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 가난한 책읽기

팔랑귀



  나를 처음 만나는 분들이 처음 터뜨리는 말은 낯설기도 하고 새롭기도 하지만, 지겹기도 하고 웃기기도 한다. ‘정년퇴직 교수’라 하고 ‘이웃나라에서 오래 살기도 했다’는 어느 분이 끈질기게 묻는다. “틀림없이 부모 가운데 한 쪽이 외국사람 아니에요?” 우리 어머니와 아버지는 충청남도 예산과 당진 시골자락에서 태어나서 시골아이로 자라고서 인천으로 건너와서 젊은날을 보내며 아이 둘을 낳아서 돌보았고, 이제는 충청북도 음성으로 옮겨서 늘그막을 살아낸다. 어머니 쪽 할매할배도, 아버지 쪽 할매할배도, 그냥그냥 다 시골내기 논밭지기였고, 아버지 할배 쪽은 황해도 해주하고 오랜 줄이 닿는 줄 안다.


  1994년에 인천을 떠나 서울에 있는 한국외대 네덜란드말 학과에 들어가기 앞서도 나더러 “네덜란드사람 아니에요?” 하고 묻는 분이 제법 있었고, 어느 분은 “네덜란드사람 피가 흘러서 ‘엄마말’을 배우려고 하나 봐요?” 하는, 그야말로 뜬금없는 말을 자꾸자꾸 캐묻기까지 했다. 어느 날에는 “베트남사람 아니에요?”라든지 “일본 관광객인 줄 알았어요.”라든지 “일본에서도 오키나와 쪽이나 훗카이도 쪽 사람 아니었어요?”라든지 “미국사람 아니에요?”라든지 “덴마크사람인 줄 알았는데.”라든지 …… 열 살 무렵부터 쉰 살이 넘은 나이에 이르도록 ‘뿌리나라’가 어디인지 알쏭달쏭하다고 물어대는 분이 참으로 많다.


  문득 하나하나 짚자니, 나더러 뿌리나라가 어디냐고 묻는 분 가운데 ‘중국’을 꼽은 사람만 없고, 푸른별 웬만한 나라 이름을 다 들었다. 네팔이나 부탄이나 버마를 묻는 사람이 있었고, 페루나 아르헨티나나 에콰도르를 묻는 사람이 있었다. 이렇게 묻는 소리에 질려서 이따금 “제 피를 살피니 우리별 모든 나라에 한 분씩 다 있더군요.” 하고 대꾸한다. 아마 우리는 이 나라 이 땅 사람이기 앞서 ‘푸른별 모든 나라’에서 지난날 다 살아낸 발자취가 있을 만하다. 오늘은 ‘한나라(한국)’라는 몸을 입되, 누구나 지난날에는 ‘온나라(전세계)’ 곳곳에서 다 다른 삶과 살림과 사랑을 누렸다고 할 만하다고 본다.


  팔랑팔랑 나비를 지켜본다. 한가을 부산 한복판인데 새끼손톱만 한 부전나비가 발등을 스친다. 풀밭에 쪼그려앉는다. “넌 어느 나라 나비이니?” 하고 물어본다. 나비가 어처구니없다며 팔랑팔랑 날갯짓으로 휙 저기로 간다. 나도 빙그레 웃는다. 나는 나인걸. 나는 인천사람도 서울사람도 부산사람도 아니고, 전라사람도 고흥사람도 아니고 충청사람도 아니다. 그저 나는 나라는 사람이다. 나는 어느 한 곳을 뿌리나라로 삼을 마음이 아예 없다. 나는 나한테 스스로 새롭게 살라는 길을 찾으라고 책노래를 들려준다. 2025.10.13.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읽기 / 가난한 책읽기

코찔찔이



  부산과 광주와 서울을 오간 금토일월화 닷새가 지났다. 시골에서 마녘으로 하늬녘으로 집으로 서울로 오가는 길은 늘 찬바람(에어컨)이기도 했으나, 두다리 뻗고 쉴 짬은 밭았다. 긴긴 시외버스를 타며 눈을 감으니, 몸은 나더러 작작 움직이라고 나무란다. 새달 한가을 첫날에 코찔찔이가 되어 골이 띵하다.


  내가 쓰는 자리셈틀(데스크탑)은 보임판(모니터)이 숨을 다했단다. 셈틀은 멀쩡하단다. 두 아이가 쓰는 셈틀은 어느덧 열한 해가 되어서 숨을 다한 듯하단다. 빛살림(전기제품)을 한꺼번에 바꾸는 일인데, 예전에도 살림갈이는 한몫에 했다고 느낀다.


