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저렇게까지 2024.6.26.물.



바람을 안 쐬는 사람은 해를 안 쬐려고 하지. 해를 안 쬐는 사람은 비를 안 맞으려고 하고. 비를 안 맞는 사람은 별을 안 보려고 할 텐데, 별을 안 보려는 사람은 무엇을 안 하려고 할는지 헤아려 보렴. 무엇을 기쁘게 보고 느끼고 겪고 하는 사람이라면, 두렵거나 거칠 일이 없어. “그냥 하는”하고 “기쁘게 하는”은 달라. “시켜서 하는”하고 “스스로 하는”은 다르지. 사람들은 땅이 베푸는 숨결을 그대로 누리기보다는 손길을 대려고 하지. 이를테면, 밭을 일구고 논을 갈아. 굳이 안 일구고 안 갈아도 땅은 모두한테 넉넉히 베풀지만, ‘몇 가지’ 낟알을 더 많이 거두어서 나라한테 바쳐야 하는 굴레를 살면서, 그만 논일과 밭일이 고되단다. 나라(정부)한테 바치지 않으면 구태여 잔뜩 안 지어. 생각해 보렴. 잔뜩 지어서 남으면 어떡하니? 다 썩거나 버릴 테지. 흙지기가 손수짓기를 할 적에는 ‘닷알온알(오곡백과)’이 아닌, ‘즈믄(1000)’ 알이나 ‘골(1000)’ 알을 고루고루 넉넉히 누렸어. 모든 풀과 나무는 저마다 다르게 잎과 줄기와 열매와 뿌리를 베풀 뿐 아니라, 푸른바람과 샘물을 베풀거든. 왜 저렇게까지 어느 일에 매달리거나 꺼리거나 붙잡거나 등지는지는 쉽게 알 만하단다. 다들 ‘나다운 숨’을 잊고 잃거든. 스스로 나다운 빛일 적에는 ‘남’이 아닌 ‘나’를 본단다. 스스로 나답게 하루를 빛낼 적에는 ‘바깥’이 아닌 ‘둘레’를 본단다. ‘둘레’란, ‘남’이 아닌 ‘너’야. 그러니까 ‘나’하고 ‘너’를 고르게 보고 두루 볼 줄 아는 눈이기에 스스로 하루를 짓고, 하늘을 보고, 해를 쬐며, 하나이자 모두인 넋을 가꾸는 마음으로 나아가지. 이곳에서 저곳으로 가는 길을 차분히 맞아들이기를 바라. 이렇게까지 하거나 저렇게까지 닫아걸거나 안 대수로워. 온누리에는 무거운 것도 가벼운 것도 없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집짓기 2024.6.25.불.



새끼 제비는 어미 제비가 ‘집짓기’를 하는 모습을 본 적이 없어. 알겠니? 어미 제비를 이룰 ‘암수 어미’ 둘이 먼저 둥지를 지어 놓고서야 알을 낳아. 새끼 제비는 “이미 다 지은 집”에서 “느긋하고 아늑하게 깨어나서 천천히 밥을 누리며 자란”단다. 이윽고 날갯짓을 익혀서 ‘둥지나기’를 하더라도 ‘다 큰 새끼 제비’가 ‘집짓기’를 볼 일이란 없단다. 다만, 다 크더라도, 봄에 찾아온 어미 제비가 깃들어서 저희를 낳은 곳에서 밤마다 모여서 포근히 지내는데, 이동안 마음으로 느끼지. 새벽에 일어나서 한참 날아다니면서 ‘우리 집’이 어떠한지 살펴본단다. 어미 제비한테서 사냥을 배우는 사이에 날개와 부리를 어떻게 다루는지 찬찬히 물려받지. 이제 가을을 앞둔 철이 다가오면, 무리를 지어 바다를 훅 건너가는데, 하늘을 날며 바람을 가르며 숱한 또래 제비를 만나는 동안, “아! 나도 나중에 우리 엄마아빠처럼 집을 지을 수 있을까? 짓고 싶구나!” 하고 꿈을 그린단다. 해를 건너 새봄에 어미 제비랑 ‘옛집·옛터’로 돌아오면, ‘옛집’ 옆에 ‘새집’을 짓지. 어미 제비가 이제 없으면 어미 제비가 지은 집을 이어받아서 고쳐. 사람이 낳은 아기를 헤아려 보렴. 어버이는 아기가 자라 아이로 뛰놀고서 푸른날을 거치며 철드는 길에 아이들이 ‘집짓기’를 하기를 바라지 않아. 굳이 안 가르친단다. 함께 지내면서 가만히 돌아보고, 스스로 느끼는 바를 살려서 어느 날 “아! 나도 머잖아 새로 보금자리를 일굴 수 있을까? 우리 삶터가 하나 늘면 한결 즐겁겠지!” 하고 꿈을 그릴 만해. ‘새끼 제비’나 ‘아기’가 굳이 ‘새집’을 지어야 하지 않지만, 더구나 어버이한테서 ‘집짓기’를 따로 안 배우지만, 이미 몸과 마음에는 ‘살림짓기’라는 숨빛이 흐른단다. 오늘 ‘어버이’로 살아가는 너희도 예전에는 다 ‘아기’였고 ‘아이’인 줄 알 태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화산섬 2024.6.24.달.



