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하고 인천에서

이틀에 걸쳐 #책숲마실 하고서

이제 #고흥으로 돌아간다.

마무리로 아침에 인천골목을

살짝 거닐며

#마계책방 하고 #시와예술

두 군데 들러 보는데

둘 다 달날에는 쉰다.


이다음에 들를 수 있겠지.

.

.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1.18. 네 목소리



  네가 즐겁게 노래하면 이 소릿가락은 너부터 온누리를 살리는 빛살씨앗이야. 네가 악쓰고 억지쓰고 찡그리면 늘 너 스스로 갉는 수렁이야.


  사람이 죽는 까닭은 쉬워. 안 즐겁잖니. 그러면 왜 안 즐거울까? 마음쓰기가 아닌 악쓰기에 억지쓰기인걸. 네 목소리에 사랑이 없이 쩌렁쩌렁 울리기만 하니 언제나 목숨을 갉고 말아.


  새는 즐겁게 노래하며 하늘을 날고 나뭇가지에 앉아서 짝을 기다려. 둘은 함께 날고 놀며 늘 노래를 새로 퍼뜨려. 새는 얼핏 사람보다 오래 못 산다고 여기는데 참말로 그럴까? 길게 몸뚱이를 붙잡는 나날도 목숨이나 삶이라 여길 수 있을까.


  나는 노래하는 오늘을 살아. 네가 내 노래를 들을 수 있어. 그런데 난 누구한테도 노래를 불러주지 않아. 그저 오늘을 노래할 뿐이야. 새처럼 나비처럼 벌처럼 개미처럼 노래하지. 풀처럼 나무처럼 노래하는 숲이 되는 하루야.


  구름을 함께 볼래? 구름은 늘 노래하면서 춤짓이야. 너도 구름노래랑 구름춤을 맞이하면서 웃기를 바라. 늦가을해가 따뜻하구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1.14. 늦가을은 첫겨울로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걷지만, 젊은 이웃은 좀처럼 안 걷는다. 시골도 서울도 두다리로 골목과 마을과 논두렁과 들숲과 바다와 하늘을 품는 사람이 아예 안 보이다시피 사라진다.


  걷지 않는 사람은 책을 쥐거나 붓을 잡을 짬을 스스로 낼까? 안 걷는 몸으로는 집안일과 집살림도 스스로 안 하는 나날이지 않을까?


  걷는 어른이어야 늘 아이를 마주한다. 걷는 매무새여야 어른이 된 뒤에도 착하게 살피면서 스스로 노래한다. 그런데 걷는다고 하더라도 혼자 마구 앞서가려고 옆사람을 밀치거나 새치기를 하는 분이 꽤 많다. 발걸음이 느리지만 이웃이 나아갈 자리를 가로챼거나 빼앗더라.


  늦가을은 첫겨울로 넘어간다. 이제 밤에는 풀벌레도 개구리도 없다. 바람소리가 감돌고 별이 속삭이는 노래가 넘실거린다. 다들 나란히 별수다에 귀를 기울이는 듯하다. 고흥읍에 나왔다가 우리 집으로 돌아가는 시골버스를 탄다. 좀 시끄럽다. 눈을 감고서 먼구름과 먼별을 그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1.17. 좋아한다면



  네가 나를 좋아한다면, 그저 나를 좇으면서 좁은 마음으로 서지 마. 너는 너이고, 나는 나야. 나를 좇아다니면, 넌 어느새 나를 쫓아내고 싶은 마음이 싹트지. 누구를 좋아하려면, 어느 누구가 아닌 다른 사람들을 안 좋아해야 할 텐데, 이러다 보면 넌 저절로 좁은눈으로 둘레를 보다가, 네가 좋아한다고 여기는 사람마저 좁게 가둘 뿐 아니라, 너부터 스스로 좁은울(좁은울타리)에 가두고 말아.