  작은아이하고 저잣마실을 나와서 다리를 쉰다. 책을 챙겼으나 읽지는 못 한다. 한가을 한낮볕은 하나도 안 뜨겁다. 곧 겨울이겠구나. 해는 시골들녘을 고루 비춘다. 시골버스 일꾼은 시골버스가 쩌렁쩌렁 울릴 만큼 온갖 노래를 귀청 찢으려는 듯 튼다. 이제 집으로 잘 돌아가서 눕자. 책벌레라고 하더라도 코찔찔이로 훌쩍이는 날에는 책을 못 편다.


  손길을 기다리는 책한테 다가서려면 몸과 마음이 나란히 튼튼할 노릇이다. 휘청거리거나 훌쩍거리거나 비틀거리거나 찔찔대는 몸이라면 골이 띵하면서 마음이 흔흔들할밖에 없다. 저녁을 차려놓고서 자리에 누워서 곰곰이 짚는다. 몸 어느 쪽이 어떻게 왜 삐걱대는지 헤아린다. 왼손으로 오른팔을 주무르고서, 오른손으로 왼팔을 주무른다. 왼손으로 왼허벅지와 왼종아리와 왼발을 주무르고, 오른손으로 오른허벅지와 오른종아리와 오른발을 주무른다. 이제 두 손을 맞잡고서 열손가락을 나란히 주무른다. 머리와 이마와 눈밑과 코밑과 귀밑을 주무른다.


  한가을 시골집은 한가득 풀벌레노래로 빛난다. 풀벌레는 늦가을까지 노래를 베풀 테지. 나는 나한테 무엇을 베풀며 이 하루를 마무리하는가. 2025.10.1.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10.8.

숨은책 832


《풍차 Molen》 2호

 화란문학회 엮음

 외대 화란문학회

 1982.1.



  서울에서 ‘대학생’으로 한동안 살던 무렵, 살림돈을 벌려고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하면서 으레 쓰레기통을 뒤졌습니다. 하루일을 마친 새벽 04:30 즈음부터 빈 짐받이에 실을 헌옷이나 헌책을 살피며 골목을 다시 돌고, 한국외대 학생회관 쓰레기통도 들여다봅니다. 저는 50원이 아쉬워서 굶거나 서서읽기를 하는데, 둘레에서는 “다 읽은 책이야” 하면서 가볍게 버려요. 저는 2007년까지 새옷을 안 사다시피 했습니다. 늘 줍거나 얻었습니다. 버림받은 더미를 뒤적여서 읽을거리를 찾던 1994년 어느 날 ‘과방 청소’를 할 적에 언니들이 ‘낡은종이’라 여기며 버리던 뭉치에서 《풍차 Molen》을 보았어요. “아니, 이 책을 왜 버려요?” “낡은 문집을 누가 봐? 그냥 버려.” “네? 어, 어…….” ‘네덜란드말 학과 발자취’가 고스란한 꾸러미 스무 자락이 버림받느냐 마느냐 하는 갈림길에서 한 자락을 겨우 건사합니다. 나중에 뉘우칩니다. 내 몫으로 하나를 건사한다면, 이웃 몫으로 너덧은 더 건사해야 하는데, 그만 모두 불쏘시개로 사라집니다. 헌종이를 되살려 새종이로 삼는 일은 훌륭합니다. 그런데 우리 스스로 일구고 땀흘린 자취를 담은 책이나 꾸러미(수첩·회지·일기·기록)는 하나라도 챙겨야 할 텐데요.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10.8.

숨은책 891


《韓國美術史》

 김원룡 글

 범문사

 1968.4.30.



