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늘 배울 뿐이다. 좋은길이나 나쁜길은 없다. 모두 다르게 배움길이다. 나는 글쓴이나 펴냄터를 안 가린다. 배워야 하기에 읽는다. 문득 그대가 최종규라는 까칠쟁이 따위는 읽을 값어치가 없다고 여기면, 그대는 실낱만큼도 못 배우라는 담벼락을 스스로 쌓는 셈이다. 배우기에 누구나 젊고 어리다. 얼굴을 꾸미거나 고치거나 비싼옷 차려입기에 어려 보이거나 젊어 보이지 않다. 배우려 하고서, 배운 바를 익히려고 신나게 땀흘리니 누구나 맑고 밝아서 빛난다. 빛나는 얼굴은 어림이나 젊음이 아닌 빛살일 뿐이다.

나는 왜 모든 책을 다 읽어내려 할 뿐 아니라, 모든 읽은 책을 다 말하려 하는가? 까닭은 오직 하나이다. 배웠고 익혔으니, 둘레에 나누려 할 뿐이다. 나는 목소리를 안 낸다. 내가 쓴 글은 내 목소리가 아나라, 내 배움걸음과 익힘살림이다.

자난밤에 무릎셈틀(노트북)이 숨을 거두었다. 나는 배움살림을 걷느라, 무릎셈틀 살 돈을 못 모아서, 언니한테 사달라고 여쭈었다. 세 해쯤 망설이다가 여쭈었더니, 우리 언니는 "야, 네가 써야 하는데 바로 말해야지!" 하면서 나무랐다. 바깥으로 일을 다닐 적에 늘 크게 밑힘이 된 무릎셈틀인데 어느새 열 해 남짓 썼고, 그동안 두 번 손질(수리)을 맡겼다.  무릎셈틀도 내 책상셈들처럼 허벌나게 일했으니 쉬고 싶었으리라.

그러면 또 언니한테 창피를 무릅쓰고서 여쭈어야 할까?

지난밤과 새벽 사이에 끙끙 앓다가, 새벽 네 시에 자리를 털고 일어나서, 오늘 부산 거제동 '책과아이들'에서 펼 '이오덕 읽기 모임' 밑틀을 돌아보려 하는데, 아차, 어제 부산 연산동 '카프카의밤'에서 이야기꽃을 펼 적에 '손글씨 밑틀(강의안)'을 통째로 놓고 온 줄 뒤늦게 알아챈다.

숨진 무릎셈틀에, 놓고 온 글자락이라니. 어제 2024년 7월 20일은 몹시 후덥지근했고 땀을 옴팡 흘렸다. 그래서 수첩가방을 다 한쪽에 벗어서 놓았는데, 이러다가 밑글꾸러미를 통째로 놓은 꼴이다.

아침 10시부터 '책과아이들'에서 이야기꽃을 펼 텐데, 스스로 참 갑갑하네 하고 돌아본다. 땀이 쏟아져도 수첩가방을 몸에 단단히 붙들어맸어야 했다고 뉘우치지만.

우리는 저마다 바보짓을 곧잘 한다. 실컷 깨지면서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엊저녁에 정지돈이라는 글바치 말썽을 처음 들었다. 아직 그이 책을 따로 사서 읽은 적이 없다. 한국소설은 이미 끝났다고 여긴 터라, 새로 쓰는 국어사전에 소설 보기글을 담을 마음이 없어서 아예 안 읽다시피 한다.

시이든 소설이든 수필이든, 우리말로 바라보자면 다들 '이야기'이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문학은 '이야기'란 없이 '짜맞추기'로 넘쳐난다. 한류 영화와 케이팝과 연속극과 웹툰도 이야기란 없이 짜맞춤(조합.배합)이다. 화학물질 농약과 똑같다.

나는 시골에서 살며 손으로 낫질 호미질을 성기게 할 뿐이라 농약을 아예 안 쓰니까, 농약을 빼다닮은 '서울짜맞춤 한국문학과 케이팝'은 하나도 안 쳐다본다.

