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8.10. 낳는 몸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아이하고 어른은 ‘날다’하고 ‘낳다’로 다릅니다. 아이는 날며 노는 사람이요, 어른은 낳으며 노래하는 사람입니다. 아이는 모든 길을 날면서 다니고, 어른은 모든 곳에서 낳으면서 하루를 짓습니다.
가시내란 몸을 입고서 태어난 사람은 “저랑 똑같이 몸을 입는 작은사람”을 낳습니다. 사내란 몸을 입고서 태어난 사람은 “저랑 똑같이 몸을 입는 작은사람을 낳는 짝지”를 돌보는 사랑이라는 마음을 낳습니다. 그래서 두 갈래로 다른 사람은 ‘어른’이라는 이름을 가볍게 왼켠에 놓고서 ‘어버이’라는 새이름을 즐거이 오른켠에 놓습니다.
아이를 따로 낳지 않는 어른이라면 굳이 왼오른에 ‘사람빛’을 놓지 않아요. 그저 온자리에 사람빛을 놓습니다. 아이를 따로 낳는 어른은 왼켠에 어른이란 이름을 놓고서 오른켠에 어버이라는 이름을 놓는 사람길입니다. 그러니까 어느 쪽이 낫거나 나쁘지 않은, 둘이 다른 어른살림입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몸을 입고서 이 땅에 태어나기에, 가시내랑 사내는 저마다 다르게 삶을 누리고 짓고 가꾸면서 배운 바를, 둘이 짝지를 맺고 사귀고 한집을 이룰 적에 서로 들려주고 보여주고 알려주면서 새빛을 열어요. 바로 ‘사랑씨앗’입니다. 이러한 사랑씨앗을 일굴 적에 스스로 ‘이야기’를 짓고, 이 이야기를 글이나 그림이나 빛꽃(사진)으로 새삼스레 낳지요.
아이를 낳아 돌본 살림길을 글로 쓰거나 그림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아이를 따로 안 놓고서 ‘온자리 어른’으로 가만히 살아가는 오늘길을 글로 쓰거나 그림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둘은 다르면서 나란히 맞물리고 나아가는 삶글이요 살림글이며 사랑글입니다. 이 얼거리를 안 읽거나 등돌릴 적에는 ‘꾸밈글(글만 겉치레로 꾸미기)’에 사로잡히거나 갇힙니다. 요즈음 쏟아지는 숱한 책은 ‘어른글’도 ‘어버이글’도 ‘사람글’도 아닌 ‘겉글(겉으로만 사람흉내를 내는 껍데기글)’이기 일쑤입니다.
부디 우리 스스로 넋차릴 노릇입니다. 사람이라는 몸을 입은 순이돌이로서 즐겁고 신나게 이 기쁜 하루를 마음껏 노래하면 넉넉합니다. 꾸미거나 치레할 까닭은 터럭만큼도 없습니다. 가꾸고 노래하면 됩니다. 어제그제 부산에서 새삼스레 이야기밭을 일구고서 밤새 푹 쉬었습니다. 이제 늦여름볕을 듬뿍 누리며 고흥 보금숲으로 돌아갈 아침입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