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239 : -의 간절 건 존재 찰나의 시간 공간
그때의 나에게 간절했던 건 오롯이 나 혼자 존재할 수 있는 찰나의 시간과 비좁은 공간이었다
→ 그때 나는 오롯이 혼자 지낼 틈과 작은 곳에 목말랐다
→ 그때 나는 오롯이 혼자 있을 짬과 작은 곳을 빌었다
→ 그때 나는 오롯이 혼자 머물 겨를과 작은 곳을 바랐다
《아이가 잠들면 서재로 숨었다》(김슬기, 웨일북, 2018) 7쪽
내가 나로 오롯이 혼자 지내거나 있거나 머물거나 깃들거나 자리하거나 살아갈 길을 찾게 마련입니다. 길거나 오래 있어야 하지 않습니다. 조그맣게라도 틈을 바랍니다. 살짝이라도 짬을 바라고, 말미나 겨를을 내고 싶습니다. 넓어야 하지 않아요. 작거나 좁아도 넉넉합니다. 그때나 이제나 바라고 목마르고 비는 하루살림입니다. ㅍㄹㄴ
간절하다(懇切-) : 1. 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하다 2. 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하다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찰나(刹那) : 1. 어떤 일이나 사물 현상이 일어나는 바로 그때 2. [불교] 매우 짧은 시간. 탄지경(彈指頃)보다는 짧은 시간이나, 염(念)·탄지 따위와의 관계는 해석에 따라 다르다 3. 탄지(彈指)의 10분의 1이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18을 이른다 4. 예전에, 탄지의 억분의 1이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88을 이른다
시간(時間) : 1. 어떤 시각에서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 2. = 시각(時刻) 3. 어떤 행동을 할 틈 4. 어떤 일을 하기로 정하여진 동안 5. 때의 흐름 6. [물리] 지구의 자전 주기를 재서 얻은 단위 7. [불교] 색(色)과 심(心)이 합한 경계 8. [심리] 전후(前後), 동시(同時), 계속의 장단(長短)에 관한 의식(意識) 9. [철학] 과거로부터 현재와 미래로 무한히 연속되는 것 10. [북한어] [언어] ‘시제(時制)’의 북한어 11. 하루의 24분의 1이 되는 동안을 세는 단위
공간(空間) : 1. 아무것도 없는 빈 곳 2.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3.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