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25. 사읽고서



  사읽고서 쓰는 사람이 있고, 그냥받고서 쓰는 사람이 있다. 사읽은 사람은 사읽은 대로 느껴서 글쓰고, 그냥받고서 읽은 사람은 그냥받으면서 느끼는 결을 따라서 글쓴다. 누리책집으로 사서 집에서 책을 받으면 책얘기나 줄거리만 짚을 테고, 품을 들여서 책집마실을 하는 사람은 이웃마을을 돌아본 하루를 녹여서 글로 담아낸다. 책집마실을 기꺼이 하면서 글쓰는 붓잡이가 드문드문 있되, 오늘날 숱한 붓잡이는 으레 그냥받기나 누리책집으로 만난 책을 놓고서 거의 줄거리만 짚곤 한다.


  부산과 서울을 기차 아닌 시외버스를 타고서 오가는 사람은 적다. 한가위나 설이라면 기차표가 일찍 동나니까 시외버스를 탈 텐데, 여느날에도 기차는 붐비고 시외버스는 널널하다. 요즈음 시외버스는 무척 깨끗하고 널찍하다. 다만 버스손님 가운데 쓰레기나 커피를 널브러뜨리는 사람이 꽤 있고, 시끄러이 전화하는 사람이 곧잘 있을 뿐이다.


  버스를 타면 언제나 버스일꾼 얼굴과 몸짓을 보고 느낀다. 버스에 탈 적부터 내릴 때까지 우리는 다같이 한몸이다. 버스일꾼이 느긋하면 손님도 느긋하고, 손님이 왁자지껄하면 버스일꾼도 귀아프다. 부산을 떠나는 버스는 가람을 스치고 잿밭(아파트단지)을 비끼고 멧숲 사이로 달린다. 부산갈매기 여럿이 버스 너머로 날아간다. 인천갈매기랑 고흥갈매기랑 다르면서 나란한 깃빛과 낯빛을 느낀다. 세모김밥을 먹다가 노래를 쓰다가 책을 읽다가 슬쩍 눈을 붙여야지. 등짐에는 책이랑 올리브가 들었다.


  올해 제비는 다 날아갔을까? 우리집으로 날마다 찾아오던 꾀꼬리는 오늘도 찾아올까? 가을 앞둔 시골에서 참새떼는 농약바람과 씽씽트럭 틈새에서 잘 살림하기를 빈다. 이 나라가 새를 사랑하고 바라보는 ‘새나라’로 서기를 빈다. 누구나 새를 돌아보 이웃하는 ‘새사람’으로 거듭나기를 빈다.


  안 사읽고서 안 쓰는 사람이 많다. 그냥받고서 꿀꺽하는 사람도 많다. 사읽지만 안 쓰는 사람이 많고, 그냥받기를 안 하면서 그냥 안 쓰는 사람도 많다. 말하기는 마음을 소리로 밝히는 길이라면, 글쓰기는 마음을 스스로 새기는 길이다. 살림하는 마음을 가꾸고 싶으니 꾸준히 말결을 가다듬고서 새말을 일군다. 사랑하는 하루를 돌보고 싶으니 언제나 글결을 추스르고서 새글을 여민다. 오늘 하루도 하늘이 맑다. 나는 하늘을 보면서 쓴다. 나는 밤하늘빛을 담고서 쉰다. 나는 땅을 디디면서 읽는다. 나는 이 땅에서 함께 돋아서 자라는 풀꽃나무를 동무하면서 쓴다. 나는 사읽고서 쓴다. 사읽은 오늘 곧장 쓰기도 하고, 닷벌 열벌 스무벌 되읽은 여러 달이나 여러 해 뒤에 쓰기도 한다. 이제 졸리니 그만 읽고 그만 쓰고 눈을 붙여야겠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23. 눈으로 쓴다



  모든 글은 붓을 쥔 손으로 쓰는데, 붓쥐기 앞서 발로 땅을 디디고, 마음으로 삶을 새기고, 귀로 온누리를 듣고, 눈으로 뭇숨결을 읽는다. 눈코귀입을 모두 틔우기에 느끼고 헤아리면서 익힌다.


  눈을 떠서 하늘과 구름과 새와 들숲을 본다. 눈을 감고서 우리집과 곁님과 아이들 숨결을 바라본다. 책을 쥐고서 한 쪽씩 넘기고, 나뭇잎을 살살 쓰다듬고, 콧잔등을 스치는 바람을 돌아본다.


