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너머 할미꽃 우리나라 그림책 4
이상교 지음, 김수경 그림 / 봄봄출판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18.

그림책시렁 1503


《고개 너머 할미꽃》

 이상교 글

 김수경 그림

 봄봄

 2008.5.10.



  처음 할미꽃을 멧자락에서 만난 날을 곧잘 떠올립니다. 처음 멧노랑(산국)을 논두렁에서 만난 날도 으레 떠올려요. 처음 범나비를 보고 네발나비를 보고 모시나비를 보고 부전나비를 본 날도 언제나 떠올립니다. 일부러 떠올리지는 않아요. 할미꽃부터 부전나비까지 ‘어제 본 뒤에 오늘 다시 보’더라도 여태까지 마주한 모습이 주르르 흐르더군요. 《고개 너머 할미꽃》은 ‘할미꽃’하고 얽힌 우리 옛이야기를 오늘날 그림책으로 새로 담아냅니다. 애쓴 티가 물씬 흐릅니다. 그렇지만 여러모로 매우 엉성합니다. 큰아이를 낳은 해가 2008년이고, 이듬해부터 이 그림책을 아이를 무릎에 앉혀서 읽히다가도 꽃이며 할매이며 시골집이며 뭔가 자꾸 눈에 걸렸습니다. 할미꽃 옛이야기는 어느 무렵 우리 살림살이를 비출까요? 조선 무렵일까요? 고려 무렵일까요? 고구려나 더 먼 예전은 아닐까요? 그림으로만 보는 꽃하고, 멧자락이나 들길에서 문득 마주하는 꽃은 아주 다릅니다. 그림으로만 보는 시골집하고, 스스로 살림을 지으면서 누리는 시골집은 그야말로 달라요. 가르침(교훈)으로만 옛이야기를 다룬다든지 옛모습을 새롭게 그리려고 하면 어쩐지 어긋나 보이더군요. 꽃을 그리려 하지 말고, 그저 꽃이랑 함께살기를 바라요. 할매는 그저 아이하고 두런두런 얘기하면서 조촐히 살림을 짓기를 바랄 뿐이었습니다.


ㅅㄴㄹ


《고개 너머 할미꽃》(이상교·김수경, 봄봄, 2008)


세 딸들도 어머니를 도와 열심히 일했어요

→ 세 딸도 어머니를 도와 힘껏 일해요

3쪽


마음씨가 착해 좋은 신랑감을 맞을 게야

→ 마음씨가 착해 참한 짝을 맞겠지

4쪽


딸 셋이 예쁘게 자라는 걸 기쁨으로 삼았어요

→ 딸 셋이 예쁘게 자라니 기뻐요

9쪽


그렇게 밝았던 눈도 침침해지고

→ 그렇게 밝던 눈도 어둡고

20쪽


새빨간 마고자 빛깔의 꽃이었어요

→ 새빨간 마고자빛 꽃이에요

2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붕붕어 인생그림책 35
권윤덕 지음 / 길벗어린이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18.

그림책시렁 1502


《행복한 붕붕어》

 권윤덕

 길벗어린이

 2024.6.5.



  저는 1994년까지는 인천사람으로 살고, 1995년부터 2004년까지는 서울사람으로 살다가, 2006년까지 충주사람으로 살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다시 인천사람으로 살고서, 2011년부터 전남 고흥 시골사람으로 살아갑니다. 어버이집을 떠난 뒤부터 거의 해마다 살림집을 옮겼는데, 시골사람으로 지내기로 하면서 “이제는 고이 고요히 뿌리내리는 하루를 그리자”고 여겼어요. 《행복한 붕붕어》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 하고 달포쯤 망설였습니다. 그냥그냥 인천이나 서울에 남아서 언제나 부릉부릉 매캐한 소리와 냄새에 시달려서 고달픈 몸이었다면 이렁저렁 포근하게 줄거리를 엮는다고 느낄 만하지만, 시골에서 곁님하고 아이들이랑 수수하게 숲빛으로 물드는 살림을 그리면서 천천히 짓는 눈으로 보자면 너무 철없고 억지스럽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제가 아이들하고 인천·서울처럼 큰고장에 남았더라도 이 그림책을 반기지 않았겠다고 느껴요. 왜냐하면 저는 큰고장에서도 늘 걸어다니고 아이하고 골목꽃과 골목나무와 골목새랑 동무하면서 별바라기를 했을 테니까요. 서울살이가 고달프다면, 서울내기 스스로 서울을 안 버리고 시골로 안 간 탓입니다. 그리고 서울을 들숲바다로 갈아엎는 길에 스스로 조그맣게 씨앗을 심는 일을 안 하는 탓이에요. 그림책이건 글책이건 ‘행복’이라는 일본스런 한자말을 굳이 붙일 적에는 오히려 “안 즐겁고 안 기쁘다”를 훅 드러낸다고 느껴요. 행복을 찾지 마셔요. 풀씨를 심고, 나무 곁에 서면 그만입니다.