잘잘못도 가릴 일일 터이나, 이미 '꿈(문학적 상상력)'부터 없이 문학예술이란 허울만 내세운 문단권력에 무슨 씨앗이나 빛이 있겠는가.

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ㅅㄴㄹ
#숲노래 #최종규 #한국문학 #정지돈 #문단권력 

#이오덕 #글짓기교육이론과실제 #최현배 #고등말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참하게 (2022.11.22.)

― 서울 〈북티크〉



  용산 〈뿌리서점〉을 들렀으나 늦게 여시는 듯해서 책마실을 하지는 못 했습니다. 어떡할까 헤아리다가 〈북티크〉가 멀지 않아 전철을 타고서 찾아갑니다. 골목 안쪽에 깃든 책집은 고즈넉합니다. 바깥에서 부릉거리는 소리가 스미지 않고, 조용조용 어우러지는 마을빛을 그대로 품습니다.


  느긋하면서 넉넉하게 둔 책시렁을 돌아봅니다. 책 한 자락을 살며시 누리는 터전에 깃들며 생각합니다. 시골에는 책집이 없기에 누리책집에서 사거나, 오늘처럼 서울마실을 나온 날에 신나게 장만합니다. 책집을 날마다 가볍게 마실할 수 있다면 굳이 등짐 가득 사지 않습니다. 아니, 날마다 여러 책집을 마실하더라도 눈에 밟히는 책은 바리바리 사들이고야 맙니다.


  한꺼번에 즈믄(1000)을 장만하건 온(100)을 장만하건 열(10)을 장만하건, 우리가 한(1) 자리에 앉아서 읽는 책은 오직 하나입니다. 스무 자락 책을 옆에 쌓아놓고서 읽더라도 하나하나 집어서 폅니다. 여러 사람하고 마주앉아 말을 할 적에 여러 목소리를 듣더라도, 목소리 하나하나 가려서 대꾸하기에 비로소 이야기입니다.


  서울에도 나무가 자라고, 나무가 자라니 풀벌레하고 지렁이가 깃들고, 풀벌레에 지렁이가 숨쉬니, 살며시 새가 찾아와서 노래합니다. 서울에도 골목이 있으니, 이 골목에서 곱게 살림을 짓는 이웃이 있고, 서울이웃은 하루를 가만히 그리고 짓고 일하다가 〈북티크〉 같은 마을책집으로 나들이할 만합니다.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르기에 빛납니다. 다 다른 우리는 다 다른 책을 손에 쥐면서 다 다른 우리 보금자리를 일구기에 아름답습니다. 다 다른 사람이 모두 똑같은 책을 쥐어야 한다면 종살이로 치닫는다고 느껴요.


  으뜸책(베스트셀러)이 나쁘다기보다는, 으뜸책에 사로잡히거나 홀리면, 우리는 그만 우두머리가 시키는 대로 휩쓸려서 ‘다 다른 나’를 잊기가 쉬워요. ‘나래책(스스로 마음과 생각에 나래를 펴도록 북돋우는 책)’을 손에 쥘 적에는, 이 나래책이 고작 열 해 동안 온(100) 자락조차 못 팔렸더라도, 참하게 마음을 추스르고 일구는 길동무로 삼을 만합니다.


  꽃송이가 커다랄 수 있지만, 꽃망울이 조그마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서로 들꽃이라면, 들꽃을 담은 작은책을 곁에 둘 적에 눈망울을 밝힐 테지요. 알아보기에 아름답고, 알아차리기에 착합니다. 차근차근 배우기에 차곡차곡 익혀요. ‘참’을 가리키는 셈은 ‘온(100)’인데, 99도 101도 아닌, 오롯이 즐거운 빛과 길이 100입니다. 이제 책마실을 마치고 고흥으로 돌아갑니다. 햇빛으로 걸었으니 별밤으로 쉽니다.


