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어린이날 문지아이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김서정 옮김, 일론 비클란드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이 아름답고 작은 책을 기리려는 뜻으로

느낌글을 새로 쓴다.

첫 느낌글은 2010년에 썼다.

.

.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4.2.

그림책시렁 1346


《행복한 어린이날》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9.3.26.



  어느 때부터인가 이 나라를 ‘검찰나라’로 여기는 분이 많은데, 아주 틀리지는 않으나, 이보다는 ‘서울나라’가 뿌리깊기에 모든 얄궂은 가지가 죽죽 뻗는다고 느낍니다. 서울나라이기에 검찰이건 재벌이건 ㅈㅈㄷ이건 서울대이건 몇몇이 담벼락을 세워서 돈·이름·힘을 거머쥡니다. 나라를 이루는 모든 고갱이가 온통 서울에 쏠리고, 모든 일은 서울에서 벌어지고, 모든 글과 책과 말마저 서울에서 다른 곳으로 내려보내는 틀입니다. 서울사람은 모를 텐데, 시골 어린이와 푸름이는 “서울로 수학여행”을 갑니다. “나중에 서울에서 일하거나 다니려면 미리 ‘전철 갈아타기’에 ‘건널목·길불(신호등)’에 사람물결을 겪어야 한다”고 여기면서 가르칩니다. 온통 서울나라인 이곳에서 시골아이도 서울아이도 즐겁기는 어렵습니다. 《행복한 어린이날》이 처음 한글판으로 나온 2009년에 매우 반가웠습니다. 그러나 얼마 못 읽혔고 이내 판이 끊깁니다. 아무래도 어른이란 이름인 사람들부터 “즐겁게 뛰놀며 자랄 어린이”를 안 쳐다보거나 못 품는 탓입니다. 아이어른이 함께 일굴 새누리 새터 새고을이려면, 밉질도 쌈박질도 담벼락도 아닌, 들숲메바다를 아우르면서 새랑 노래할 수 있는 터전일 노릇입니다. 가장 마음을 쏟고 생각을 기울일 곳이란 늘 ‘어린이’여야 한다고 봅니다. 어린이 눈길로 보고, 어린이와 어깨동무할 살림터로 가꾸려는 마음일 적에 모든 부스러기를 털 수 있습니다.


#BarnensDagBullerbyn

#AstridLindgren #IlonWilkand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Ugly Duckling (Hardcover)
Andersen, Hans Christian / Candlewick Pr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4.2.

그림책시렁 1328


《the Ugly Duckling》

 Hans Christian Andersen 글

 Steve Johnson·Lou Fancher 그림

 Candlewick

 2008.



  못생긴 아기나 미운 아이란 없다고 봅니다. 모든 아기는 그저 아기요, 모든 아이는 언제나 아이입니다. 그런데 우리말에나 이웃말에 ‘못생기다(Ugly)’라든지 ‘밉다(hate)’가 있어요. 사랑으로 품는 길이 아닌, 처음부터 꺼리거나 내치거나 밀어대거나 멀리하는 몸짓입니다. 마음을 읽지 않고서 겉모습으로 따지거나 재려는 틀입니다. 《the Ugly Duckling》 이야기를 어릴적부터 거북하게 느꼈으나, 거북하더라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더군요. 아기도 아이도 그저 다 다르면서 나란한 숨빛이지만, 둘레(사회)에서는 이렇게 안 보거든요. 더욱이 한집에서도 ‘착한아이’하고 ‘미운아이’를 갈라서 바라보는 어버이와 언니가 있습니다. 마을과 배움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데르센 님이 남긴 이야기를 오래오래 곱씹습니다. ‘사람이라는 옷’을 입으면 모두 속눈 아닌 겉눈에 얽매인다는 뜻을 펴는 셈이라기보다는, ‘사람이라는 빛’을 잊은 채 서로 사랑까지 잊고 마는 굴레이니, 이런 굴레살이에서 누구보다 우리 스스로 “남이 나를 못생겼다고 여기든, 나무라든, 손가락질을 하든, 밀쳐대든, 이 모두를 똑같이 미운말로 되치지 않는 사랑길을 찾을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이 사랑이 아니라서 내가 사랑이 아니어야 하지 않아요.