  네가 나를 좋아한다면, 너는 나를 지켜보고 돌아보고 들여다볼 뿐 아니라, 둘레를 보고 살피는 눈썰미여야 해. 온누리를 둘러보고 살펴보고 헤아리고서 다시 나를 볼 노릇이고, 네 마음을 가만히 들여다보아야 하지. 누구나 마찬가지야. 누구를 좋아하기까지 좁히거든. 덜 좋아하는 사람을 추리고, 안 좋아하는 사람을 솎고, 그냥저냥 좋은 사람을 빼기에, 마침내 좋아하는 딱 한 사람을 찾게 마련이야. 이렇게 딱 한 사람을 좋아하다 보면, 어느 날에는 이이보다 더 좋아할 만한 사람이 나타나지. 이때에 너는 예전부터 좋아하는 누구하고 새롭게 좋아하는 누구를 맞대게 마련이야. 이러면서 더 좋아하는 사람한테 끌리고, 이러면서 예전부터 좋아하던 사람보다 이제 더 좋아하는 사람한테 끌려간단다.


  누가 누구를 좋아하는 일은 안 나빠. “안 나쁘”니까 ‘좋다’고 여기지. 그래서 누구를 좋아하는 마음은 언제나 흔들려. 언제 어느 곳에서 ‘더’ 좋아할 만한 사람이 나올는지 모르거든. 누구를 좋아하다 보면 끝없이 “좋은사람 갈아타기”에 휩쓸려. 그래서 너한테 한 마디를 할게. 어느 누구도 좋아하지 않기를 바라. 어느 누구나 사랑하기를 바라. 그저 온누리를 사랑하는 마음이기를 바라. 너는 풀밥(채식·비건)을 한다면서 고기를 안 먹으려고 하는구나. 헤엄이도 소도 닭도 돼지도 목숨을 빼앗길 적에 아프다고 여기지. 그렇다면 풀은 안 아플까? 열매는 안 아플까? 쌀이나 밀은 안 아파할까? 풀죽임물을 뿌려댈 적에 논밭 낟알은 안 괴로울까? 비닐을 덮을 적에 푸성귀는 안 괴롭고 안 아프고 안 답답할까?


  좋아하지 말고 사랑하기를 바라. 풀밥을 먹든 고기밥을 먹든, 우리는 늘 다른 숨결을 고맙게 받아들이는 살림이야. ‘살림’이란 말이지. 그러니까 풀 한 포기한테 “너를 사랑해” 하고 속삭이면서 반갑게 맞아들일 일이야. 그래서 고기 한 조각한테 “너를 사랑해” 하고 노래하면서 기쁘게 받아들일 일이야. 능금도 배도 복숭아도 포도도 마찬가지인데, 사랑이 없는 채 풀밥을 먹는 사람이 손에 쥐면 바르르 떤단다. 아니? 느끼니? 사랑이 없는 채 “나는 채식주의야! 나는 비건이야!” 하고 외치는 사람 앞에서 밀알도 쌀알도 부들부들 떨어. 무서워한단다.


  넌 ‘좋아하는 글님’이 있는 탓에 좋아하는 그 사람 책은 잔뜩 읽지만, 막상 네 마음을 북돋우고 가꾸는 길에 이바지할 ‘네가 안 좋아하는 글님’ 책은 거들떠보지도 않네. ‘좋은책’에 파묻히면 ‘아름책’을 놓쳐. ‘좋은책’만 읽으면 ‘사랑책’을 밀쳐내더라. ‘좋은책’에 얽매이는 탓에 ‘마음책’도 ‘살림책·삶책’도 ‘숲책’도 아예 손조차 안 대고 마네.


  부디 이제는 ‘좋아하기’를 매듭짓고서 부드럽게 내려놓기를 바라. 책도 글도 좋아하지 않기를 바라. 이쪽도 저쪽도 좋아하지 않기를 바라. 왼날개도 오른날개도 아닌, 두날개이자 온날개로 하늘을 훨훨 날면서 나비하고 춤추고 새하고 노래하는 사랑으로 피어나기를 바라. 우리는 사랑일 적에 환하게 웃으면서 만날 수 있어. 우리가 서로 사랑이라면 손을 안 잡고 걸어도 즐거워. 우리가 서로 사랑이라면 아무리 먼곳에서 떨어져서 일하더라도 한마음이야. 우리가 서로 사랑이라면 “나만 쳐다봐!” 같은 말을 안 하겠지. ‘사랑앓이’란 없어. ‘좋음앓이’일 뿐이야. 좋음앓이는 ‘좁음앓이’로 뻗고, 어느새 ‘종살이’에 ‘종굴레’로 치닫는단다.


