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월간 토마토>에도 함께 싣는다

.

.

숲노래 우리말꽃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7


“마음에 새길 우리말을 한 가지 뽑는다면?” 하고 묻는 이웃님이 많다. 이때에 곧잘 ‘사랑’이나 ‘숲’이나 ‘바람’ 같은 낱말을 든다. 여기에 ‘나’라는 낱말을 자주 든다. 아주 쉽고 흔한 낱말이야말로 늘 돌아보면서 새길 만하다고 느낀다. 어린이부터 알아들을 낱말이기에 어른으로서 더 되새기면서 품을 낱말이라고도 본다. 나다운 나를 찾기에, 너랑 나랑 서로 호젓하게 ‘너나들이’를 이룬다.



꽃채

집이나 커다란 살림을 셀 적에 ‘채’라고 한다. 따로 ‘집’을 ‘채’로 나타내기도 한다. ‘바깥채’처럼 쓰는데, ‘나들채(드나드는 곳 : 드나들며 쉬거나 묵는 곳)’나 ‘마실채(마실하며 쉬거나 묵는 곳)’처럼 새롭게 살려쓸 만하다. 숲에 깃들거나 숲을 품는 집이라면 ‘숲집·숲채’라 할 수 있고, 꽃처럼 곱고 즐겁게 빛나는 집을 따로 ‘꽃채’라 해도 어울린다.


꽃채 (꽃 + 채) : 1. 꽃을 사고파는 곳. 2. 사랑스럽거나 곱거나 아름답거나 눈부시게 가꾸어 즐거운 곳. 3. 사랑스럽거나 곱거나 아름답거나 눈부신 나날·때·철·삶. (= 꽃집. ← 화원花園, 화려한 저택, 행복한 가정, 안락한 가정, 단란한 가정, 뷰티풀 하우스, 안식처, 휴식처, 힐링 공간, 일가단란一家團欒, 미용실, 미장원, 명소, 명승, 명승고적, 추천지, 핫플, 핫스팟, 포토존, 보물창고, 이상향理想鄕, 이상국理想國, 낙원, 피안彼岸, 파라다이스, 도원경, 도원향, 도화촌桃花村, 무릉도원, 별세계, 별천지, 별유천지, 천국天國, 천당天堂, 극락, 극락정토, 엘도라도, 평화세상, 평등세상)



나보기

내가 나로서 산다면 “나로 살다”이고, ‘나살기’로 줄일 만하다. 내가 나를 찾아나설 적에는 “나를 찾다”이고, ‘나찾기’로 줄일 만하다. 내가 나를 알려고 하면 “나를 알다”요, ‘나알기’로 줄이면 된다. 내가 바를 보려고 하면 “나를 보다”이자, ‘나보기’로 줄일 수 있다.


나보기 (나 + 보다 + -기) : 나를 보다. 내가 누구이고 어떤 숨결이며 어디에 왜 있는가를 보다. 내가 살아가는 곳·길·때를 보다. 둘레 눈길에 휘둘리거나 휩쓸리지 않으면서 내 눈으로 나를 보고 온누리를 보다. 다른 모습·말·터전에 맞추거나 따르기보다는, 내가 나부터 보면서 내가 스스로 살면서 짓고 누리고 나눌 오늘을 보다. (= 나를 보다·나보기·나봄·나를 알다·나알기·나앎. ← 직시, 개안開眼, 개심, 개벽, 지각知覺, 자각, 자아발견, 자기발견, 자의식, 각성, 성찰, 반성, 인식, 이해理解, 통달, 능통, 통찰, 통하다, 숙달, 숙지, 마스터, 간파, 달관, 인지認知, 도리道理, 실감, 체감, 열반涅槃, 대오각성, 대각大覺, 납득, 의식意識, 직관, 해탈)



몸꽃

몸을 다스리는 길은 많은데, 가만히 보면 우리말로는 그리 안 나타내는구나 싶다. 몸을 부드럽게 놀리거나 달래는 길을 우리나라뿐 아니라, 이웃 여러 나라에서 두루 즐기고 누리고 나눈다. 이러한 몸놀림이나 몸짓을 보면 마치 “꽃으로 피어난 몸” 같다. 가만히 피는 꽃처럼, 고즈넉이 나오는 꽃마냥, 차분하면서 참한 꽃빛을 품은 몸짓이라는 뜻으로 ‘몸꽃’이라는 이름을 지어 본다. 하늘처럼 하나되는 몸짓이라 여긴다면 ‘한꽃’이나 ‘한몸꽃’이라 할 수 있고, 몸을 살리는 길이라는 뜻으로 ‘살림몸’이라 할 수 있다.