#미운새끼오리

#theUglyDuckling #한스크리스티안안데르센 #SteveJohnson #LouFancher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를 심은 사람 두레아이들 그림책 1
프레데릭 백 그림, 장 지오노 글, 햇살과나무꾼 옮김 / 두레아이들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4.2.

그림책시렁 1568


《木を植えた男》

 ジャン ジオノ 글

 フレデリック バック 그림

 寺岡襄 옮김

 1989.12.15.첫/1991.2.28.29벌



  한글판 그림책 《나무를 심은 사람》은 2002년에 나옵니다. 헌책집에서 1989년 일본판을 만나고서 한참 생각해 보았습니다. 모든 책이 그때그때 나와야 하지는 않고, 늦은때도 이른때도 없으며, 우리로서는 우리 눈망울을 틔울 적에 비로서 우리 이야기를 돌아보는 책을 낼 수 있습니다. 2002년은 얼마나 눈뜨던 나날이요, 2025년은 얼마나 눈뜬 삶을 짓는 하루일는지요? 모든 새뜸(언론)은 ‘그루팔이(주식투자)’를 날마다 무척 크게 다루는데, ‘주식(株式)’이라는 일본 한자말에서 ‘株’가 나무를 세는 ‘그루’를 옮긴 한자인 줄 얼마나 알아볼까요? 우리는 ‘나무심기’가 아닌 ‘돈심기’라는 길을 날마다 끝없이 합니다. 돈을 심으니 돈을 낳을 수 있지만, 돈을 잃을 수 있어요. 목소리를 높이기에 목소리를 얻기도 하지만, 목소리를 잃기도 합니다. 돈을 거머쥔 이들은 서울이며 큰고장에서 더 비싸거나 값진 집을 장만해서 돈치기처럼 길미를 얻습니다. 그러나 나무심기나 씨앗심기는 아주 모르는 듯싶습니다. 여러 돈꾼뿐 아니라 수수한 사람도 나무나 풀꽃을 심을 터를 얻기에 벅차거나 빠듯하고, 땅하고 너무 먼 삶입니다. 시골은 시골대로 흙빛을 잊는 굴레입니다. 이 그림책을 읽는 아이들이 “나무를 심을 수 있는 우리집과 마을”을 그리기를 바라요. 아이하고 이 그림책을 읽는 어른은 “나무를 심을 마당이 있는 집”을 그리기를 빕니다.


#나무를심은사람 #장지오노 #프레데릭백

#TheManWhoPlantedTrees #JeanGiono #FredericBack

#L'homme qui plantait des arbres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른 쪽에서 세계 작가 그림책 8
로랑스 퓌지에 글, 이자벨 카리에 그림, 김주열 옮김 / 다림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3.27.

그림책시렁 1539


《다른 쪽에서》

 로랑스 퓌지에 글

 이자벨 카리에 그림

 김주열 옮김

 다림

 2014.10.13.



  사귀거나 사랑할 적에는 스스럼없이 어울립니다. 어느 쪽을 싸거나 감쌀 적에는 그만 싸움박질로 번지면서 갈립니다. 금을 안 긋는 사귐길에 사랑이요 ‘사이’라면, 금을 좍좍 긋고서 쩍쩍 갈라지는 싸기·감싸기·싸움입니다. 《다른 쪽에서》는 “담 너머”를 그리는 두 아이가 말없이 마음으로 만나는 나날을 들려줍니다. 아이들은 담을 안 쌓았어요. “어른 아닌 나이든 꼰대”들이 담을 쌓았습니다. 담은 매우 단단하고 높을 뿐 아니라, 꼭대기에 쇠가시까지 사납게 박았습니다. 만나지 못 하고, 목소리가 닿지 않는 “담 너머”이지만, 두 아이는 마음이 ‘닿’기를 바랍니다. 서로 다가가고 다가옵니다. 이제 둘은 다가서는 사이로 “말없이 그림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나라에는 높다란 담벼락을 안 세웠더라도 그만 이쪽하고 저쪽으로 크게 갈라서 ‘마음담’을 쌓습니다. 사귀려는 마음이 서로 없고, 사이를 열거나 틈을 내어 말을 나누려는 마음마저 없는 듯 보입니다. 한마음이라면 말을 안 나누어도 안다지만, ‘다른마음’인데 말조차 안 섞으면 어찌 될까요? 어느 쪽이 먼저 와르르 무너져야 할까요, 아니면 돌담도 마음담도 걷어내고서 다가서려는 길을 낼 수 있을까요?


