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 가난한 책읽기

바보와 얼간이



  ‘바보’는 아직 잎갉이를 하는 작은벌레를 가리킨다. 애벌레와 같은 사람이 천천히 꿈을 그리며 나아갈 삶을 노래하는 이름이다. ‘얼간이’는 예나 이제나 안 배우고 안 지으면서 남눈에 스스로 휘둘리는 몸짓을 나타낸다. 사람으로서 사람빛을 잊기에 딱하게 바라보는 이름이다.


  모든 ‘알’은 애벌레를 거쳐서 고치를 지나고는 찬찬히 나비로 깨어나려고 이곳에 태어난다. 모든 ‘씨’는 흙한테 포근히 안겨서 제때와 제철을 읽는 날까지 하늘바라기로 자라나려고 이곳에 맺는다. 모든 ‘사람’은 살림을 짓는 삶을 몸소 일구는 사이에 사랑을 배우고 익혀서 나누려는 뜻으로 이곳에 온다.


  내가 지내는 전남 고흥 도화면인데, 2011년에 처음 깃들 즈음, 면소재지 어린배움터는 200 어린이가 넘고 우글우글했다. 면소재지 푸른배움터도 여러 칸(학급)에 바글바글했다. 그무렵 이 시골이 하루가 다르게 무너지고 사라질 줄 내다본 사람은 아주 드물거나 없었다고 느낀다. 그렇지만 젊은이도 아기도 없는 마을이 수두룩했다. 나는 서른여섯 살에 이 시골에 깃들었다. 둘레에서 놀랐다. “한창 젊은데 왜 서울에 안 있고 이 막장까지 왔수? 애까지 둘이나 데리고? 서울에서 사고쳤나?” 같은 소리를 거의 모두라 할 시골사람한테서 들었다. 나는 뿌리내리는 나무로 살아가서 숲을 이루려고 곁님과 아이들하고 스스로 시골로 찾아왔다. “시골아이를 서울로 등떠미는 낡은 배움틀을 얼른 버리고서, 이곳 아이들이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만 마친 뒤에 이 시골에서 조촐히 즐겁게 작게 보금자리를 짓고 일구는 길을 함께 새로 배우고 나눌 일입니다.” 하고, 고흥서 만나는 누구한테나 말했으나, 다들 한결같이 비웃거나 흘려넘겼다. “작가 양반은 젊어서 그런지, 참 쓰잘데없는 걱정만 하는구만. 그래서 작가 양반인가?” 같은 소리를 실컷 들었다.


  다가올 2026년에 도화면 어린배움터와 푸른배움터 모두 ‘입학예정자’가 ‘0’이라고, ‘위기’라고 시끌하다. 이제서? 이제서야? 지난해에는 아마 ‘1명 입학’인 줄 안다. 지난해에는? 그러께는? 바글대던 여러 칸이 “한 칸 열 아이”도 안 될 만큼 줄어드는 동안에는? “한 칸 두세 아이”로 확 줄어든 때에는? 여태 손놓고 팔짱끼고 등돌리면서 “뭐, 몇 해 있으면 딴 데(학교) 가니까 걱정없지.” 하던 그들이 하나둘 떠오른다. 그러니까 그들(교사)은 다섯 해마다 자리를 옮기니까, 시골배움터가 아슬하든 벼랑끝이든 닫을 판이든 쳐다볼 까닭도 일도 없다. 시골 할매할배는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가 닫든 말든 까맣게 모르는데다가 아예 아무 마음이 없다. 면장이나 군수나 공무원도 다른 자리로 곧 옮길 테니까 그들과 나란히 아무 눈길도 마음도 없다.


  여태 “서울로!”를 외치면서 “인서울 탈고흥” 푸름이한테 목돈을 장학금이랍시고 잔뜩 쏟아부은 굴레를 누가 꾀하고 누가 길미를 챙겼는지 뉘우치는 빛이 없다. 이 작은 시골 고흥에서는 몇 해 앞서까지 “서울대 합격 1000만 원, 연고대·이화여대 합격 500만 원, 그럭저럭 인서울 대학교 300만 원, 서울권 대학생은 4년 동안 기숙사 무료제공”이라는 장학금을 오래도록 펴왔다. 시골에서 나고자라서 푸른배움터까지 마치고서 논밭짓기를 하겠다는 젊은이한테는 10원조차 베푼 적이 없다. 그나저나, 지난 열 해 즈음에 걸쳐서 고흥을 비롯한 ‘인구소멸예정지’에 흘러든 나라돈은 2000억을 훌쩍 넘는 줄 안다. 어쩌면 1조쯤 들어왔을 수 있다. 이 돈은 어느 주머니로 쏙쏙 들어갔을까? ‘태양광·풍력 보상금’도 오지게 많은 줄 아는데, 다 누구 뒷주머니와 앞주머니에 숨었을까?