몸꽃 (몸 + 꽃) : 몸으로 이루는 꽃. 몸놀림·몸짓을 꽃으로 피우거나 꽃처럼 돌보면서 펴는 길. 몸을 다스리고 달래고 다독여서 마음과 하나를 이루는 길. (= 몸풀기·살림몸·살림몸짓·살림짓·한꽃·한몸짓·한몸꽃·한꽃짓·한짓. ← 요가yoga, 물아일체, 태극太極, 일심, 일심동체, 일심불란一心不亂, 감응, 조응, 조화調和, 하모니harmony, 혼성混成, 혼성混聲, 혼연일체, 심신일여心身一如)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월간 토마토>에도 함께 싣는다


..


숲노래 우리말꽃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6


여름이 지나가려는 길목에 꾀꼬리 노래를 듣는다. 마당하고 뒤꼍에서 자라는 나무가 우람하게 우거지니, 뭇새가 날마다 갈마들면서 내려앉는데, 어제오늘 온 집안을 쩌렁쩌렁 울리는 맑고 밝은 노래에 더위를 훅 날린다. 꾀꼬리 노래에 귀를 기울이면 ‘꾀꼴’이라는 소리가 깃든다. 매미한테는 ‘미얌’이나 ‘매’ 소리가 깃든다. 개미나 거미는 ‘검다’라는 낱말을 밑동으로 붙인 이름이다. 여름 막바지에 반딧불이가 냇가를 밝히는데, 반디가 밝히는 빛으로 글 한 줄 읽을 수 있을까?



작은숲

큰사람이 있고 작은사람이 있다. 큰고을이 있고 작은고을이 있다. 큰바람이 불고 작은바람이 분다. 큰일을 치르고 작은일을 맞이한다. 크기로 보면, 큰나무 곁에 작은나무가 있고, 작은꽃 곁에 큰꽃이 있다. 나라도 마을도 크고작다. 크기에 더 좋지 않고, 작기에 더 나쁘지 않다. 그저 크기가 다르면서 어우러지는 숨빛이다. 우리는 저마다 ‘작은숲’이리라. 작은숲으로 만나고 손을 잡는 사이에 아름숲을 이루고 사랑숲을 펼치리라.


작은숲 (작다 + ㄴ + 숲) : 1. 키가 작은 나무로 이룬 숲. 나무가 많지 않거나 넓지 않거나 크지 않은 숲. 빽빽한 서울이나 큰고장 한켠에 풀꽃과 나무가 자라도록 마련해서 작게 꾸민 숲이나 쉼터. (= 작은나무숲·마을숲. ← 관목림, 공원公園, 인공림人工林, 공용림供用林, 근린공원, 동네공원) 2. 힘·목소리·이름·돈·자리가 낮거나 작거나 적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한복판이나 큰곳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바깥·구석·기슭·시골에서 스스로 살림을 짓는 길을 밝히면서 나아가거나 살아가는 사람이나 무리를 가리키는 말. (= 작은이·여린이·꼬마. ← 소수小數, 소수자, 소수파, 소수의견, 소수정예, 소수민족, 마이너minor, 마이너리티minority, 단신短身, 소인小人, 약자弱者, 언더독, 미물微物, 미니멀리스트, 소시민, 프티부르주아, 시민, 비주류, 하층, 하층민, 기초수급자, 영세零細, 영세민, 영세업자) 3. 곁에 놓거나 두면서 함께 놀고 어울리는 동무로 삼는 숨결. 사람·짐승·새·풀꽃나무·돌처럼 여러 모습으로 짓거나 꾸민다. (= 작은이·귀염이·꼬마. ← 인형)



비바라기

우리말 ‘비나리’는 “비는 일”을 가리킨다. 돈이나 밥을 빌기도 있지만, 무엇을 바라는 마음으로 빌기도 한다. ‘샤머니즘·무속’도 ‘제사·고사·기원·염원’도 ‘비나리’이다. 비가 오기를 바라며 지내던 ‘비바라기’도 ‘비나리’였다고 여길 만하다. 비는 날개이자 나리꽃 같은 마음인 ‘비나리’라면, 수수하게 비를 바라고 바라보는 마음을 담은 ‘비바라기’를 곁에 살며시 놓아 본다.


