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숲집놀이터 294. 남들은 책날(세계 책의날)
해마다 4월 23일을 ‘책날(세계 책의날)’이라 하는 듯하다. 4월 23일이 저물녘에 비로소 알아챈다. 속으로 “그런가?” 하고 혼잣말을 하다가 이내 잊는다. 집안일을 하고, 집살림을 맡고, 읍내 나래터(우체국)로 얼른 글자락을 부치러 시골버스를 타고서 달려가야 하고, 숨돌릴 틈이 없이 바깥일을 보고서 겨우 어느 기스락 걸상에 앉아서 다리를 주무른다. 퉁퉁 부은 다리를 천천히 주무르고, 만지기만 해도 욱씬거리는 발가락을 하나하나 푼다. 두 아이하고 날마다 쓰는 나눔글(교환일기)을 쓰고 나니 팔뚝과 손목마저 시큰거린다. 지난 4월 19∼22일을 고스란히 부산·대구·서울을 돌고서 고흥으로 돌아온 터라 등허리까지 결린다.
그나저나 오늘이 책날이라고 하지만, 시골사람으로서는 하나도 느낄 수 없다. 어느새 오늘 아닌 어제로 넘어가고, 마당에만 서도 밤개구리와 밤풀벌레와 밤새가 베푸는 소릿가락이 너울거린다. 구름이 모두 걷힌 밤하늘은 캄캄한 어둠빛이면서 별이 초롱초롱하다. 멍하니 하늘바라기와 들바라기를 하면서 후박나무 곁에 선다. 후박나무는 한봄부터 새잎과 꽃을 내면서, 늦봄부터 한여름 사이에 가랑잎을 떨군다. 숱한 늘푸른나무는 한겨울에도 잎이 푸르되, 봄여름에 잎갈이를 한다.
책날이기에 책을 기리고 그리는 이웃님이 많다. 그런데 책날에 나무를 기리고 그리는 이웃님은 드물다. 책날에 들숲메바다를 기리고 그리는 이웃님은 더더욱 적다. 책날에 ‘아이들한테 물려줄 들숲메바다를 푸르고 파랗게 사랑으로 기리고 그리는 이웃님’은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책날이기에 책을 복판에 놓고서 기리고 그려야 맞을 텐데, 책이 어디에서 오는가? 책을 이루는 몸은 바로 들숲메바다에서 온다. 숲에서만 오는 종이가 아니다. 바다가 파란빛으로 넘실거려야 숲이 나란히 푸르고, 숲이 나란히 푸를 적에 들도 함께 푸른데, 들이나 바다가 망가지고 메가 앓으면 숲도 죽어간다. 곧, 책을 이루는 종이란 들숲메바다가 바탕이기에, 들숲메바다한테 먼저 고맙다는 마음을 들려주는 하루일 적에 책날이 빛나리라 본다.
책에 담는 이야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바로 아이들을 사랑으로 품고 보살피는 푸른집(싱그러운 보금자리)에서 온다. 책날일수록 더더욱 들숲메바다와 보금자리를 돌아보고 되새기는 이웃님이 늘기를 빈다. 책날일수록 우리가 어른으로서 아이들한테 무엇을 물려주고 남기려는 하루인지 더더욱 깊이 짚고 다루며 생각할 일이라고 본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