  다시 말하지만, 이제 좋아하지 마. 아무도 좋아하지 마. 그저 모두를 사랑하기를 바라. 누구보다 너 스스로 사랑하기를 바라. 네가 너부터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일 적에 비로소 눈을 뜨고 귀를 열고 마음을 틔울 수 있어. 온사랑이기에 온사람이고, 온빛이면서 온하루를 누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1.16. 글살림



  어제는 내내 짙구름이라면, 밤새 조금씩 개면서 오늘 아침은 가볍게 물결구름이다. 파랗게 트는 하늘이 맑게 바뀐다. 논두렁을 거닐며 옆마을로 간다. 큰아이가 일찍 일어나서 배웅을 한다. 우리는 서로 멀리 떨어지는 하루일 테지만, 마음으로는 하나이다. 두 아이하고 곁님은 저마다 바라보고 바라는 그림을 속으로 띄우면서 나한테 띄운다. 나는 천천히 걷고 오가며 바깥일을 보는 길을 추슬러서 우리 보금숲으로 보낸다.


  똑같이 짜맞춘 잿집에 깃들기에 글결이나 말결이 똑같지 않다. 시골집에 깃들어 마당에서 일하기에 다 다르게 살림을 일구지 않는다. 서울에서 내내 살아도, 굉주나 부산이나 인천에 살아도, 구미나 나주나 청주에 살아도, 스스로 그리는 마음대로 이 하루가 흐르면서 말이 태어난다.


  싸우면서 미워하더니 어느새 서로 좋아한다. 좋아하는 마음은 안 나쁘지만 참 좁아서 서로 좇고 쫓는다. 사랑하며 그리면 시나브로 새싹이 트면서 눈과 귀와 마음을 열기에 이제부터 살림길로 접어든다.


  ‘좋은밥 좋은집 좋은일 좋은말’, 이렇게 따지니 좋은책을 찾아나서려 하거나 읽거나 알리는데, 좋은책이란 좁은책이다. 좋은책 많이 읽고서 좋은말 많이 하는 사람치고, 안 좁은 사람이 없더라. 너도 나도 좋은책과 좋은일과 좋은말이 아니라, 사랑말을 나누면서 살림길을 짓는 살림꾼으로 설 노릇이다.


  글살림이란 사랑살림일 적에 다 다르게 즐거이 빛난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나 이웃한테 한국문학을 아예 읽지 말라고 한다. 겉치레와 허울로 꾸미는 문학은 굳이 읽지 말라고, 아이들하고 이웃들 스스로 오늘쓰기에 하루쓰기에 살림쓰기에 사랑쓰기를 하자고 이야기를 한다. 우리가 우리 손으로 오늘과 하루와 살림과 사랑을 써서 서로 나누면 아름답다. 이렇게 내가 나를 쓰면, 아름책과 살림책과 사랑책과 숲책을 알아보게 마련이다.


  책을 읽기 앞서 열 해쯤 소꿉을 놀고 살림을 하면서 마음과 몸을 가꾸자. 글을 쓰기 앞서 새로 열 해쯤 숲을 품고서 풀꽃나무랑 속삭이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1.10. 흙이 없는



  부산 동래에서 거제 쪽으로 걷다가 깃털이 뜯긴 새를 본다. 고양이한테 물려서 죽었구나 싶다. 안쓰러운 새를 보다가 두리번거리는데, 새를 옮기거나 묻을 흙이 안 보인다. 모든 땅바닥은 쇳덩이(자동차)가 다니기 좋도록 단단히 틀어막았고, 새가 죽은 둘레에는 나무가 없다. 풀과 나무는 흙이 드러난 땅이 있어야 뿌리를 내리고 줄기를 올려서 푸르게 자란다. 잿빛으로 덮는 땅바닥에는 숨결이 깃들지 못 하는 죽음판이다. 땅이 해를 못 쬐고 바람을 못 머금고 비가 스밀 수 없다면, 풀과 나무가 싹틀 틈마저 없다면, 이곳에서 사람은 사람다울 길을 열 수 있을까? 몸을 내려놓은 새가 포근히 쉴 만한 풀밭과 작은숲을 서울·큰고장 한복판에도 곳곳에 마련하기를 빌 뿐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