비바라기 (비 + 바라다 + -기) : 비를 바라는 마음·일·몸짓·자리. 비를 바라거나 바라보는 사람. 비가 안 내려서 날이 가물 적에 비가 오기를 바라면서 하늘을 바라보면서 비는 자리. (← 기우제)



반디눈빛

옮김(번역)은 거의 ‘새말짓기’라고 할 만하다. 우리말에 있는 낱말이라면 ‘옮김 : 이웃말을 우리말로 맞추기’이지만, 우리말에 없는 낱말이라면 ‘옮김 : 우리 나름대로 풀어서 새로짓기’이다. 반딧불하고 눈송이에 기대어 책을 읽는다는 중국말 ‘형설지공’은 ‘반디 + 눈 + 빛’으로 엮어 새말을 지어야 비로소 옮길 만하다. 밤낮으로 땀흘린다는 뜻을 담으려면 ‘밤낮 + 땀 + 빛’으로 새말을 지을 수 있다.


반디눈빛 : 반딧불하고 눈송이가 베푸는 빛. 가난한 옛사람이 여름에는 반딧불빛에 비추고, 겨울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으며 밤낮으로 애썼다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말. 아무리 힘들거나 고단한 살림이더라도 스스로 바지런히 살아가면서 배우려는 매무새일 적에는 뜻을 이룰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말. (반디눈빛·밤낮빛·밤낮땀빛 ← 형설지공螢雪之功)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월간토마토>에 함께 싣습니다


..


숲노래 우리말꽃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5


아이들하고 호두에 땅콩을 함께 먹다가 문득 ‘견과’라는 낱말을 돌아본다. 언제부터 이 한자말을 썼을까? 아이들이 대여섯 살이던 무렵에는 ‘견과’라는 소리를 내기도 버거워 했는데, 그때에는 ‘땅콩·호두·잣’이라고만 뭉뚱그리고서 넘어갔다고 느낀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낱말책도 뒤적인다. 우리 낱말책에 ‘굳은열매’라는 올림말이 있지만, 거의 죽은말이다. 아무도 이 낱말을 안 쓴다. 그러면 그냥 ‘견과’를 써야 할까? 아니면 앞으로 태어나서 자라날 뒷사람을 헤아려 오늘부터 새말을 엮을 수 있을까? 무슨 호박씨 하나로 골머리를 앓느냐고 핀잔하는 소리가 저 멀리서 들리지만, 해바라기씨를 즐겁게 까먹고 싶으니 마음을 기울이고 머리를 쓰고 생각을 여미어 본다.



단단알

우리 낱말책을 펴면 ‘굳은열매’가 올림말로 있다. 그러나 이 낱말을 아는 사람을 여태 못 봤다. 다들 그냥 으레 ‘견과·견과류’만 쓸 뿐이다. ‘견과 = 堅 + 果’이니, ‘단단 + 열매’라는 뜻이다. ‘굳은열매’는 잘 지었되, 제대로 알리거나 살리지 못 했다고 느낀다. ‘견고’ 같은 한자말은 ‘굳은’도 뜻하지만, 이보다는 ‘단단·든든·딱딱·탄탄’ 쪽에 가깝지 싶다. 그러니 ‘단단열매’로 돌아볼 만한데, 밤나무나 참나무나 호두나무는 ‘밤알·호두알’이라 하듯 ‘열매’보다는 ‘알’이라는 낱말로 가리키곤 한다. 그러니 ‘단단알’처럼 새말을 지어서 쓰자고 할 적에 어울리다고 느낀다. 또는 ‘굳알’처럼 ‘-은-’은 덜고서 단출하게 쓸 수 있다.


단단알 (단단하다 + ㄴ + 알) : 껍데기와 깍정이가 단단한 알. 껍데기와 깍정이로 단단히 감싼 알. 밤·호두·도토리·개암·잣에 땅콩·은행에 호박씨·해바라기씨이 있다. (= 단단열매·굳은알·굳은열매·굳알·굳열매. ← 견과堅果, 견과류堅果類)



난해달날

태어난 해랑 달이랑 날을 한자말로는 ‘생년월일’이라 하고 ‘생 + 년월일’인 얼개이다. 이 얼개를 조금 뜯으면, 우리말로 쉽게 “태어난 해달날”이라 할 만하고, 줄여서 ‘난해달달’이라 할 수 있다. ‘난날·난해’처럼 더 짧게 끊어도 된다.