  새길찾기는 아주 쉽다. 모든 어린씨 푸른씨가 “졸업장 없는 학교”를 누리면 된다. “교과서 안 쓰는 하루”를 살림짓기로 갈아엎으면 된다. 모든 급식실을 닫고서 도시락을 싸거나 손수 밥짓기를 하면 된다. ‘학교 주차장’을 논밭으로 바꾸면 된다. 교육부를 통째로 닫고서, 시골은 시골대로 서울과 큰고장은 서울과 큰고장대로 ‘손수짓기(자급자족)’를 배우고 익히며 나누는 새판을 짜는 데에 목돈과 품을 들이는 얼거리를 짤 노릇이다.


  바보는 벼랑끝에 서면 드디어 눈을 뜬다. 벼랑끝에서 스스로 날아오를 길을 연다. 얼간이는 벼랑끝에서도 얼뜬 짓과 말로 노닥거리다가 슥 미끄러지고 나서야 “나 살려!” 하고 운다. 얼간이는 죽을 판에도 얼을 못 차리다가 죽는다.


  ‘오늘’은 도화면이지만, ‘모레’에는 고흥읍과 도양읍이다. ‘글피’는 전라남도요, 이레 뒤에는 온나라가 되겠지. 우리는 국회의원에 군의원·시의원·도의원·구의원 따위를 뽑을 까닭이 없다. 모든 ‘의원’은 제비뽑기로 그 고장 17살 푸른씨한테 맡겨야지 싶다. 돈·이름·힘을 거머쥔 늙고 낡은 꼰대를 싹 벼슬판에서 솎을 노릇이다. 군수와 시장도 뽑을 까닭이 없다. 면장과 구청장이 돌아가면서 맡으면 된다. 국회의원이라면, 그 고을 20살 젊은이 가운데 제비뽑기로 한 해씩 맡기면 된다.


  참으로 쓰잘데없는 뽑기를 확 줄이고서, 고을마다 마을마다 어린배움터하고 푸른배움터를 제대로 돌보면서 고을사람과 마을사람이 더 작고 조촐히 스스로 하루짓기를 하도록 이바지하면 된다. 밑돈(기본소득)이란, 이렇게 “마을 스스로 살림짓기”를 이루어 가면서 펴면 된다.


  오늘 이른아침에 부산으로 일하러 길을 나선다. 가르치거나 배우는 사람은 마을과 집에서도 또 먼길을 나서면서도 배우고 가르칠 노릇이라고 본다. 2025.11.21.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11.21.

숨은책 1065


《지용文學讀本》

 정지용 글

 박문출판사

 1948.2.5.첫/1949.3.5.재판



  1988년에 “읽기가 풀린 글” 가운데 ‘정지용’이 있습니다. 그때 저는 열네 살 푸른씨였어요. “배움책에 가득한 따분하고 틀에 박혀서 삶과 동떨어진 글”만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배워야 하느라 진절머리가 났습니다. 이른바 ‘납북문인’이 남겼다는 글이 여러 펴냄터에서 쏟아지듯 나왔고, 1993년에 처음 치른다는 수능을 앞두고서 “정지용도 수능 언어영역에 문제가 나오리라” 여겼습니다. 이래저래 정지용이며 백석이며 이용악이며 임화이며 김남천이며 외우듯이 읽었습니다. 지긋지긋한 불굿(입시지옥)이 지나간 뒤로는 모든 높녘글붓(월북작가)이 남긴 글은 더 들여다보지 않았어요. 《지용文學讀本》을 2024년 11월에 처음 만났습니다. 닳고 낡아 나달거리는 책을 한참 뒤적이는데, 1948년에 낸 책이면서도 한글이 아닌 일본한자말을 아주 즐겨쓴 대목에 다시 지끈지끈합니다. 문득 알아보니 이이는 ‘오유미 오사무(大弓修)’라는 일본이름이 있습니다. 그렇구나. 일본이 이 나라를 집어삼켜 숱한 사람이 굶주리고 헐벗고 끌려가고 죽는 마당에도 술집에서 꼬장부리는 꼴을 손수 적바림하는 나리였으니, 이이가 쓴 글이 허울스럽고 겉멋에 가득할밖에 없었네 하고 뒤늦게 깨닫습니다.


