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14. 그친 빗줄기
부산 사상나루에서 07:05 시외버스를 타려고 한다. 어떻게 움직여야 할는지 어림한다. 교대나루에서는 05:59 전철을 타야겠고, 05:30에는 책짐을 다 꾸리고서 마지막으로 씻고 치울 일이다. 이러자면 03:30에 머리감기를 해야겠네. 엊저녁에는 21:30에 일찌감치 누워서 포근히 쉬었다. 새하루는 01:30부터 열면 되는구나.
한여름비는 이른새벽까지 시원히 적시고서 그친다. 올여름은 볕날이 아름답게 이으면서 뜨끈뜨끈 즐겁게 비추었다. 새벽에 몸씻이를 하며 발바닥과 발목을 살피자니 올해는 꽤 까무잡잡 살갗으로 탄 듯싶다. 까만살로 누리는 여름이라면 올겨울은 한결 든든하리라 본다. 고흥숲집뿐 아니라 부산에서도 바람이(에어컨) 없이 잘 보냈다. 우리는 여름철을 땀빛으로 즐기기에 땅빛을 기쁘게 맞아들일 만하다. 땀은 땅을 담으면서 닮고, 땅은 사람한테 땀방울이라는 숨길을 속삭인다.
고흥을 나서는 길부터 가만히 곱씹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의 아주 짧은 역사》를 거의 다 읽는다. 부산에서 사흘을 묵고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에서 다 읽겠구나. 그리 안 두껍기에 훅 다 읽기 쉬우나, 이스라엘은 왜 스스로 삶을 갉는지 되새기면서 팔레스타인은 어떻게 사랑씨앗을 심을 수 있을는지 헤아리려고, 시외버스에서도 부산전철과 부산버스에서도, 또 부산에서 깃새글꽃(상주작가)으로 일하는 틈틈이, 아주 천천히 야금야금 읽었다.
책쓴이는 푸른별 앞길이 어깨동무이기를 바랐다고 느낀다. 한글판을 낸 펴냄터도 한마음일 테지. 《농부 철학자 피에르 라비》를 이제서야 읽는데, 우리는 이분 책을 마음눈을 깨우면서 아로새길 수 있을는지 궁금하다. 맨손으로 ‘서울떠나기’를 하겠노라 꿈을 그리고서 움직이는 분은 얼마나 될까? ‘운전면허 안 따기’와 ‘졸업장 안 따기’와 ‘자격증 공부 안 하기’를 하면서 살림짓기와 사랑심기와 삶노래에 온하루를 기울일 분은 어디에 있을까?
예부터 아이들은 어버이 품에 안겨서 “살내음이라는 땀내음”을 머금으며 튼튼히 자라고 신나게 뛰놀았다. 부산에서 사흘 동안 만난 뭇이웃님 가운데 “우리집에 있던 에어컨을 치웠어요. 에어컨이 없으니 선풍기도 잘 안 쓰면서 여름이 오히려 더 시원하더군요.” 하고 말씀하는 분을 만났다. 해보면 느끼고 배우면서 안다. 안 해보면 늘 걱정과 두려움에 사로잡혀서 쳇바퀴에 갇힌다. 우리는 ‘바람이(에어컨)’를 집안에 들이고 일터에 놓고 배움터를 채우느라, 오히려 더 덥고 더 눅눅하고 더 괴롭고 더 힘들 뿐 아니라, 이 푸른별을 아주 벼랑끝으로 내모는 바보짓에 갇힐 뿐이다.
여름이 더우면 나무를 심어서 푸른숲으로 가꾸면 된다. 겨울에 추우면 나무를 심어서 푸른터로 바꾸면 된다. 나무가 사라져서 여름이 덥고 겨울이 춥다. 나무를 잊고 등지고 괴롭히니 여름이 찌고 겨울이 사납다. ‘제철과일’과 ‘제철풀’을 먹는 사람은 아플 일이 없다. 여름에 땀흘리고 겨울에 떨어야 몸마음이 나란히 튼튼하다. 한여름에 갖춘옷(양복)으로 다니는 사람이 바로 이 나라와 별과 마을을 망가뜨린다. 한여름에는 민소매에 깡똥바지로 다니고 일해야 맞다. 한여름에 나라지기(대통령)부터 민소매에 깡똥바지를 입고서 바람이(에어컨)를 몽땅 끄고 미닫이(창문)를 열기를 빈다.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도 바람이를 다 끄고서 미닫이를 열면서 다니자. 이렇게 안 하면서 벼락날씨(기후위기)를 외친다면, 말짱 헛일이다.
“아기수레(유모차) 안 쓰기”와 “천기저귀로 아기사랑”을 펴려는 젊은이웃을 기다린다. 누구나 손수 하고 빚고 짓고 가꾸기에 스스로 모든 하나를 알아갈 수 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