ㅅㄴㄹ


《행복한 붕붕어》(권윤덕, 길벗어린이, 2024)


먼 길을 떠날 작정이에요

→ 먼길을 떠나려 해요

→ 먼길을 떠날 참이에요

2쪽


힘차게 땅 위로 첫발을 내딛었어요

→ 힘차게 땅으로 첫발을 내딛어요

6쪽


중력을 버텨내고 아가미를 펄떡이며

→ 끌힘을 버텨내고 아가미를 펄떡이며

6쪽


냉랭한 기운이 등뼈 속으로 스며듭니다

→ 등뼈가 시립니다

→ 등뼈까지 춥습니다

7쪽


얼어 버리기 전에 목적지에 도착해야 해요

→ 얼어버리기 앞서 닿아야 해요

→ 얼어버리기 앞서 가야 해요

7쪽


오랫동안 준비한 일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는 없어요

→ 오랫동안 살핀 일이니 물거품이 될 수는 없어요

7쪽


횡단보도 끝에 붕어빵 노점이 보여요. 붕붕어는 사람들이 건널 때를 기다렸다가 노점을 향해 달렸어요

→ 건널목 끝에 붕어빵집이 보여요. 붕붕어는 사람들이 건널 때를 기다렸다가 달려요

9쪽


노점 안은 훈훈했어요

→ 길가게는 따뜻해요

→ 가게는 따스해요

13쪽


조리대 위에 올라가 붕어빵 만드는 도구를 면밀히 살폈어요

→ 도마에 올라가 붕어빵 굽는 틀을 살펴요

→ 도마판에 올라가 붕어빵틀을 살펴요

13쪽


손님이 많아져요

→ 손님이 늘어요

→ 손님이 북적여요

15쪽


온몸을 요동치며 힘차게 튀어 올라 팥소 안으로 파고들었어요

→ 온몸을 흔들며 힘차게 튀어올라 팥소로 들어가요

17쪽


주걱 위에 잘 올라타야 하는데

→ 주걱에 잘 올라타야 하는데

17쪽


저기 8호실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좋겠어

→ 저기 여덟째로 들어가야겠어

17쪽


주걱 위에 온전히 올라탔어요

→ 주걱에 잘 올라탔어요

→ 주걱에 제대로 올라탔어요

19쪽


날 선 칼날을 간신히 피했어요

→ 칼날을 겨우 비켜요

19쪽


깊은 강물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았어요

→ 냇물로 깊이 빨려들어가는 듯해요

22쪽


수많은 기억이 스쳐 지나갔어요

→ 숱한 얘기가 스쳐 지나가요

→ 온갖 생각이 스쳐 지나가요

22쪽


그녀가 아픈 강물을 어루만졌어요

→ 아픈 냇물을 어루만져요

23쪽


발이 단단해졌어요

→ 발이 단단해요

27쪽


노점 주인을 찾아가 오랜 꿈을 이룰 거야

→ 가게지기를 찾아가 오랜 꿈을 이뤄야지

28쪽


오랫동안 준비한 일을 시작해요

→ 오랫동안 생각한 일을 해요

→ 오랫동안 헤아린 일을 벌여요

29쪽


발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어요

→ 발을 또렷하게 새겼어요

→ 발무늬가 뚜렷해요

32쪽


붕붕어빵들만 거치대에 쌓였어요

→ 붕붕어빵만 받침에 쌓여요

→ 붕붕어빵만 받이에 쌓여요

33쪽


푸른 하늘 투명한 햇살

→ 파란하늘 맑은 햇빛

35쪽


다시 굵어진 눈발 사이로

→ 다시 굵은 눈발 사이로

38쪽


이제 많은 사람들을 만날 거예요

→ 이제 여러 사람을 만나요

→ 이제 사람들을 만나지요

3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한테 가고 싶은 날 - 박희정 그림일기
박희정 지음 / 꿈꾸는늘보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18.