ㅍㄹㄴ


一一히 가져오라고 해야만 가져온다. 招人鐘으로 재차 불러오니 역시 뻣뻣하다. “느집에 술 있니?” “있지라우.” “술이면 무슨 술이야?” “술이면 술이지 무슨 술이 있는가라우?” “무엇이 어째! 술에도 種類가 있지!” “日本酒면 그만 아닌가라오?” “日本酒에도 몇十種이 있지않으냐!” 正初에 이女子가 건방지다 소리를 들은것이 自取가 아닐수 없다. “麥酒 가져오느라!” “몇병인가라오?” “있는대로 다 가져 와!” 號令이 效果과 있어서 훨석 몸세가 부드러워져 麥酒 세병이 나수어 왔다. 센뻬이를 가져오기에도 溫泉場거리에까지 나갔다 오는 모양이기에 거스름돈을 받지 않았더니 고맙다고 좋아라고 절한다. 눈갓에는 눈물자죽인지도 몰라 젖은대로 있는가 싶다. “성 났나?” “아아니요!” 사투리가 福岡이나 博多近處에서 온 모양인데 몸이 가늘고 얼굴이 파리하여 心性이 꼬장꼬장한 편이겠으나 好感을 주는것이 아니요 옷도 滿洲추위에 빛갈이 맞지않는 봄옷이나 가을옷 같고 듬식 듬식 놓인 불그죽죽한 冬柏꽃 문의가 훨석 쓸쓸하여 보인다. (185∼18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11.21.

숨은책 1083


《城》

 프란츠 카프카 글

 박환덕 옮김

 범우사

 1984.1.15.첫/1991.5.10.기움1벌



  하루하루 새롭게 맞이하는 이 하루는 언제나 기쁘게 일렁이는 빛살이지 싶습니다. 지나온 책도 다가올 책도 새롭고, 지나간 어제와 맞이한 오늘도 새삼스럽습니다. 새책집에는 “언제라도 다시 살 수 있는 책”을 놓고, 헌책집에는 “오늘 아니면 언제 다시 볼까 싶은 책”을 놓습니다. 헌책집도 때로는 “어제 판 책을 새로 들일 수 있”습니다만, 누구도 알 길은 없습니다. 범우사에서 1984년에 처음 옮기고서 1991년에 기움판으로 새로 낸 《城》을 2025년 가을에 헌책집에서 문득 보았습니다. 1991년이나 1995년에는 이 기움판을 새책집에서 못 보았지 싶고, 그무렵 보았어도 시큰둥히 지나쳤겠다고 느낍니다. 부산 연산동에 작은책집 〈카프카의 밤〉이 있습니다. 카프카 글꽃을 사랑하는 책집지기님이 꾸리는 새책집입니다. 2023년 5월에 부산 보수동 헌책집에서 《어느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프란츠 카프카/김윤섭 옮김, 덕문출판사, 1978.1.15.)를 만난 적 있고, 이 책을 〈카프카의 밤〉 지기님한테 드렸습니다. 카프카 글꽃바라기한테는 몹시 신나는 책이 되리라 느꼈어요. 1991년판 《城》도 남다른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서울대 교수·문학박사”가 옮겼다는 글씨를 크게 박으며 새빨간 빛으로 꾸민데다가, 끝꽃(부록)을 퍽 길게 붙여요. 똑같은 이웃글이어도 옮김글결이 다를 테니, 읽는 말맛도 다를 테고요.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11.21.