  작은나무가 모여 큰숲을 이루고, 큰나무가 어울려 작은숲을 이룬다. 솜씨나 재주에 기대면 길들지만, 손길과 발길을 부드러이 잇는 사이에 길을 연다.


  네가 있는 곳과 내가 선 곳 사이에는 해바람비가 드나든다. 우리가 살림하는 곳에는 풀꽃나무가 깃든다. 서로 사랑하는 마음을 모아서 보금자리를 들숲메에 짓는다.


  아무리 다 다르던 숨빛으로 태어났어도, 다 똑같이 짜맞춘 학교와 입시지옥과 서울과 아파트와 자가용과 인문학과 주의주장에 스스로 가두면 으레 쳇바퀴질로 기울어버린다.


  여태 똑같은 구름이나 비가 있은 적이 없다. 나뭇잎은 모두 다르고 풀도 다 다르다. 그렇지만 가두리(공장식 축산·농업·교육·사회·정치·문화·예술)에 빠지면, 아예 똑같이 판박이가 된다. 어떻게 다 다른 사람이 다 비슷하거나 똑같이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가?


  듣기 좋은 말을 바라는 마음이기에 닮다가 닳을 뿐 아니라 담벼락을 세워서 닫아걸더니 끼리끼리 닦달하는구나. 굳이 듣기 나쁜 말을 들을 까닭은 없다. 그저 스스로 배울 말글을 찾아나설 노릇이고, 배우려면 틀을 스스로 깨야 한다. 틀과 굴레를 안 깨니까, 깨어나지 않는 종살이에다가, 깨닫지 못 하는 얼뜬 나날이다.


  쉽게 말하지 않으면 다 거짓말이다. 수수하게 글쓰지 않으면 다 거짓글이다. 쉽게 말하는 길을 스스로 헤아리기에, 들이쉬고 내쉬는 바람에 서리는 바람빛을 읽고서 낱말로 담는다. 수수하게 글쓰는 살림을 스스로 살피기에, 숲이 왜 푸르게 우거지는지 알아차리면서 글씨를 빚는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무안나루 떼죽음 (2024.12.30.)

― 광주 〈소년의 서〉



  이름은 누가 어떻게 붙이느냐도 대수롭지만, 이 이름을 어떻게 맞아들여서 품느냐부터 그야말로 대수롭습니다. 처음부터 깊넓게 뜻을 담을 수 있고, 이름을 받은 우리가 손수 이모저모 씨앗을 심고 돌보듯 차근차근 북돋울 수 있어요. 몰래 감추거나 숨기는 꿍꿍이로 이름을 꾸밀 수 있어요. 사람들이 속기를 바라면서 뒷짓으로 헛이름을 붙이는 무리가 있습니다.


  2024년 12월 29일 아침 9시 즈음, 전라남도 무안나루에서 날개가 갑자기 펑 터졌습니다. 아주 어처구니없습니다. 멀쩡한 날갯길(활주로)에서 멈추는가 싶더니 펑 하면서 숱한 사람이 슬프게 목숨을 잃습니다. 그런데 이 일을 놓고서 ‘세월호 참사’나 ‘이태원 참사’나 ‘용산 참사’처럼 이름을 안 붙이는군요. ‘제주항공 참사’라고 슬그머니 덧씌우고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라고까지 뜬금없이 이름을 내겁니다.


  2025년 8월까지 지켜보노라니, 새로 나라지기가 선 뒤에라야 겨우 ‘무안참사가 일어난 까닭’을 길잡이(조종사)한테 돌리는군요. 날개가 갑자기 하늘에서 멈추었지만, 길잡이는 끝까지 온힘을 다해서 몸으로 내렸고(동체착륙), 아주 잘 내렸으며, 모두 숨돌리면서 살았다고 여겼는데, 날갯길 끝에 뜬금없는 잿더미(시멘트 구조물)가 있는 줄 아무도 몰랐기에 갑자기 몽땅 터지고 말았습니다.


  어쩌다가 2024년 12월 30일에 광주마실을 했습니다. 시골에서는 알 길이 없던 이야기를 광주에서 들으며 한참 생각했습니다. 〈소년의 서〉는 오늘 쉼날인 듯싶어 책집 앞에서 발걸음을 돌립니다. 고흥으로 돌아오는 길에 시골버스나루를 살피니, ‘무안참사’가 있기 앞서 ‘전라도 민주당 벼슬꾼’은 남몰래 하루아침에 무안나루에 ‘국제공항 정기노선’을 열었고, 두멧시골 고흥에까지 ‘무안나루에서 해외여행 가자’는 알림판을 큼직하게 세웠더군요. 이 알림판은 2025년 8월에도 고스란합니다. 숨기지도 치우지도 않고 버젓합니다.


