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28.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
정세랑 글, 창비, 2019.6.21.
새벽비를 느낀다. 빗방울이 들을 적부터 느낀다. 갓 떨어지는 빗방울을 못 느끼는 분이 늘어나는데, 하늘과 땅에 귀기울이면 한두 방울이 톡톡 바닥에 닿는 소리와 몸짓을 헤아릴 만하다. 이렇게 빗방울 하나와 이슬방울 둘을 느끼면, 누구나 마음에 눈물방울 셋을 북돋아서 온누리를 사랑으로 돌보는 길을 열 테지. 어제에 이어 ‘책읽는 ACC’로 간다. 알림판 하나 제대로 없고, 광주시에서 썩 못 알린다고도 느끼되, 이곳에 깃들어서 책이웃을 그리는 마음일 노릇이라고 생각한다. 책잔치에 마실하는 사람은 으레 순이인데, 드문드문 돌이를 마주한다. 조용히 숲책을 읽고 가만히 푸른책을 품는 돌이가 늘어날 적에 순이돌이가 어깨동무를 이루는 새빛을 일굴 만하다고 본다. 민주도 평화도 페미니즘도 대안도, 둘이 함께해야 피어난다. 암꽃만으로는 씨앗과 열매를 못 맺는다. 씨앗과 열매는 오롯이 암꽃이 품되, 수꽃이 꽃가루를 내주어야 한다. “쓰임새가 적은 수꽃”이게 마련이라서, 수꽃(남성)이란 작은돌(소수의견·소수자)이다. 워낙 작은돌이던 수꽃 가운데 몇몇 얼뜨기와 모지리가 벼슬(권력)을 거머쥐면서 뭇사람(암꽃·수꽃 모두)을 짓밟고 억눌렀다. 이제는 암수꽃이 나란히 씨앗과 열매를 맺을 길을 열 때라고 본다.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은 누구 읽으라고 쓴 글인지 알쏭했다. 푸른씨더러 읽으라고 쓴 글일까? 푸른씨한테 이 만한 글을 읽혀도 될까? 그냥 서울에서 그냥 ‘타고난 돈과 힘과 재주’만으로 그냥그냥 잘먹고 잘사는 줄거리에 슬쩍 도깨비 옛이야기를 짜맞추는 글이 무슨 이바지를 할까? 차라리 씨름돌이가 아닌 씨름순이를 그려서 ‘힘’이나 ‘돈’이 아니라 오롯이 ‘마음’과 ‘사랑’으로 맺고 풀 새길을 밝히는 글을 쓸 만하지 않나? 어린씨와 푸른씨한테 읽히는 글로 장난치지 않기를 빈다.
ㅍㄹㄴ
"李 정부, 재생에너지 '돈 놓고 돈 먹기' 게임 만들지 않으려면…"
https://v.daum.net/v/20250929053013174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