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사용설명서
모르는 분이 무척 많기도 한데, ‘두바퀴(자전거)’를 새로 사면, 두바퀴 손잡이에 대롱대롱 ‘길잡이글(사용설명서)’이 달린다. 그런데 두바퀴를 아이한테 새로 장만해 주든, 어른으로서 스스로 새로 장만하든, ‘두바퀴 길잡이글(자전거 사용설명서)’을 챙겨서 읽는 사람은 거의 1/1000이라고 한다. 어쩌면 1/2000이나 1/5000이라고까지 여길 수 있다. 그래서 두바퀴집(자전거포) 일꾼은 으레 이 길잡이글을 처음부터 떼어서 버린다더라. 손님한테 챙겨 가서 읽어 보시라고 여쭈어도 하나같이 안 챙기고 안 읽는다고 한다.
‘두바퀴 길잡이글’을 읽은 아이어른과 안 읽은 아이어른은 엄청나게 다르다. ‘두바퀴 길잡이글’을 안 챙기고 안 읽는다면, ‘운전면허증을 안 따고서 자동차부터 사서 부릉부릉 몬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다.
길잡이로 삼는 글인 사용설명서란 ‘입문서’나 ‘안내서’라는 뜻이고, 우리더러 “서두르지 말고, 느긋하게 이 삶을 즐기는 길을 들려줄게” 하고 풀어낸 줄거리라고 여길 만하다. 글쓰기(문학창작)나 책집지기라는 삶에 따로 틀(기준)이란 있을 까닭이 없지만, 옆에서 이 길을 나란히 걷는 ‘길동무’ 같은 ‘길잡이글’은 있게 마련이다. 구태여 서두를 까닭이 없고, 애써 조바심을 낼 까닭이 없이, 느긋이 넉넉히 둘레를 보는 마음을 스스로 가꾸는 작은길이자 작은글이 ‘길잡이글’이라고 느낀다.
나는 낱말책(사전)을 쓴다. 낱말책이 태어나기까지 꽤나 걸리지만 느긋이 찬찬히 북돋우고 여미고 가다듬는다. 낱말책이란, 글쓰기와 말하기와 삶짓기와 사랑하기라는 이 하루하루에 조촐하고 조그맣게 ‘길잡이글’이다. 이른바, 말을 하고 글을 쓰는 누구한테나 ‘길잡이글(사용설명서)’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숱한 낱말책은 ‘길잡이글’이라기보다는 ‘굴레(강제·억압·표준·시험공부·학력·지식·서울화)’이기 일쑤이다. 말이 무엇이며 글이 무엇인지 먼저 차분히 짚고 읽어낸 뒤에라야 글쓰기도 말하기도 저마다 느긋이 즐겁게 펼 만하다. 학교를 오래 다니거나 인문강좌를 챙겨서 듣거나 책을 잔뜩 읽더라도 글쓰기나 말하기를 잘 하지 않는다.
두바퀴 길잡이책을 달포쯤 들여서 느긋이 읽고 나서 두바퀴를 달리는 이웃님을 기다린다. ‘숲노래 낱말책’을 한두 해나 서너 해나 너덧 해에 걸쳐서 천천히 읽으면서 말빛을 느긋이 헤아리고 살찌우면서 기쁘게 글빛과 말씨를 심는 이웃님을 기다린다. ‘길잡이’는 잡아끌거나 잡아당기지 않는다. 길잡이는 언제나 우리 곁에 가만히 서서 웃고 노래하고 춤추고 이야기하며 지켜보는 동무요 이웃이다. 2025.8.26.불.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