  한겨울은 서로 겹겹이 안고 달래면서 포근하게 품는 철입니다. 여러모로 보면, 세월호가 전라남도 앞바다에서 가라앉은 뒤에 나라지기 박근혜 씨는 끌어내렸지만, 전남도지사나 전남 벼슬아치는 이녁 벼슬자리를 지켰습니다. 무안참사가 있고서 여덟 달이 흐르는 사이에 어떤 벼슬아치도 붙들리지 않았고, 벼슬을 잃지 않았고, 짚기(특검)조차 안 합니다.


  떼죽음으로 슬픈 나라이되, 떼죽음이 벌어져도 어느 누구도 옷을 안 벗고 사슬터(감옥)에 붙들려가지 않습니다. 언제나 ‘나라’란 거짓꾼입니다. ‘나라’ 따위가 아니라, ‘나·너·우리’를 바라보고 서로 다독이는 보금자리를 돌볼 일입니다.


+


[데스크칼럼] '무안 참사' 책임, 고인에 떠넘긴 국토부·한국공항공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93630?sid=103


무안공항 참사 "조종사 과실" 조사결과에 유족·조종사 반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962579?sid=102


무안공항 참사서 쏙 빠진 한국공항공사 '책임 회피' 논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93217?sid=101


무안군, 관광객에 최대 5만원 숙박할인 혜택 제공 - 특별재난지역 포함으로 무안 방문 숙박 할인 확대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8010008320


[제주항공 참사 그 후 8개월]전남도·무안군, 공항 조기 활성화에 안간힘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29833


[제주항공 참사 그 후 8개월]179명 희생…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29823


[취재파일] 무안공항 참사② 30년 경력 미 NTSB 전문가의 시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82608?sid=101


돈 아끼려 '죽음의 벽' 세웠다?…NYT가 본 '제주항공 참사' 원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31947?sid=104


공항 '콘크리트 둔덕'은 불법…무안공항 참사 방지법 통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451342?sid=100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21. 모든 하루



  오늘쯤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올 노릇이라고 느낀다. 집에 쌓은 책더미를 조금 치운 듯하면서도 썩 티는 안 난다. 느긋하되 미루지 않는 길로 여미자고 생각한다. 시골버스에서는 하루글을 쓰고서 눈을 붙인다. 집부터 읍내까지 15㎞이니 조금은 쉴 만하다. 이제 읍내에서 시골버스를 내린다. 숨을 돌린다. 《모퉁이 책 읽기》(안미선, 이매진, 2016)를 읽으면서 걷는데, 글님 눈금이 어쩐지 여러모로 좁다고 느낀다. 글님은 ‘여자들의 책읽기’를 내건다. 이 이름은 나쁘지 않다. 그런데 ‘페미니즘 책읽기’를 하면서 엮는 줄거리는 자꾸자꾸 ‘가시내인 나만 괴롭’고 ‘가시내인 이웃만 괴롭’다는 쪽으로 흐른다.


  이 나라는 아름답지 않다. ‘나라(정부)’라는 틀을 세운 모든 곳은 하나같이 안 아름답다. ‘나라’일 적에는 나라지기라는 벼슬자리를 놓고서 힘꾼(권력자)이 있고, 돈꾼과 이름꾼이 판친다. 이들은 으레 수수한 살림꾼을 억누르며 괴롭히는데, ‘수수한 살림꾼’은 ‘수수한 순이 + 수수한 돌이’이다. 수수한 자리에 있는 사람은 순이돌이가 나란히 억눌리면서 괴로운 얼거리인 ‘나라(정부)’이다.


  모퉁이에 서거나 모퉁이를 돌아서려고 하는 길에서 손에 쥐는 책이라면, ‘사람으로서 책읽기’를 바라볼 만하다고 본다. ‘아이로서 책읽기’에 ‘어른으로 가는 책읽기’를 이을 만하고, ‘사랑하는 책읽기’에 ‘눈뜨는 책읽기’에 ‘숲빛으로 책읽기’를 펴는 동안, ‘겉몸’을 넘어서며 철드는 눈길을 헤아리면서 늘 새롭게 책과 이야기와 오늘을 누릴 만하다고 느낀다.


