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46


《自轉과 公轉》

 성내운 글

 새교실

 1976.1.1.



  부릉부릉 몰지 않는 길잡이(교사)가 더러 있을 테지만,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길잡이는 걸어서 배움터를 오가지 않는다고 할 만합니다. 시내버스나 시골버스를 타는 길잡이조차 드뭅니다. 지난날에는 교사·교무주임·교감·교장 다 걸어다니며 아이 곁에 섰어도 아이들을 두들겨패고 돈을 우려냈습니다. 《自轉과 公轉》은 그즈음 길잡이답지 않은 길잡이를 나무라는 줄거리를 담아서 “새교실 1월호 보너스 북”으로 처음 나옵니다. 짐(숙제)을 마구 퍼붓기, 힘을 쥐락펴락 눈치보기, 끝없는 청소와 대청소, 너무 길고 넘치는 수업이 왜 어떻게 배움길하고 동떨어지는지 짚으면서, 이 나라 배움판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하고 보탭니다. 스스로 밝게 살림하지 않는다면, 아이가 물려받을 살림과 사랑도 못 짓게 마련입니다. 부릉부릉 다니는 길잡이는 아이들한테 ‘너희도 스무 살 지나면 이렇게 다니라’고 알리는 셈입니다. 같이 거닐면서 다 다른 철을 느끼고 이웃마을을 헤아리고 하늘빛과 들빛을 읽는 눈썰미를 나눌 때라야 길잡이입니다. 다만 1976년과 2025년은 뒤집어진 듯싶습니다. 지난날에는 가르침이 없었다면 오늘날에는 배움이 없어요.


“청소하는 사람을 따로 쓰자면 돈이 드니 어린이에게 시켜서 돈을 아끼기로 하자” 이래서 시키시는 청소는 아닐 것을 저는 빕니다 … 그런데 이상하네요, 지금의 우리 선생님은 이토록 성질이 건강하신데도 다른 선생님들은 어째서 그토록 심한 병을 얻으셨을까요? 병을 앓으신 선생님들을 위해서나 그분들한테서 배우느라고 날마다 그럭저럭 열시간 가까이를 그분들 곁에서 지내는 저희들 꼬마들을 위해서나 한시 바빠 그 병을 고쳐야 하겠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67, 73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48


《女工 20년 후》

 鹽澤美代子(시호자와 미요코) 글

 이길진 옮김

 청년사

 1979.9.5.



  문득 생각해 봅니다. 《女工 20년 후》를 되읽으면서 “대학생 스무 해 뒤”라든지 “고졸 스무 해 뒤”라든지 “무학 스무 해 뒤”라든지 “군복무 스무 해 뒤”라든지 “농부 스무 해 뒤”라든지 “탈시골 스무 해 뒤”를 놓고서 이야기를 여민다면, 우리 삶은 스무 해에 걸쳐 어떤 발걸음이라고 돌아볼 만할까요. 이웃나라 일본이라면 “가미카제 스무 해 뒤”라든지 “제국주의 스무 해 뒤”처럼 스스로 되새기는 길을 짚을 만합니다. 우리는 “독재자 스무 해 뒤”라든지 “아동학대 스무 해 뒤”를 뼈아프게 되짚으면서 왜 예나 이제나 똑같이 굴레를 쓰는지 눈물로 곱씹을 일이라고 봅니다. 일순이도 일돌이도 가난한 흙지기였습니다. 싸움터로 끌려가서 이슬이 된 숱한 사내도 흙지기였습니다. 돈있거나 힘있거나 이름있는 이들은 일터에도 싸움터에도 시골에도 안 갔습니다. 예나 이제나 매한가지입니다. 누가 글을 쓰지요? 누가 글을 읽지요? 붓을 쥔 사람은 어디에서 뭘 하지요? 밥을 안 먹으면 죽는다면서 정작 ‘밥을 낳는 시골’에서는 살 마음이 터럭만큼도 없고, 시골하루는 글로 싣거나 다루지도 않는 이 나라는, 앞으로 스무 해 뒤에 어떤 몰골일는지 그려 봅니다.


그러나 역시 가난한 농민인 어머니만은 눈물을 흘리면서 “귀여운 딸내미들이 파업할 기분이 나게 되기까지는 얼마나 고통을 받았을까 …… 얼마 되지 않은 봉급을 갖다 주는 네게, 그 일에 대해 자신과 자랑을 갖게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을 때 나는 좀더 급료가 많았으면 하고 바랬었다.” (15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1010


《바람직한 現代의 女性》

 임명미 글

 경춘사

 1985.11.25.