쉬지 않는 사람은 몸을 자꾸 달구는 셈이야. 불판이나 부침판을 달구면 뜨겁지? 그런데 불판·부침판을 달구기만 하면 어떨까? 아마 설거지도 못 하고, 어느 곳에 둘 수도 없어. 살림·세간은 쓰고 나면 쉬어 주어야 한단다. 안 쉬면, 달구기만 하면, 그만 닳아. 우뚝 솟아서 ‘갓’이고 ‘봉우리’이고 ‘오름’이고 ‘메·뫼’인데, 땅밑에서 부글부글하면, 그만 멧자락이 몽땅 녹거나 탈 수 있어. 그래서 속으로 끓는 불길을 식히거나 재우려고 꼭대기에 퐁 구멍을 내어 펑 터뜨리듯 내보낸단다. 속으로 끓는 불길을 그냥 두다가는 들숲이 몽땅 이글이글 타고 녹아서 죽거든. 불길이 솟으니 한동안 새빨갛지. 부아가 난 사람도 이글거린단다. 이때에 섣불리 식히면 안 되고, 함부로 막으면 안 돼. 바람과 해가 천천히 달래기까지 기다릴 노릇이야. 빗물과 냇물과 바닷물이 다독여서 씻고 식힐 때까지 지켜봐야지. 불길은 ‘누르’면 더 거세게 끓다가 터져. 고름을 자꾸 만지면 오히려 부풀지. 다친 곳을 자꾸 건드리면 덧나고 붓잖니. ‘불갓섬(화산도)’이 있어. 불길을 활활 태워서 둘레를 벌겋게 덮은 곳인데, 바다는 느긋이 기다리면서 품었단다. 불타오르고 이글이글하던 불갓섬은 한참 시뻘겋게 내뿜다가 속엣것을 다 뱉고서 가라앉았어. 한동안 섬살림은 죄다 죽었는데, 빨간물(핏물)이 굳으면서 까맣게 재나 돌로 바뀌었지. 이윽고 새가 풀씨와 나무씨를 퐁퐁 심었고, 천천히 되살아나면서 사람도 짐승도 ‘옛 불갓섬’을 ‘새 숲섬’으로 가꾸어냈단다. 갑갑하다면 감추거나 가리지 마. 왜 갑갑한지 돌아보면서 응어리를 다 털어내렴. 이러면서 고이 쉬어 봐. 느긋이 천천히 오래오래 잠드는 사이에, 새와 나비와 풀벌레가 찾아와서 살살 어루만져 일깨워 준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부산말 2024.6.23.해.