난해달날 (나다 + ㄴ + 해 + 달 + 날) : 태어난 해·달·날. 몸을 입은 모습으로 이곳으로 나오거나 온 해·달·날. (= 난해난날·난날·난때·난무렵·난해. ← 생년월일)

난해달날때 : 태어난 해·달·날·때. 몸을 입은 모습으로 이곳으로 나오거나 온 해·달·날·때. (← 생년월일시)



마흔돌이

나이를 셀 적에 우리말로는 ‘살’이라 한다. 한자말로는 ‘세(歲)’라 하는데, 이 한자말은 높임말로 여기기도 하는데, 참 얄궂다. 왜 우리말로 나이를 세면 낮춤말이고, 한자말로 나이를 세면 높임말인가? 우리는 나이를 셀 적에 굳이 ‘살’을 안 붙이곤 한다. 스무 살이면 ‘스물’이라고, 여든 살이면 ‘여든’이라 한다. 이리하여 ‘마흔돌이’나 ‘마흔순이’처럼 가리킬 만하고, ‘마흔줄·쉰줄’ 같은 말씨는 꽤 널리 쓴다.


마흔돌이 : 마흔 살인 돌이. 마흔∼마흔아홉 살 사이인 사내. (← 40대 남성)

마흔순이 : 마흔 살인 순이. 마흔∼마흔아홉 살 사이인 가시내. (← 40대 여성)

마흔줄 : 마흔∼마흔아홉 살 사이인 나이. (← 40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월간 토마토>에 함께 싣습니다


..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4


한때 시골에서는 부르릉 날아오르는 날개로 “풀을 죽이는 물”을 뿌렸다. 요즈음은 아주 커다란 짐차에 매우 커다란 바람개비를 싣고서 우렁차게 울리면서 “풀을 잡는 물”을 멀리까지 뿌린다. 바람에 무엇을 얹어서 날릴 적에 서로 즐겁고 아름다울까? 골목길이 골목쉼터요 골목놀이터로 돌아가면, 골목사람이 깃공을 치면서 신바람으로 웃을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바람날개

바람을 타고 날면서 이곳에서 저곳으로 움직이곤 한다.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를 곁에 두고서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곤 한다. 바람처럼 가벼이 떠올라서 여기저기 움직이면서 찰칵찰칵 찍거나 무엇을 나르거나 쏘기도 한다. 바람을 타며 가볍게 춤추면서 이리저리 흐르기도 한다. 이름은 ‘바람날개’ 하나이되, 쓰임새는 여럿이다. 다 다른 것에 다 다르게 이름을 붙여도 되고, 이름 하나로 여러 가지를 가리킬 수 있다.


바람날개 (바람 + 날개) (= 바람나래·하늘갈개·하늘나래.) : 1. 바람을 타고서 다니다가 땅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꾸린 것. (←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2. 바람을 일으켜서 더위를 식히는 것. (← 선풍기, 에어컨) 3. 스스로 움직이도록 먼 곳에서 다루면서 하늘에 날리는 것. (← 드론drone, 무인기無人機) 4. 얇은 종이에 대나무 가지를 가늘고 길게 잘라서 댄 다음 꼬리를 달고 실로 이어서, 바람을 타고 하늘을 높이 날도록 하는 놀잇감. (← 연鳶)



골목꽃

들에 피기에 ‘들꽃’이다. 바닷가에 피니 ‘바다꽃’이다. 봄에는 ‘봄꽃’이고 가을에는 ‘가을꽃’이다. 시골에서 피고 진다면 ‘시골꽃’이요, 숲에서는 ‘숲꽃’이고, 멧자락에서는 ‘멧꽃’이다. 서울이라면 ‘서울꽃’일 테고, 골목길에서 자란다면 ‘골목꽃’이다.


골목꽃 (골목 + 꽃) : 골목에 핀 꽃. 큰길에서 집과 집 사이로 들어가는 좁은 곳에 핀 꽃. 집이 많인 곳에서 집과 집 사이를 잇는 곳에 핀 꽃.



깃공

깃털로 엮은 공이 있다. ‘깃털공’을 채로 톡톡 치면서 주고받고 논다. 깃털로 엮으니 ‘깃공’이요, 깃공을 주고받으면서 놀기에 ‘깃공치기’이면서 ‘깃공놀이’이다.


깃공 (깃 + 공) : 깃털로 엮어서 치고 받을 수 있도록 한 공. (= 깃털공. ← 셔틀콕)

깃공치기 (깃공 + 치다 + -기) : 깃공(깃털공)을 서로 치고 받으면서 넘기는 놀이. (= 깃털공치기·깃털공놀이·깃공놀이. ← 배드민턴)



무릎셈틀

책상에 놓으면 ‘데스크탑’이라 하고, 들고 다니거나 무릎에 놓으면 ‘노트북’이라 한다. 영어로는 이렇다면, 우리말로 풀자면 ‘책상-’하고 ‘무릎-’을 앞가지로 붙일 만하다. ‘책상셈틀’에 ‘무릎셈틀’이다. 무릎을 덮어 ‘무릎덮개’이듯.