그림책시렁 1504


《엄마한테 가고 싶은 날》

 박희정

 꿈꾸는늘보

 2022.10.20.



  저는 어릴 적에 으레 어머니 곁에서 집안일을 도우면서 모든 심부름을 맡았는데, 우리 어머니도 아버지도 언니도 날마다 저를 실컷 때렸습니다. 세 분은 저마다 그날그날 힘겹고 고단하면서 바깥에서 시달린 응어리에 생채기에 멍울을 막내한테 주먹질로 고스란히 풀어내었다고 느껴요. 언제나 말없이 얻어맞으면서 울었습니다. 열다섯 살에 이르러 드디어 어머니 손목과 몽둥이를 붙잡고서 힘으로 버티었어요. 지난날을 살던 분 가운데 엄마아빠한테 안 얻어맞은 분을 더러 만나지만, 웬만한 사람들은 날이면 날마다 신나게 두들겨맞으면서 컸습니다. 이밖에도 엄마아빠한테 시달린 사람은 수두룩하겠지요. 《엄마한테 가고 싶은 날》은 그림님이 엄마한테 맺힌 응어리가 있어서 웬만해서는 말도 안 섞지만, 다른 한켠으로는 엄마한테 기대고픈 마음을 담습니다. 다만, 엄마하고 어떤 응어리가 있는지는 좀처럼 암말도 안 하네요. 그러나 바로 이 응어리부터 밝혀야 합니다. 이 응어리를 안 밝히면 앞으로도 그대로 갈밖에 없어요. 두루뭉술하게 “좋은 게 좋아” 하는 물결을 타려고 하면, 그림님도 어머니도 아무런 실타래를 못 풀고 오히려 더 엉킵니다. 글하고 그림으로 엮는 그림책은 부드럽게 스스럼없이 아이 곁에서 모두 풀 수 있는 빛꾸러미예요.


+


《엄마한테 가고 싶은 날》(박희정, 꿈꾸는늘보, 2022)


지금껏 엄마에게 내놓지 못한 저의 속마음이 담겨 있어요

→ 이제껏 엄마한테 내놓지 못한 제 마음을 담았어요

3쪽


수도 없이 떠올랐던 엄마에 대한 생각을 적은 글이에요

→ 숱하게 떠오른 엄마 이야기를 적었어요

→ 엄마가 숱하게 떠올라서 글을 적었어요

4쪽


나도 한 아이의 엄마가 된 지 오래인데, 지금도 여전히 엄마가 그립고 필요합니다

→ 나도 아이 엄마가 된 지 오래인데, 아직 엄마가 그리워요

6쪽


오래 화내고 싶은데 자꾸 겁이 난다

→ 오래 부아내고 싶은데 자꾸 두렵다

16쪽


좋아하는 브랜드지만 부담되는 가격 때문에 평소에는 매장을 둘러보지도 못하는 곳이다

→ 좋아하는 곳이지만 비싼값 대문에 그동안 가게를 둘러보지도 못했다

26쪽


평생 가난한 나의 부모

→ 내내 가난한 엄마아빠

28쪽


글방 선생님들과 식사를 하기로 한 날이다

→ 글집 어른들과 밥을 먹기로 한 날이다

46쪽


서른의 엄마가 나를 낳은 날

→ 서른줄 엄마가 나를 낳은 날

→ 서른살 엄마가 나를 낳은 날

5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릿광대 니노 별둘 그림책 5
에릭 바튀 글 그림, 한경희 옮김 / 달리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9.