ㅅㄴㄹ


《안락사회》(나우주, 북티크, 2022.8.31.)

《아기 악어 악악이》(장승욱, 매스메스에이지, 2020.1.3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7.13. 사서읽기 + 서서읽기



  아직 혼살림을 지피던 무렵에 으레 둘레에 들려주기도 하고, 손수 쓰기도 한 글자취를 더듬는다. 혼살림을 꾸리던 날이어도 ‘나중에 내가 아이를 낳아 돌보면?’이라는 생각을 늘 했다. 난 아이들 앞에서 어떤 어버이로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말을 섞을 만한지 곱씹었다.


  책글(서평)을 쓸 적에는 반드시 ‘사서읽기’를 해야 한다고 여겼다가, 이 다짐을 허물기로 하던 즈음 남긴 글을 돌아본다. 가만히 보면, 나는 일찍부터 ‘서서읽기’를 했다. 책을 살 돈이 그냥 없어서 책집에 가도 그냥 ‘서서읽기’를 했다. 둘레에서 숱한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사서읽기’를 할 적에 속이 쓰리기도 하고, 부러워하기도 하고, 시샘도 자꾸자꾸 했다.


  속쓰림에 부러움에 시샘은 차츰 걷혔다. ‘사서읽기’를 할 만큼 돈이 넉넉하더라도 ‘책눈(책을 고르고 읽고 새기고 익히며 살림하는 눈)’이 누구나 밝지는 않을 수 있는 줄 알아챘다. 책은 넉넉히 사서 읽는다지만, 정작 사랑이나 살림이나 숲하고는 등진 사람을 수두룩하게 만나고 마주했다.


  나는 내 길을 걸어가되, 한 갈래 길만 안 간다. 나는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울 숲길을 갈 뿐이다. 온누리에 숲길이 하나뿐이겠는가? 이 나라에 숲길이 하나만 있겠는가? 숱한 숲길이 있다.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르게 사랑길을 낸다.


  ‘사서읽기’ 곁에 ‘서서읽기’를 둔다. 아니, ‘서서읽기’가 있기에 ‘사서읽기’가 태어난다. ‘거듭읽기’에 ‘다시읽기’라든지 ‘겹쳐읽기’에 ‘마음읽기’를 한다. ‘하늘읽기’하고 ‘풀꽃읽기’를 누리다가, ‘바람읽기’에 ‘사랑읽기’를 한다. 다만, 내가 안 하는 길이 있다. ‘빌려읽기’만큼은 아예 안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머리에 붙였듯

2003년,

벌써 스무 해가 지난 일을 남긴 글이다.


..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03.3.5. 산 책과 읽은 책



  날마다 책글(서평)을 어떻게 쓰는지 놀랍다고, 책값은 다 어디서 나느냐고 묻는 이웃이 있다. “그런데 그 책을 다 사서 읽어요?” “그럼, 사서 읽지 누가 줍니까?” “작가나 출판사가 안 보내 줘요?” “보낼 때도 있지만, 돌려보내거나 계좌이체로 책값을 보냅니다.” “와, 너무 까칠하지 않아요?” “까칠하다고요? 거저로 책을 주고서 좋게 써 달라고 하는 뜻이라면, 책을 받아야 할 까닭이 없이 돌려보내고, 좀 읽고서 느낌글을 쓸 만하구나 싶으면 계좌이체를 해야지요. 계좌이체를 안 받으려고 하면, 그곳에서 낸 다른 책을 몇 자락 삽니다.”


  웬만한 ‘출판평론가’는 웬만한 책을 거저로 받는다. 차고 흘러넘칠 만큼 받는 나머지, 이들은 ‘거저로 받은 책’을 이웃한테 거저로 나눠주거나 헌책집에 맡긴다. 글쓴이나 펴낸이는 왜 ‘책글지기’한테 책을 보낼까? 책을 널리 알려서 많이 팔려는 뜻이게 마련이다. 글을 써낸 이나 책을 펴낸 이 스스로 “알찰 수 있지만 모자랄 수 있는 대목을 낱낱이 꼼꼼히 거리낌없이 짚어 주기를 바랍니다” 하고 밝히는 일은 거의 없다. 아예 없지는 않으나, 1/1000쯤이라고 여길 수 있다.


