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20. 안 검증된 책을 쥔다
‘검증된’이라고 할 적에는 종이(자격증·졸업장)를 내어주는 곳에서 받아들인다는 뜻이지 싶다. ‘검증 안 된’이라고 할 적에는 누구나 스스럼없이 어울리는 살림자리에서 느긋이 주고받으면서 함께 누린다는 뜻이라고 느낀다. ‘검증된 책’만 읽는 사람이라면, 스스로 굴레에 갇히는 셈이다. ‘검증된’도 ‘검증 안 된’도 아닌, 손이 가는 책을 그저 안 가리면서 읽을 적에는 스스로 눈을 틔우는 셈이다.
곰곰이 보면 ‘반가운 책’이건 ‘안 반가운 책’이건 ‘읽기 성공’이나 ‘읽기 실패’가 아닌, 다 다른 길을 읽는 이야기라고 느낀다. 언뜻 보면 ‘책을 잘못 고를 기회’란, “그동안 마주할 일이 드물거나 없던 여러 목소리를 지켜보고 살펴보고 귀담아듣는 고마운 틈”이지 싶다. 책읽기를 한다면 틈을 낸다는 뜻인데, 좋아하는 책만 야금야금 즐기는 길이지 않다. 책읽기를 하려고 틈을 낼 적에는, 눈과 귀와 머리와 마음과 생각을 활짝 틔우는 새길을 배우려는 하루여야지 싶다.
그래서 우리는 ‘잘못 고를 기회’라기보다는 “나랑 다른 이웃을 만나서 마음을 섞는 말을 나눌 틈”을 스스로 누리는 ‘열린읽기’를 할 노릇이지 싶다. 반갑거나 즐거운 책도 읽고, 안 반갑거나 안 즐거운 책도 ‘열린눈’을 북돋우고 가꾸는 길이라고 할까. 이쪽 책도 읽고 저쪽 책도 읽기에 고르게 자란다. 이런 책도 쥐고 저쪽 책도 쥐기에 곱게 피어난다. 날개돋이를 하는 나비는 왼날개랑 오른날개가 빈틈없이 똑같아야 비로소 바람을 타고서 하늘을 난다. 사람도 같다. 왼다리랑 오른다리가 나란해야 뚜벅뚜벅 즐겁게 걷고 타타타타 신나게 달린다. 왼손과 오른손을 나란히 다루기에 글을 톡톡톡 칠 뿐 아니라, 짐을 나르고, 아기를 안고 두바퀴를 달리며 새살림을 짓고 빚는다. 우리는 ‘온책(온갖 책)’을 곁에 둘 노릇이다. 왼책도 오른책도 아닌, 이쪽 책이나 저쪽 책도 아닌, 그저 ‘온책’과 ‘가운책’을 살필 노릇이다.
우리나라는 ‘민주주의’라 일컫고, ‘민주주의 = 대화 + 타협’이라고 여기는데, 한자말 ‘대화’는 우리말로 옮기면 ‘이야기’이고, ‘이야기 = 잇는 길·말·마음’을 나타낸다. 그러니까, 나하고 다른 너를 마주보면서 서로 어떤 마음과 길과 삶인지 주거니받거니 하는 ‘이야기(대화)’를 할 적에 비로소 바른길(민주)일 테니, 우리는 나랑 다른 길을 가는 사람하고 틈틈이 섞여서 차분히 말을 나눌 노릇이다. 길(정치성향)이 다르대서 등지거나 손가락질을 한다면, 터럭만큼도 바른길(민주)이 아닌 막짓(독재)일 뿐이다. 다르니까 만난다. 서로 다르니까 순이(여성)하고 돌이(남성)가 만나서 얘기를 할 노릇이다. 다르니까 다른 몸과 마음과 빛이요, 다르기에 끝없이 이야기를 하고 마음을 주고받는 사이에 서로 헤아리는 사랑을 스스로 길어올린다.
우리나라는 허울만 ‘민주’인 터라, ‘내가 해야만 올바르’고 ‘남(놈)이 하면 안 올바르’다고 자르거나 갈라치기 일쑤이다. 책읽기조차 우리는 으레 ‘좋아하는 책’만 쥐느라, 스스로 안 배우고 담벼락을 쌓는다. ‘안 좋아하는 책’을 굳이 챙겨서 읽을 뿐 아니라, 앞으로는 ‘좋아하고 안 좋아하고’를 훌쩍 뛰어넘어서, “그저 내가 스스로 아름답게 배우는 길에 이바지하는 길동무인 책”을 모두 기꺼이 읽고 새기면서 가다듬는 길에 서야 하지 않을까?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