서울이라는 곳이 살 만하면서 아름다우려면, 사람들이 서울로 몰리거나 쏠리지 않아야 한단다. 우글우글하거나 북적북적하다면, 이곳은 “안 살 만하다”는 뜻이야. 시골이라는 곳이 살 만하면서 아름다우려면, 사람들이 떠나거나 등돌리지 않아야 한단다. 자꾸 시골을 떠나거나 등진다면, 시골이라는 터전을 가꾸거나 돌보기에 벅차. 얼핏 사람들은 ‘일자리’ 때문에 서울로 간다고 밝히지만, ‘일자리’ 때문이기보다는 ‘서울’이라는 이름 때문이지. ‘서울대학교’에 왜 들어가겠니? “무엇을 배운다”는 뜻이 아니라, 그저 ‘서울’이라는 이름을 앞세우는 나라인 줄 모르는 척하려는 셈은 아닐 테지? 서울에 집이 있으니, 서울을 살피게 마련이야. 서울에서 일을 하니, 서울 이야기를 들여다보겠지. 광주사람은 서울에서 광주말을 쓰고 살아갈까? 광주말로 글을 쓰니? 아니지. 부산사람은 서울에서 부산말을 쓰며 일할까? 부산말로 글을 쓰니? 어느 고을에서 다른 고을로 가더라도 으레 고을말씨를 안 잊게 마련이지만, 서울에만 가면 다들 ‘엄마말·아빠말’을 잊더구나. 미국에 가면 미국말을 쓸 노릇이고, 일본에 가면 일본말을 쓸 일이지. 그러나 미국말과 일본말은 ‘잇는말·이웃말(외국말)’이야. 넋을 잃고서 기울 말이 아니란다. 넋을 잃는 사람은 문득 “새터에 몸을 맞추어서 잘 사는” 듯 보일 수 있지만, 뿌리없이 떠도는 셈이란다. 뿌리 잃은 나무한테 물만 주면 살 수 있을까? ‘말’은 ‘마음’을 이루는 실마리란다. 어느 곳에 가서 무슨 일을 하든지, 너는 네 넋을 그리는 네 말을 쓸 노릇이면서, 이웃하고 잇는 말을 익혀야겠지. 나비랑 사귀려면 ‘나비말’을 익혀야잖니. 숱한 마을과 고을과 시골과 고장이 왜 사라지려 하는지 생각하렴. 다들 ‘말’을 잊으면서 뿌리가 없어진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끈적끈적 2024.6.22.흙.



땀이 자꾸 돋고서 마르면 끈적해. 달콤한 열매를 먹다가 물이 묻어도 끈적해. 끈적할 적에 숲바람이 불면 모두 다독이고서 풀어내지. 안 끈적할 적에 바닷바람이나 장마바람이 불면 어느새 온통 끈적할 테고. 내키지 않지만 들러붙어서 안 떨어지는 결이 ‘끈적’이야. 한몸을 이루거나 한마음으로 빛나려는 뜻이 없는 채, 덩달아 얹어가려는 먼지나 티끌이기에 ‘끈적’이지. 달갑지 않다고 여기면서 끊으려 하지만, 어쩐지 너(나)한테 달라붙으니 ‘끈적’거린단다. “잇는 사이”인 ‘끈’이고 싶지 않아서 ‘끊’으려고 하는데 ‘끈끈’하게 붙으려고 덕지덕지 엉기는 ‘끈적’이라고 여길 만해. 땀·먼지·티끌은 바람과 비에 씻겨서 땅으로 돌아가면 새흙으로 거듭난단다. 그러니까 “안 거듭나”려는 마음으로 끈적끈적 들러붙는 셈이야. 땅으로 돌아가면서 “낡은 몸을 놓으”려는 마음을 일으키지 못 해서, 자꾸 남한테 기대거나 붙는, 꿈이 없고 하루를 잊은 몸짓이 ‘끈적’이기도 해. 너(나)는 뭘 해야 할까? 끈적이는 쪽에 마음을 빼앗겨야 할까? 바람을 쐬고 물로 씻고 해를 쬐면서 스스로 그리는 하루로 나아갈 일 아닐까? 너(나)부터 스스로 ‘하루길’을 잊거나 딴청을 할 적에 으레 ‘엉뚱이’가 하나씩 다가와서 살그머니 붙는단다. ‘끈적이’는 여러 가지 옷을 입고서 네 눈을 홀리려고 하지. 처음에 끈적이를 안 떼면 네 몸이며 옷이며 살림을 더럽히고 어지럽히지. 넌 무엇을 해야겠니? 여름이건 겨울이건 날마다 3∼10벌씩 씻을 수 있어. 한 벌 싯어서 끈적이가 말끔히 사라질는지 모르지만, 그대로 군데군데 남기도 하단다. 끈적이는 해바람비를 무서워하고 두려워하지. 넌 해바람비를 품을 일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