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토론은 어디로 2025.9.21.해.
너는 ‘이야기’를 하려고 말을 듣다가 걸 뿐이지만, 저쪽에서는 ‘토론(말싸움)’으로 여길 수 있어. 너는 ‘이야기’라는 마음으로 네 삶과 살림과 사랑을 숲말로 펴더라도, 저쪽은 숲에 안 깃들거나 숲을 안 품는 삶일 수 있어. 모든 사람은 누구나 스스로 숲이지만, “서울에서 태어난 몸”이라는 핑계를 내세우더라. 서울에서 태어났기에 나무가 “나무 아닌 것”일까? 서울에서 싹트기에 풀꽃이 “풀꽃 아닌 것”이겠니? 사람은 숲에서 나든 시골에서 나든 서울에서 나든, “숲을 몸마음으로 품은 사랑씨앗인 빛”이야. 그래서 모든 사람은 ‘말’로 ‘마음’을 나누는 ‘이야기’를 하는 동안 스스로 배우지. 서로 마음을 말로 나눈 이야기를 곰곰이 짚고 돌아보면 스스로 익히고. 네가 ‘이야기’가 아닌 ‘말싸움(토론)’을 꾀했다면, 화살부터 쏘게 마련이야. 그러니까 넌 화살이 아닌 ‘마음(말)’을 드러내고 들려주는데, 저쪽에서 발끈하면서 불타오를 수 있는데, 저이가 늘 불타오르면서 스스로 갉고 죽인다는 뜻이야. 너는 저이가 불길을 끄거나 누그러뜨리고서 ‘사랑씨앗인 숲빛’을 돌아보기를 바라겠지. 오직 불씨 아닌 사랑씨일 적에 누구나 스스로 살리고 가꾸고 일으킬 테니까. 이야기를 이야기로 안 여기는 마음인 사람이 부쩍 느는구나. 그러나 걱정하지 마. 이이도 저이도 그이도 스스로 타올라서 드디어 재가 되고서야 눈물로 깨우칠 테니까. 활활 타오르고 싸우며(토론) 재가 되는데도 안 깨우쳐서 안 거듭나더라도 걱정하거나 딱하게 여길 까닭이 없어. 너는 늘 “누구나 숲사람이요, 저마다 숲씨앗이요, 언제나 숲말로 스스로 깨운다.” 하고 넌지시 속삭이면 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