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1.12. 그냥은 없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언제부터 등짐을 이토록 지며 살았나 하고 문득 돌아보니 여덟 살부터입니다. 요즈음 어린이는 빈몸으로 다니곤 하지만, 예전 어린이는 책가방이 대단히 무거웠고, 두 손에는 배움터에 내는 헌것(폐품)이라든지 짐(숙제)에 챙길거리(준비물)이 그득했습니다. 어떻게 아이들이 그 많은 살림을 다 집에서 배움터까지 낑낑대며 날라야 했는지 모를 노릇입니다.
푸른배움터 책가방은 두어 곱으로 무거웠습니다. 이태 남짓 다니고 그만둔 대학교에서도 저는 늘 책으로 가득한 등짐을 이고 졌습니다. 혼자 살아갈 적에도, 두 아이를 낳아 돌볼 적에도, 언제나 등짐이 묵직했습니다. 싸움터(군대)에서도 언제나 등짐은 쇳덩이 같았습니다. 밤에 드디어 자리에 누울 적에만 등허리가 홀가분했으니, 이 몸이 얼마나 애썼나 하고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등허리가 욱씬거리거나 쑤신 채 마흔 해 남짓 살았는데, 올해 들어 열흘쯤 눕지도 서지도 않지도 걷지도 못 하는 찌릿한 등허리로 보냅니다. 말 그대로 어떻게 있든 등허리가 쑤시고 결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 하는 나날입니다. 용케 열흘 즈음 접어들자 조금씩 풀리니, 제법 풀리면 다시 저잣마실을 가야지요.
결리고 쑤시고 아픈 등허리에 눈물을 찔끔대면서 고요히 돌아보았어요. 저는 서른아홉 살 때까지 숨을 제대로 못 쉬었습니다. 코머거리인 몸이거든요. 서른아홉 살에 비로소 숨쉬기를 처음부터 새로 배우면서 이제는 숨을 걱정없이 쉰 지 고작 열 해째를 넘어섭니다. 그냥 쉬는 숨이 없듯, 그냥 쓰는 등허리란 없어요. 이 등허리가 여태 책짐을 얼마나 많이 실어날랐고, 아이들을 얼마나 실컷 업고 살았는지 잊었다고 깨닫습니다.
들숨날숨이 늘 고맙듯, 팔다리에 등허리에 온몸이 다 고맙습니다. 늘 입에 달고 사는 “고맙습니다”인데, 정작 스스로 제 몸한테는 “고맙습니다” 하고 절을 안 했다고 뉘우칩니다. 등허리님 고맙습니다. 손발가락님 고맙습니다. 뒷꿈치와 종아리와 정강이 모두 고맙습니다. 눈코귀입 모두 고맙고, 머리카락님 고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14/pimg_705175124456932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14/pimg_705175124456932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14/pimg_70517512445693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