  동덕여자대학 가정교육과 교수라는 분이 쓴 《바람직한 現代의 女性》은 1985년에 나옵니다. 이분이 1985년까지 가르친 바에, 이때 뒤로도 가르쳤을 얼거리를 담은 꾸러미요, 동덕여대뿐 아니라 다른 배움터에서도 비슷비슷하게 바라본 눈높이라고 느낍니다. 곰곰이 보면 “바람직한 오늘돌이”를 다룬 글이나 꾸러미는 무척 드뭅니다. 서로 헤아리는 마음, 함께 일하고 쉬며 북돋우는 매무새, 어질며 따사로이 가꾸는 숨빛, 언제나 사랑으로 살림하고 어울리는 넋 같은 이야기를 돌이한테 제대로 들려주고 배우는 길을 세울 노릇입니다. 이 길은 돌이뿐 아니라 순이도 나란히 듣고 배울 적에 아름답겠지요. 그러나 《바람직한 現代의 女性》은 얌전하고 보기좋은 몸매·옷차림·말씨를 짚는 얼거리에서 그칩니다. 그야말로 낡았어요. 어느덧 마흔 해가 지난 2025년에는 “빛나는 오늘순이” 이야기를 어떻게 가르칠까요? 어깨동무와 어울림과 사랑이 무엇이며, 사람이 이 별에서 살림하는 뜻을 얼마나 들려주려나요? 모든 일터·삶터·마을·집·모임에서 순이돌이가 고르며 너그러이 지내는 길이 무엇인지 찬찬히 짚어서 처음부터 새롭게 함께 배워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현대의 패션에서 이상적인 몸매는, 남녀 모두 가늘고 긴 체형이면서도,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너무 뚱뚱하거나 너무 마르지도 않은 체형이다. (97쪽)


현대의 숙녀는 적어도 外的으로 표현되는 자기體像이 文化패션에 적합하도록 극기를 통한 자기 관리가 우선해야 한다 … 의복에 게으른 사람은 일반적으로 게으른 사람으로 평가되고, 옷이 단정치 못한 사람은 思考方式이 흐트러지고, 組職的 思考가 불가능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 반대로 옷을 단정히 입는다는 것은 자기존중을 포함하여 긍정적 개성을 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더럽고 너덜너덜한 옷을 입고 있는 사람은 그의 마음도 그렇게 만들며, 개인의 몸차림에서 청결은 신앙 다음으로 중요한 것으로 理智的인 習慣이며 자존심 같은 것이다. 그래서 현대의 숙녀는,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차림이 세련되며, 머리가꿈, 화장법, 옷입는것, 부착된 악세사리, 하나하나까지 입는장소, 목적, 때에 잘 어울려야 한다. (98쪽)


1970年代 이후 옷을 T·P·O에 맞춰입는 일이나 격식을 갖추는 일은 점점 그 정도가 희박해 가지만, 격식을 무시할 수 없는 모임이나 파티에 참석할 때에는 禮服에 준하는 禮裝을 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99쪽)


女性의 경우 낭비에 의해서 주부나 어머니로서의 소임에 소홀하여 가정의 平和를 깨뜨리게 되고, 子女敎育도 등한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고, 과다한 支出을 해서 옷을 만들고, (101쪽)


남에 대해 언제나 사랑이 넘치는 생각을 가지며, 조금이라도 남을 싫어하는 마음을 갖으면 그것이 바로 不敬이다. 조금이라도 이런 마음을 가지면, 남이 먼저 나를 싫어한다는 것을 안다 … 자신에게 관계없는 일에 관심을 두지 않으며, 간섭하지 않고, 책임이 없는 한 남을 지도해 주려고 하지 않으며, 자기를 존중하지 않으려는 사람부터는 몸을 빼고, 자기를 도외시하는 것이 人間의 自由 및 品位의 要求임을 알고 (103쪽)


남을 쳐다볼 때는 눈만 갈 것이 아니라 얼굴과 고개를 함께 돌리고, 고개가짐, 몸자세, 움직임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똑바로 앉고, 똑바로 서고, 똑바로 걷는다. 의자에 앉거나 서 있을 때 손을 앞으로 모으고, 다리를 포개거나, 팔짱을 끼는 것은 쉴 때의 자세임을 안다. (105쪽)


거짓말하지 않으며 언행을 일치시키고, 정확한 표준어, 정확한 경어를 사용하고, 윗사람이 안 계신 자리에서도 적절한 경어를 사용해서 말한다. 웃어른과 일할 때는 농담 섞인 말은 하지 않는다. 최대의 관심은 남을 즐겁고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자기의 의견과 다른 의견에 기를 쓰고 다투지 않으며 남에게 이기는 것만 아니라 남과 어울려 살아가면서 남을 도와주기도 하고 남을 따르는 데서 행복과 보람을 찾는 여성이 바람직한 현대 여성이라고 생각한다. (11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1009


《나라사랑의 길》

 편집부 엮음

 강원도

 1967.2.1.



