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2.11.
숨은책 903
《마우스 북페어, 제1회 : 우리들의 첫 책》
편집부 엮음
마우스 북페어
2023.12.9.
2024년 12월에 부산 한복판에서 ‘책쥐는 우리(마우스 북페어)’ 두걸음이 열렸습니다. 조촐히 책잔치를 연 분들은 ‘마우스 북페어’라는 영어를 썼습니다만, 이 자리를 한참 거닐고 돌아보면서 문득 ‘책쥐는 우리’라는 이름이 떠오르더군요. ‘쥐순이·쥐돌이’가 나란히 ‘책쥐순이·책쥐돌이’로 나오는 그림을 한참 바라보자니, “책을 쥐다 + 책읽는 쥐”를 단출히 ‘책쥐’라 하면서 ‘+ 우리’라고 하면 어울리겠구나 싶더군요. 책쥐잔치 첫마당인 2023년에는 짬이 안 맞아 나들이를 못 하고 《마우스 북페어, 제1회 : 우리들의 첫 책》만 장만했습니다. 서울에 있는 책마을(출판단체)이 아닌, 부산에 깃든 책집지기 손길로 여민 자리는 이름을 내세우지도 허울을 붙이지도 않더군요. 더 많이 끌어들이려는 책마당이 아닌, 그저 수수하게 책을 노래하며 즐기려는 이웃을 맞아들이려는 책수다에 책놀이로 꾸렸다고 느낍니다. 2024년 12월 부산에서는 ‘부산국제아동도서전’도 열렸는데, 이 자리는 ‘서울에 있는 책마을’에서 자리를 꾀하면서 ‘부산책잔치’가 아닌 ‘서울책잔치’가 되더군요. 부산에서 어린이책을 내는 사람들 목소리가 하나도 없는 ‘부산국제아동도서전’은 그야말로 허우대만 멀쩡한 셈입니다. 이제 우리는 “우리 이야기”를 나누는 작은책마당을 열고 누리고 노래할 때라고 봅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