르다 마리 샤이들 글·마르쿠스 피스터 그림/박태식 옮김, 으뜸사랑, 2007.10.10.



한봄비가 쌀쌀하게 내리는 낮. 나래터로 가려고 탄 시골버스에서 노래를 두 자락 쓴다. 빗물이 뿌리기에 걷는읽기나 걷는쓰기를 못 하지만, 빗소리와 바람소리를 들으면서 구름빛과 하늘결을 헤아린다. 집으로 돌아와서도 한봄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빗줄기가 굵다. 이 빗줄기에 멧새 열 마리가 전깃줄에 나란히 앉아서 노래를 한다. 처마밑에서 새바라기를 한다. 새가 포로롱 날아가고서야 부엌으로 가서 저녁밥을 끓인다. 《촛불이 길을 밝혀 줄 거야》는 조금 아쉽기는 해도 제법 잘 나온 그림책이라고 느끼는데, 일찌감치 판이 끊긴 듯싶다. 《무지개 물고기》를 그린 분이 일군 작은씨앗인데, 모든 그림지기 모든 그림책이 널리 읽히면서 사랑받지는 않을 수 있다. 곰곰이 보자니 《무지개 물고기》에서 아쉽다고 여긴 대목을 《촛불이 길을》에서도 느꼈다. ‘좋은길(주제·정의·공정)’이라는 덫에 사로잡히면 그만 ‘좋은말’을 들려주어야 한다는 틀에 갇히기 쉽다. 삶이란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 삶은 늘 삶이다. 삶이라는 길을 “손수 살림하는 손”으로 풀어내면 된다. 때로는 울고 웃고 노래하고 멍하고 쉬고 잠들고 일어서고 걷고 달리는 하루를 그저 고스란히 담으면 된다. 꽃(영웅)만 찾다가는 뿌리와 줄기와 가지와 씨앗을 몽땅 잃는다.


#GerdaMarieScheidle

#MarcusPfister # FourCandlesforSimon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