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기억의
기억의 지속이 힘들다면 → 그대로 남기기 힘들다면
기억의 기록이 중요하다 → 떠올려서 남겨야 한다
‘기억(記憶)’은 “1. 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하거나 도로 생각해 냄 2. [심리] 사물이나 사상(事象)에 대한 정보를 마음속에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정신 기능 3. [정보·통신]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간만큼 수용하여 두는 기능”을 뜻한다고 합니다. ‘기억 + -의’ 얼거리라면 ‘-의’를 털어내면서 ‘떠올리다·곱새기다·곱씹다·새기다·아로새기다’나 ‘그리다·돌아보다’나 ‘생각·넋·옛넋·옛날넋·옛생각’으로 손질합니다. ‘머리·빛’이나 ‘알다·낯익다·익다·익숙하다’나 ‘남기다·남다·담다·간직하다·건사하다’로 손질할 만하고, ‘일·있다·이야기’나 ‘더듬거리다·짚다·톺다’나 ‘머금다·살아나다·되살리다·살리다’로 손질합니다. ‘되살피다·되살아나다·되씹다·되새기다·되짚다’나 ‘들어가다·들어오다’나 ‘나날·날·삶’으로 손질해도 되어요. ㅍㄹㄴ
문옥주 할머니의 기억의 정확성에 다시 한 번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 문옥주 할머니가 얼마나 또렷이 떠올리는지 다시 벅차지 않을 수 없습니다
→ 문옥주 할머니가 참으로 똑똑히 되새기기에 다시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버마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모리카와 마치코/김정성 옮김, 아름다운사람들, 2005) 21쪽
기억의 끈에 꿰여 있는 단추들은 로라의 가족사를 상징하는 메타포입니다
→ 떠올린 끈에 꿰인 단추는 로라네 이야기를 빗댑니다
→ 옛생각 끈에 꿰인 단추는 로라네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 옛생각을 끈에 꿴 단추는 로라네 이야기를 드러냅니다
→ 옛생각을 끈에 꿴 단추는 로라네 이야기를 나타냅니다
《그림책 톡톡 내 마음에 톡톡》(정봉남, 써네스트, 2017) 340쪽
기억의 처음은 내가 기어 다니다가 첫걸음을 걸으면서 똥을 내질렀다는 것
→ 떠오르는 처음은 내가 기어다니다가 첫걸음을 떼면서 똥을 내질렀다는
→ 되새기는 처음은 내가 기어다니다가 첫걸음을 디디며 똥을 내질렀다는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황화섭, 몰개, 2023) 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