숨은책 1082


《體育運動衛生》

 吉田章信新 글

 右文館

 1922.2.15.첫/1922.3.10.4벌



  아다시피, 또는 모르다시피, 조선 오백 해 내내 ‘나리(양반·권력계급)’를 가르쳐서 벼슬아치로 삼을 뿐 아니라 사람들(농민)을 억누르는 마름(중간권력)으로 부린 나날입니다. 조선이라는 나라일 적에 ‘사람들(농민)’을 사람으로 안 쳤습니다. 그저 ‘종(노예)’이었습니다. 조선이 무너지고 조선총독부가 선 뒤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나라지기라는 이는 사람들을 북돋우거나 이끌거나 가르칠 뜻이 없다시피 했습니다. 이러지 않고서야 1945년이 지난 뒤에도 ‘학교’라는 곳에서 아이들을 닦달하며 돈을 우려내는 늪으로 내몰지 않았을 테니까요. 《體育運動衛生》은 1922년에 나온 배움길잡이책(교육지도서)입니다. 이미 일본은 1900년에 이르기 앞서 ‘국민교육’을 했습니다. 나라돈으로 누구나 배우는 터전을 마련했달까요. 우리나라가 나라돈으로 사람들이 배울 터전을 이럭저럭 마련한 때라면 2000년 즈음입니다. 우리는 배움살림조차 고작 스무 해 남짓인 나날이라서 갈 길이 한참 멀어요. 서울아이도 시골아이도 스스로 어디에서 어떻게 어른으로 서야 어질며 슬기롭게 ‘사람이라는 사랑’인지 알기 어려운 이즈음입니다. 이런 때일수록 첫마음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왜 배우고 왜 가르칠까요?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가르치나요? 어깨동무하며 즐겁게 두레를 맺는 동무로 빛나는 아이어른으로 마주할 길을 펼 때입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11.21.

숨은책 1092


《雜草밭에 누워서》

 김태수 글

 태창문화사

 1980.12.20.재판



  “서울특별시립종로도서관 1981.5.29. 제125146호”라고 곱게 찍힌 책이라서 문득 들춘 《雜草밭에 누워서》인데, 74쪽에 “‘일하는 아이들’과 ‘갇힌 아이들’”이라는 꼭지가 있습니다. 설마 싶어서 펼치니 《일하는 아이들》을 읽고서 쓴 느낌글입니다. 더구나 꽤 길게 적었습니다. 어떤 이는 어느 책을 읽고서 오늘과 어제와 모레를 나란히 바라보려고 마음을 기울인다고 할 텐데, 어느 책을 펴낸 이는 갑작스레 목돈을 벌면서 눈이 돌아갔고, 이 나라를 이끈다는 어떤 이는 이런 책이 팔리거나 읽히면 안 된다고 여겨서 억눌렀습니다. 또 어떤 이는 이런 책이 나오건 말건 어린이를 안 쳐다보았고, 어떤 이는 그저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1980년뿐 아니라 2000년까지도 어린이를 괴롭혔어요. 이제 우리는 어떤 풀밭을 지켜볼 만한 눈길일는지 곱씹을 노릇입니다.


ㅍㄹㄴ


우리는 언제나 ‘갇힌 아이들’과 ‘일하는 아이들’을 기억하자. 진정한 새 시대는 이 어린이들을 따뜻하게 보살핌으로써 활짝 열리는 게 아닐까 … 1979년도의 언젠가, 정부발표에는 소비자 물가가 10퍼센트밖에 오르지 않았다고 했다. 그런데 실제의 우리의 가계부에 꼼꼼히 기록된 물가 상승율은 30내지 40퍼센트였다. 관계장관은 보도기관을 통해서 풍년이라고 양곡의 통계 숫자를 전망했다. 그러나 실제로 시골의 농촌형편은 기뭄과 한랭한 기후로 벼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82, 87쪽)


+


《雜草밭에 누워서》(김태수, 태창문화사, 1980)


37년간이나 국민학교에서 奉職하고 있는

→ 37해나 어린배움터에서 일하는

→ 37해를 씨앗배움터에서 땀흘리는

74쪽


여기에 투영된 생활현실이 읽는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킨다

→ 여기에 담은 삶을 읽으니 마음이 뭉클하다

→ 여기에 깃든 살림을 읽으며 마음이 녹는다

→ 여기에 흐르는 오늘을 읽자니 눈물이 난다

74쪽


고도성장이 추진되면서 대도시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 돈나래를 꾀하면서 큰고장은 사람이 터질듯이 늘어났다

→ 나래돋이를 일으키며 큰고장은 사람이 부쩍 늘어났다

7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