  ‘보는 눈금’이란 ‘사는 눈금’이다. ‘사는 눈금’이란, 사람으로서 살림을 사랑으로 여미는 ‘눈’과 ‘금’이다. 거꾸로 볼까? 누가 ‘남자들의 책읽기’를 내건다면 아예 쳐다보고 싶지 않다. ‘남자들의 책읽기’란 얼마나 비좁아터지면서 외곬일까? 낡은 굴레와 틀을 깨부수려고 하는 길에서는 ‘남자들의 책읽기’도 좁게 마련이요, ‘여자들의 책읽기’도 좁을 수밖에 없다. 우리는 ‘우리 함께 책읽기’를 바라볼 때에 스스로 눈을 뜬다. 우리는 ‘서로 헤아리는 책읽기’를 품을 적에 응어리를 풀면서 생각을 틔울 수 있다.


  문득 ‘군대에서 책읽기’는 있을까 하고 헤아려 본다. 거의 웬만한 ‘최전방 육군보병 소총수’는 책을 아예 못 쥐거나 구경조차 못 하면서 이태를 살게 마련이다. 군대에서가 아닌 ‘집에서 집안일하는 책읽기’라면 어떨까? ‘논밭을 돌보는 틈에 책읽기’라든지 ‘지옥철에서 책읽기’나 ‘걸어다니며 책읽기’처럼, 스스로 두 다리로 선 터전에서 스스로 품을 넖히려고 땀흘리면서 그야말로 쪽틈을 살리는 길을 내다볼 적에는, 누구나 언제나 스스로 비로소 바꾼다고 느낀다. 우리는 남을 바꾸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누구나 언제나 스스럼없이 “내가 나를 가꾸기”를 하면 된다.


  토미 드파울라 그림책 《오른발 왼발》은 그저 사랑책이다. 엘사 베스코브 그림책 《펠레의 새옷》은 성평등과 자립을 일깨우는 살림책이다. 바바라 쿠니 그림책 《미스 럼피우스》는 꿈을 씨앗으로 삶에 심는 길을 깨달은 빛책이다. 윌리엄 스타이그 그림책 《생쥐와 고래》는 다 다른 우리가 이 같은 별에서 어떻게 어깨동무하는 사이로 거듭날 만한지 밝히는 노래책이다.


  먼발치가 아닌 집에서 나부터 바꾸면 어느새 마을이 바뀐다. 풀꽃 한 송이가 오르기에 들빛이 푸르다. 나무 한 그루가 오르기에 마을에 숲빛이 번진다. 어느 책이든 안 나쁘되, 조금 더 눈을 틔우려 한다면, 이 하루를 노래하는 책을 알아보면서 글을 여밀 만하다. 모든 하루는 우리한테 다 다르게 배움길이다.


  이제 몽글구름은 다 사라졌다. 제비노래를 못 들은 지 이레가 지난다. 아직 꾀꼬리는 우리집 뒤꼍으로 찾아와서 노래한다. 물까치는 다시 무리지어서 다닌다. 참새도 떼지어 날갯짓을 한다. 첫가을 길목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17. 이세 히데코 옆에



  깃새지기(상주작가)를 맡는 책집한테 이름을 새긴 나무판을 하나씩 주는 듯싶다. 그런데 둘을 새겨서 책집과 글꾼한테 주면 한결 나을 텐데. 플라스틱이 아닌 나무에 이름을 새긴 판이라서 나도 하나 누리고 싶다. 나무판을 쓰다듬으니 나무내음이 싱그럽다.


  모든 책은 숲에서 온다. 먼저 “책에 담는 이야기”부터 들숲메바다에 해바람비에 풀꽃나무가 있어야 밥옷집이란 살림을 지으니, 모든 이야기는 이런 “살림이야기를 그리는 오늘 이곳”에서 태어난다. 종이는 늘 나무가 베푸는 몸이기에, 우리가 책을 손에 쥘 적에는 “나무를 품은 나무”를 품는 셈이다.


  내가 쓰고 지은 책을 이세 히데코 그림책 옆에 놓는다. 얼결에 나란히 있다. 지난날에는 이세 히데코를 비롯한 뭇책을 그저 읽기만 하던 책벌레였는데, 어느새 책나비(책쓰는이)로 거듭났구나. 쑥스러우면서 고맙다.


  인천과 부산은 닮기에 다르고, 전라도랑 경상도는 다르기에 닮는다. 둘이 나란히 걷는 길에 작은씨앗으로 서는 오늘을 누린다. 늦여름볕이 따뜻하다. 이제 그야말로 가을 어귀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