무릎셈틀 (무릎 + 셈틀) : 가볍고 작기에 때로는 접어서 들고 다니다가, 무릎에 얹어서 쓰기도 하는 셈틀. (← 노트북)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월간 토마토> 2024년 7월호에 실었다


.

.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3



누가 뒷바라지를 한다는 말을 듣고는, 옆에서 가볍게 놀이를 하듯 “그럼 난 ‘옆바라지’를 할까?”라든지 “그럼 난 ‘앞바라지’를 해야지!” 하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벌써 마흔 해쯤 지난 어릴 적 수다 한 자락인데, ‘뒷바라지·앞바라지·옆바라지’라는 말이 재미있었다. 곰곰이 보면, 모든 말은 문득 샘솟는 즐거운 마음이 씨앗이 되어 반짝반짝 태어나는구나 싶다.



앞바라지

티를 내거나 드러내지 않는 조용조용한 몸짓으로 바라지를 하기에 ‘뒷바라지’라 한다. ‘뒷배’란 낱말도 있으니, 남한테 드러나지 않도록 보살피는 길을 가리킨다. 그렇다면 앞에 나서서 시끌벅적하게 바라지하는 사람도 있으니, ‘앞바라지·앞배’라 할 만하다. 어느 누구를 돕거나 바라지를 하는 사람이 있다고 널리 알리면서 기운이 나도록 할 적에는 ‘앞바라지·앞배’이니, ‘응원단·치어리더’ 같은 사람들이다.


뒷바라지 (뒤 + ㅅ + 바라지) : 뒤에서 가만히·조용히·넌지시 바라지를 하는 일. 뒤에서 가만히·조용히·넌지시 밥과 옷을 대주며 온갖 일을 살펴 주는 일. 둘레에서 알아볼 수 없도록 가만히·조용히·넌지시 밥과 옷을 대주며 온갖 일을 살펴 주는 일.

앞바라지 (앞 + 바라지) : 앞에 나서서 바라지를 하는 일. 앞에 나서서 밥과 옷을 대주며 온갖 일을 살펴 주는 일. 둘레에서 다 알아볼 수 있도록 앞에 나서서 밥과 옷을 대주며 온갖 일을 살펴 주는 일.



오솔바다

좁고 길게 난 길이라 ‘오솔길’이다. 으레 숲에 난 좁으면서 호젓한 길을 가리키는데, 큰고장 골목길도 오솔길로 여길 만하다. 뭍 사이에 난 바닷길이라면 ‘오솔바다’로 가리킬 수 있다. ‘옹송그리다·옹크리다’는 조그맣게 움직이는 결이다. 조그맣게 패인 듯한 곳에서 솟기에 ‘옹달샘’이다. 조그맣게 뭉치듯 가까이 모여서 포근하게 이루는 사이라서 ‘오순도순’이다.


오솔바다 (오솔 + 바다) : 뭍 사이에 좁고 길게 있는 바다. 난바다를 잇는데, 뭍 사이로 좁고 길게 잇는 바다. (= 쪽바다·목·길목 ← 해협)

오솔길 (오솔 + 길) : 한 줄로 다닐 만큼 좁으면서, 조용하거나 아무도 없어 외롭다고 느끼는 길.



길찾기

영어 ‘네비게이션’ 또는 ‘내비게이션’이란 말이 들어오기 앞서 ‘길찾기’라는 우리말을 쓰던 사람이 많다. “길을 찾으려고”라든지 “길 좀 찾으려고”처럼 으레 말했고, 저절로 ‘길찾기’란 낱말이 태어났다. 어디로 가야 하는가 찾고 싶기에 ‘길찾기’이니,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찾으려 하면 ‘삶찾기’요, 사랑을 어떻게 펴거나 이루거나 짓는지 찾으려 하면 ‘사랑찾기’이다. 사람을 찾으니 ‘사람찾기’이다. 일을 찾으니 ‘일찾기’이다. 아직 모르지만 이제부터 알거나 보고 싶기에 ‘찾기’를 한다.


길찾기 (길 + 찾다 + 기) : 1. 다니거나 오가거나 드나들 길을 찾는 일. 어느 길을 가야 하는가 찾는 일. ( ← 내비게이션, 도로 검색, 경로 탐색, 궤도 탐색) 2. 하거나 다룰 일을 찾기. 이제부터 하거나 앞으로 다루려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거나 찾기. 아직 모르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알려고 여러모로 찾는 일. (← 검색, 탐색, 탐구, 연구, 고민, 모색, 구하다求-, 갈구, 갈급, 갈망, 수색, 수사搜査, 물색物色, 추적, 취재, 대책, 암중모색)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