  어깨동무하는 이웃이 낸 책이라 하더라도, 그쪽에서 낸 책에서 틀리거나 어긋나거나 엉뚱한 곳이 있으면 모조리 짚고 따진다. “와, 너 어떻게 이럴 수 있니? 우리가 모르는 사이도 아니고?” “모르는 사이가 아니라서, 일부러 더 꼼꼼히 보고서 낱낱이 짚어 주는데요? 아는 분이 낸 책에 틀리거나 엉터리인 대목이 이렇게 많으면 제가 더 창피합니다. 모르는 분이 낸 책이라면 그러려니 지나칠 수 있지만, 제가 알거나 만나는 분이 낸 책이라면, 이렇게 다 알려주어야 서로 ‘동무(친구)’이지 않나요?”


  그런데 갈수록 “사서 읽은 책만 말하기”가 벅차다. 주머니가 홀쭉하기 때문이지 않다. 도무지 “사서 집에 건사하고 싶지 않은 책”이 끝없이 나오기 때문이다. 어떡해야 할까? 망설이고 헤맨 끝에, 책숲(도서관)이나 책집에 가서 한참 그자리에서 되읽고 곱새기기로 한다. “‘사서읽기’를 한 뒤에 말하기”만으로는 책글을 더 쓸 수 없구나. “‘서서읽기’를 하고서 말하기”를 할 책이 자꾸자꾸 늘어나는구나.


  책에 담은 줄거리 가운데 1/10이 알차고 9/10가 엉터리라 하더라도 책을 꾸준히 사려고 했으나, 갈수록 5/10쯤은 알차지 않고서야 살 수 없겠다고 느낀다. 나중에 아이를 낳아서 돌보는 살림을 맞이한다면, 이렇게 무럭무럭 자란 아이들이 “아버지, 이 책 순 엉터리인데 왜 샀어요?” 하고 물어보면 무어라 대꾸할 수 있을까? 그때 나는 “너도 알아보는구나. 순 엉터리인 책이지.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책이 왜 얼마나 어떻게 순 엉터리인지 도무지 안 알아보려고 하네. 그래서 순 엉터리인 책도 이따금 장만하지. 사람들이 이 엉터리를 잊어버릴 수 있으니까 말이야. 우리는 아름다운 책을 새기고 곁에 둘 뿐 아니라, 엉터리인 책도 새기고 곁에 두면서 스스로 사랑이라는 길을 닦아야지 싶어.” 하고 들려줄 수 있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엊그제

하루치기로 서울에 가서

사진전시를 챙겼다.


고흥에서 하루 쉬고서

퉁퉁 부은 종아리에 장딴지로

어제 부산으로 건너갔고

새삼스레 걷고 돌아다니다가


지난 한 달 동안 내건

"모르는책 들춰읽기" 전시를 걷었다.


오늘 다시 고흥으로 돌아간다.

어젯밤에는 무릎이 시큰하려다가

천천히 풀렸고

이제 순천까지 왔다.


12:00 에 고흥 들어가는 시외버스를 기다린다.

숨을 고르고

집에 닿자마자 얼른 마치려는

마감글을 머릿속으로 그린다.


해와 구름과 하늘이 놀랍도록 빛나는

오늘 하루이다.


설마

아직도 기상청 날씨알림을 보거나 믿는

사람이 있을까?


사라져도 될 정부기관 가운데 하나는

바로 기상청이다.

뭐 청와대와 국회의사당과

시의회 군의회도 싹 없애야지.

시장 도지사도 없애야지 싶다.

그저 일꾼만 있으면 된다.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