  이 나라에서 ‘서울대(+ 경성제국대)’는 벼슬자리를 쥐락펴락하는 웃머리 노릇을 오래도록 잇습니다. 서울대나 ‘서울에 있는 배움터’를 마쳤어도 조용히 착하게 사랑스레 살림을 펴는 일꾼이 있으나, ‘서울벼슬’을 노리고 거머쥐며 휘두르는 무리가 드셉니다. 이승만·박정희·전두환은 서울벼슬을 좋아하는 이들 무리를 감싸면서 북돋았고, 떡고물과 떡을 혼자 차지하면서 길(연구·이론)을 그들 마음대로 바꾸거나 비틀었습니다. ‘서울대·고은 시인’을 몹시 좋아하는 유홍준 씨는 ‘서울대 고고학과’를 연 김원룡도 아주 우러릅니다. 김원룡이 어떤 ‘식민사관’에 얼마나 ‘박정희 섬기기’를 했는가 하는 발자취는 본 체 만 체이지요. 《韓國美術史》를 되읽다가 생각합니다. 이런 책은 이름만 ‘韓國○○○’입니다. 이웃나라 ‘日本美術史’라든지 ‘日本○○○’를 고스란히 따왔다고 느껴요. 꾸밈새·판짜임·엮음새에 고스란히 옆나라 손끝을 따온 티가 물씬 납니다. 이제부터 ‘한그림’을 다시 바라보고, ‘한자취(한국사)’를 새로 들여다보는 눈을 틔워야지 싶습니다. “서울대로 가두고 갇혀서 길든 굴레”가 아닌, “‘한사람’으로서 한그림을 빚고 한살림을 여미며 한말을 한글에 담는 한빛”을 헤아릴 때이지 싶습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읽기 / 가난한 책읽기

가까이 없는



  시골로 깃드는 사람만큼 시골을 등지는 사람이 있다. 안 살던 사람은 그리워한다. 살던 사람은 괴로워한다. 서울을 벗어나고 싶던 사람은 또다른 담벼락에 쓸쓸해서 떠난다. 꿋꿋이 맞서다가 더 두메로 숨어드는 분이 있다.


  시골에도 책읽는 사람이 있되 매우 드물다. 어느 모로 보면 “시골은 책 안 읽는 곳”이요, “이웃과 동무가 새로 일군 열매”를 받아들여서 배우려는 마음이 터무니없도록 얕다고 할 만하다. 서울이라서 책을 더 읽지는 않는다만, 서울과 부산과 제주와 경기는 마을책집이 꾸준히 싹튼다. 시골에 매우 드물게 책집이 싹트지만, 시골사람이 아닌 먼먼 서울사람이 찾아간다.


  책읽기는 안 해도 ‘테레비’에 기대던 시골사람인데, 이제는 ‘유튜브’에 기댄다. 그런데 이분들은 테레비도 유튜브도 여태껏 보던 대로만 본다. ‘다른 목소리’는커녕 ‘새로운 목소리’에 아주 귀를 닫는다. ‘살림소리’나 ‘들숲소리’나 ‘사람소리’나 ‘사랑소리’에는 오히려 귀를 안 열고 눈을 안 뜨는 시골사람 매무새를 숱하게 지켜본다.


  오른쪽에 선다면 왼목소리를 들을 노릇이다. 왼쪽에 선다면 오른목소리를 들을 노릇이다. 그동안 책은 왼오른을 아우르거나 넘어서면서 “우리별에서 우리가 우리집을 일구는 울력”을 베풀고 선보였다. 여태까지 온갖 책은 “이 파란별(푸른별)에서 다 다른 너와 나를 느끼고 만나고 어울리면서 짓는 살림과 사랑”을 풀어놓고 그려냈다. 그러니까 책읽기란, ‘온목소리’를 듣고 새기고 나누면서, 서로 ‘온사람’으로 서는 즐거운 마실길이다. 다 다르기에 다같이 ‘파란길’과 ‘푸른숲’을 가꾸려는 노래길이면서 놀이길에 일꽃길이라고 느낀다.


  시골에는 가까이 없는 책집이니까, 시골에서 살림짓는 사람으로서 “시골하고 먼 서울·큰고장”으로 책집을 찾아간다. 서울·큰고장에 다다르면, 마을에 살포시 깃드는 작은책집으로 걸어간다. 새벽길부터 나선다. 논둑길을 지나서 옆마을에 닿는다. 첫 시골버스를 타고서 읍내로 간다. 시골은 버스나루도 가까이에 없다. 그래서 사뿐사뿐 논둑길을 거닐며 하늘바라기를 하는 두다리는 ‘다리꽃’을 이룬다.


  가까이에 있는 들녘 모시꽃을 쓰다듬는다. 가까이를 날아가는 멧비둘기와 물까치를 바라본다. 아직 논에는 흰새가 날아앉는다. 부들꽃도 피었다. 차조기도 나란히 꽃을 피운다. 달개비 파란꽃에 돌콩꽃도 줄줄이 오른다. 가까이 있는 파란바람을 온몸에 안는다. 가까이 없는 마을책집과 골목책숲을 헤아린다. 가까이 있는 빗방울과 이슬방울과 눈물방울을 돌아본다. 가까이 없는 꽃씨와 숲씨와 풀씨를 곱씹으면서 말씨를 품는다. 2025.9.19.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