  예나 이제나 ‘나라사랑’이란 이름을 내거는 무리치고 참말로 나라를 사랑하는 이를 보기는 어렵다고 느낍니다. 일본스런 한자말 ‘애국’을 붙일 적에도 매한가지입니다. 위아래를 끔찍하게 가르고, 왼오른이 사납게 싸우고, 순이돌이가 서로 미워하는 굴레를 씌우는 나라를 어찌 사랑할까요? 사랑이란 앙금·멍울·생채기를 품고 풀어 녹이는 길입니다만, 쌈박질과 길미질과 뒷질과 막질에는 함부로 안 붙이는 말입니다. 강원도지사가 우두머리한테 잘 보이려고 꾸민 《나라사랑의 길》이라는 꾸러미는 껍데기는 ‘나라사랑’이라 붙이지만, 허깨비(독재자)한테 잘 보이면서 굽신거리는 얼뜬 줄거리만 잔뜩 담습니다. 지난날이나 오늘날이나 이런 허튼짓을 하느라 돈을 참 잘 씁니다. 모름지기 사랑은 보금자리에서 싹틉니다. 작은 살림집에서 어버이가 아이를 돌보고 어른이 아이를 보살피는 길부터 사랑이 자라요. 보금자리에서 마을로 사랑이 퍼지고, 마을에서 고을로 사랑이 번지고, 고을에서 고장으로 사랑이 뻗고, 이윽고 나라와 온누리에 사랑이 스밉니다. 허깨비와 감투잡이 얼굴을 큼지막하게 앞세우는 꾸러미는 눈속임에 눈비음에 눈가림일 뿐입니다. 바꿀 노릇이고 가꿀 살림입니다. 손수 집안부터 일구면서 사랑씨를 심을 일이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1008 


《국민과 함께 내일을 연다》

 재정경제부·한국개발연구원 엮음

 대한민국 정부

 1998.9.1.첫/1998.9.5.2벌



  2024년 12월 30일에 광주 금남로를 걷는데 “제주항공 참사 분향소”가 커다랗게 보입니다. 한참 고개를 갸웃했습니다. 왜 ‘제주항공 참사’라는 이름을 붙일까요? 펑 터지면서 그만 애꿎게 179사람이 죽은 날개가 ‘제주항공’ 것이기는 하되, 날개를 몰던 분은 끝까지 모두 살리려고 온힘을 기울였습니다. 그러나 ‘무안공항’에서 2024년 12월 4일에 갑자기 ‘정기 국제선’을 잔뜩 늘려서 쉴새없이 온갖 날개가 “열일곱 해 만에 처음으로 제대로” 오르내린 지 고작 세이레 만에 큰일이 터졌습니다. 길(활주로)을 비롯해 담(외벽)을 허술하게 둔 채 날개만 한꺼번에 띄운 일은 누가 꾀하고 밀어붙였을까요? 바로 이들, ‘까만 양복차림 아저씨’들이 이 궂긴일을 일으켰다고 할 만합니다. 《국민과 함께 내일을 연다》는 나라에서 찍은 비매품일 텐데, 나흘 만에 2벌을 찍습니다. “‘국민의 정부’ 경제 청사진”을 밝힌다 하고, 속에 “贈 第二軍司令官 大將 曺永吉”처럼 널리 뿌린 자국이 남습니다. 떼죽음은 “무안공항 참사”라는 이름이어야 맞습니다. 무안공항을 허술하게 짓고 팽개친 모든 이가 달게 값을 치를 노릇입니다. 1998년 12월에 멀쩡하고 깨끗한 바닷가를 싹 밀어서 하늘나루를 닦은 일부터, 2024년 12월에 ‘정기 국제선 개통잔치’를 벌인 일까지, 낱낱이 잘잘못을 가려야 합니다. 목소리로만 “국민과 함께 내일을 연다”고 읊지 말고, 다들 나란히 사슬(감옥)로 가시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