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른 쪽에서 ㅣ 세계 작가 그림책 8
로랑스 퓌지에 글, 이자벨 카리에 그림, 김주열 옮김 / 다림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3.27.
그림책시렁 1539
《다른 쪽에서》
로랑스 퓌지에 글
이자벨 카리에 그림
김주열 옮김
다림
2014.10.13.
사귀거나 사랑할 적에는 스스럼없이 어울립니다. 어느 쪽을 싸거나 감쌀 적에는 그만 싸움박질로 번지면서 갈립니다. 금을 안 긋는 사귐길에 사랑이요 ‘사이’라면, 금을 좍좍 긋고서 쩍쩍 갈라지는 싸기·감싸기·싸움입니다. 《다른 쪽에서》는 “담 너머”를 그리는 두 아이가 말없이 마음으로 만나는 나날을 들려줍니다. 아이들은 담을 안 쌓았어요. “어른 아닌 나이든 꼰대”들이 담을 쌓았습니다. 담은 매우 단단하고 높을 뿐 아니라, 꼭대기에 쇠가시까지 사납게 박았습니다. 만나지 못 하고, 목소리가 닿지 않는 “담 너머”이지만, 두 아이는 마음이 ‘닿’기를 바랍니다. 서로 다가가고 다가옵니다. 이제 둘은 다가서는 사이로 “말없이 그림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나라에는 높다란 담벼락을 안 세웠더라도 그만 이쪽하고 저쪽으로 크게 갈라서 ‘마음담’을 쌓습니다. 사귀려는 마음이 서로 없고, 사이를 열거나 틈을 내어 말을 나누려는 마음마저 없는 듯 보입니다. 한마음이라면 말을 안 나누어도 안다지만, ‘다른마음’인데 말조차 안 섞으면 어찌 될까요? 어느 쪽이 먼저 와르르 무너져야 할까요, 아니면 돌담도 마음담도 걷어내고서 다가서려는 길을 낼 수 있을까요?
#De l'autre cote
#Isabelle Carrier #Laurence Fugier
ㅍㄹㄴ
《다른 쪽에서》(로랑스 퓌지에·이자벨 카리에/김주열 옮김, 다림, 2014)
그런데 왜 친구들은 오지 않는 거죠?
→ 그런데 왜 동무들은 안 오죠?
→ 그런데 왜 다들 안 오죠?
4쪽
기다리는 데 싫증이 났어요
→ 기다리다가 싫어요
→ 기다리다가 지쳐요
5쪽
그래서 괜히 공에게 분풀이를 합니다
→ 그래서 울컥 공한테 성풀이를 합니다
5쪽
담장 너머 다른 쪽에는 햇볕을 피할 수 있는 그늘이 있답니다
→ 담 너머 다른 쪽에는 햇볕을 그을 그늘이 있답니다
6쪽
이 공은 어디서 온 걸까요
→ 이 공은 어디서 왔을까요
7쪽
주위에 사람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서는
→ 둘레에 사람이 없는 줄 살피고서는
9쪽
같은 시각에 다시 옵니다
→ 같은 때에 다시 옵니다
18쪽
더 이상 놀지 못하도록 금지했거든요
→ 더 놀지 못하도록 막거든요
→ 더는 못 놀거든요
26쪽
모인 사람들 중에는 안경을 낀 남자아이도
→ 모인 사람에는 덧보기를 낀 사내아이도
→ 모인 사람에는 덧눈을 낀 아이도
30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