그림책시렁 1469


《어릿광대 니노》

 에릭 바튀

 한경희 옮김

 달리

 2005.2.28.



  일자리에 높거나 낮은 길은 없다고 여기지만, 일마다 일삯이 다릅니다. 어느 일은 조금 맡아도 일삯이 높다랗고, 어느 일은 몇 해에 걸쳐서 맡아도 일삯이 눈곱만 합니다. 어느 일을 맡으면 사람들이 치켜세우고, 어느 일을 맡으면 아예 안 쳐다봅니다. 《어릿광대 니노》를 가만히 읽습니다. 여러 일자리 가운데 ‘어릿광대’를 맡은 니노는 처음과 달리 갈수록 풀죽습니다. 니노는 앞으로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 니노랑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니노하고 어떻게 어울려야 할까요? 니노는 왜 시름시름 앓듯 기운이 빠질까요? 누구나 두 어버이한테서 사랑받아서 하나인 몸으로 태어납니다. 우리는 저마다 ‘하나’이되 ‘두 빛’을 나란히 품어요. 어떤 사람도 ‘두 빛’이 없으면 ‘하나’로 못 삽니다. 그리고 우리도 나 하나로서가 아닌, ‘나처럼 하나’인 ‘두 빛을 품은 하나’인 동무를 짝으로 만나면서 사랑을 싹틔웁니다. 삶이라는 길에 굳이 짝꿍을 찾아야 하지는 않습니다. 누구나 혼자서 호젓이 홀로설 만합니다. 홀가분하게 혼살림을 짓는 하루도 아름답습니다. 그런데 혼자일 적에 달래거나 다독이거나 품는 이웃이나 동무가 있게 마련이에요. 사람이 곁에서 달랠 수 있고, 나무나 별이 달랠 수 있어요. 혼자인 숨결은 없어요.


#Clown Nino #Eric Battut


ㅅㄴㄹ


《어릿광대 니노》(에릭 바튀/한경희 옮김, 달리, 2005)


사람들이 나를 비웃는 게 아닐까

→ 사람들이 나를 비웃지 않을까

4쪽


상자를 바닥 위에 내려놓습니다

→ 꾸러미를 바닥에 내려놓습니다

28쪽


오늘부터 니노의 짝입니다

→ 오늘부터 니노와 짝입니다

→ 오늘부터 니노 짝입니다

2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빛 Dear 그림책
문지나 지음 / 사계절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9.

그림책시렁 1484


《여름빛》

 문지나

 사계절

 2023.6.30.



  그림책은 어린이만 펼치지 않습니다. 모든 그림책은 어버이가 먼저 펼칩니다. 어린이가 보기에 알맞은가 아닌가 하고 어버이부터 스스로 살펴서 익히고 가눌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림책은 어린이에 앞서 어버이가 먼저 읽고 헤아리면서 누릴 꾸러미입니다. 어버이부터 온마음에 사랑이라는 빛을 품도록 북돋운 아름다운 그림책이기에, 아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아이랑 나란히 누워서 즈믄벌(1000번)이건 열즈믄벌(10000번)이건 끝없이 읽어 줄 수 있습니다. ‘Dear 그림책’이란 이름으로 나온 《여름빛》을 돌아봅니다. 모름지기 그림책은 아이하고 어버이가 나란히 누릴 뿐 아니라, 모든 어른이 함께 누릴 만합니다. 다만, 요즈음은 아이는 젖혀놓고서 “어른들끼리 즐기는 그림책”이 꽤 나옵니다. “어른들끼리 즐기는 그림책”은 하나도 안 나쁩니다. 어른도 얼마든지 그림책을 즐길 노릇입니다. 그러나 “왜 그림책일까?”를 좀 생각해야지 싶어요. 왜 “귀여운 그림책”도 “즐거운 그림책”도 “곁에 둘 그림책”도 아닌 ‘Dear’여야 할까요? 이렇게 “어른끼리 즐기는 Dear”은 으레 서울(도시)스러운 빛깔과 붓끝과 줄거리이게 마련입니다. 예부터 아이하고 어버이가 함께 누리던 그림책은 ‘들숲바다’를 바탕으로 삼았어요. 꽤 쓸쓸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