#De l'autre cote

#Isabelle Carrier #Laurence Fugier


ㅍㄹㄴ


《다른 쪽에서》(로랑스 퓌지에·이자벨 카리에/김주열 옮김, 다림, 2014)


그런데 왜 친구들은 오지 않는 거죠?

→ 그런데 왜 동무들은 안 오죠?

→ 그런데 왜 다들 안 오죠?

4쪽


기다리는 데 싫증이 났어요

→ 기다리다가 싫어요

→ 기다리다가 지쳐요

5쪽


그래서 괜히 공에게 분풀이를 합니다

→ 그래서 울컥 공한테 성풀이를 합니다

5쪽


담장 너머 다른 쪽에는 햇볕을 피할 수 있는 그늘이 있답니다

→ 담 너머 다른 쪽에는 햇볕을 그을 그늘이 있답니다

6쪽


이 공은 어디서 온 걸까요

→ 이 공은 어디서 왔을까요

7쪽


주위에 사람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서는

→ 둘레에 사람이 없는 줄 살피고서는

9쪽


같은 시각에 다시 옵니다

→ 같은 때에 다시 옵니다

18쪽


더 이상 놀지 못하도록 금지했거든요

→ 더 놀지 못하도록 막거든요

→ 더는 못 놀거든요

26쪽


모인 사람들 중에는 안경을 낀 남자아이도

→ 모인 사람에는 덧보기를 낀 사내아이도

→ 모인 사람에는 덧눈을 낀 아이도

30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バベルの塔 (至光社國際版繪本) (大型本, 改訂)
佐久間 彪 / 至光社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3.27.

그림책시렁 1565


《のあの はこぶね》

 かすや昌宏 그림

 佐久間彪 글

 至光社

 1977.3.15.



  우리는 일본말을 잘못 옮겨서 “노아의 방주”라 하지만, “노아네 배”나 “노아 배”라 옮겨야 알맞습니다. 노아는 하늘말씀을 알아듣고서 ‘배’를 크게 무었습니다. 노아는 ‘네모낳’게 배를 무었다는데, ‘네모배’란 ‘ㅁ’이고, ‘네모·ㅁ’은 ‘아늑하게 지키고 돌보며 품는 집’을 가리킵니다. “백조의 호수”도 잘못 옮긴 일본말씨인데, “고니못”이라 해야 알맞아요. 새이름인 ‘고니’는 “고운 임”이라는 뜻입니다. 《のあの はこぶね》는 노아라는 사람이 왜 어떻게 무슨 배를 무어서 어떻게 새길을 나섰는가 하는 줄거리를 따사로이 어루만지는 붓끝으로 풀어냅니다. 언뜻 보면 믿음길(종교)을 들려주는 듯하지만, 곰곰이 넘기면 ‘너나들이’라고 하는 살림길을 하늘빛과 숲빛과 바다빛과 들빛으로 담아낸 아름다운 그림책이로구나 싶습니다. 우리나라 글꾼이나 그림꾼이 노아네 배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묶는다면 어떤 책이 태어날까요? 《のあの はこぶね》처럼 믿음길이 아닌 살림길로 바라보면서 풀어낼까요, 아니면 그냥그냥 ‘하느님 기리기’로 기울까요? 하느님은 늘 모든 사람 마음에 다 다르게 깃듭니다. 말밑을 보면 ‘하늘 = 하나인 나’라는 뜻입니다. 나도 너도 오직 하나인 하늘입니다. 이 얼거리를 읽어낼 적에 서로서로 사랑으로 이으면서 어울릴 수 있습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