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206 까칠한 이오덕



  2003년 8월에 이오덕 어른이 흙으로 돌아갑니다. 마지막 숨줄기를 품을 즈음 스스로 ‘멧새’가 되어 날겠다는 꿈을 그리셨습니다. 그런데 적잖은 글밭·그림밭 사람들한테서 후련하다고 여기는 말이 자꾸 흘러나왔습니다. 가만히 그분들 말을 들으면 “이제 까칠하게 따지는 사람이 없어서 좋다!”고 여기더군요. 모름지기 글빗(비평)이란 까칠해야 합니다. 하나부터 온(100)까지 짚을 뿐 아니라, 즈믄(1000)도 짚을 수 있는 글빗입니다. 머리카락을 빗질을 할 적에 얼렁뚱땅 하면 엉켜요. 천천히 고르게 할 빗질입니다. 글빗도 이와 같으니, “잘잘못 따지기”가 아니라 “줄거리·이야기·글결이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살림씨앗과 살림꽃으로 나눌 만한가?”를 짚고 헤아리며 들출 노릇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띄우기(주례사비평)를 안 한 글빗님으로 누가 있을까요? 글꾼·그림꾼이 글꾼·그림꾼으로서 즐겁고 아름답게 피어나기를 바라며 글빗질을 맡은 분은 몇이나 될까요? 까칠하고 깐깐한 글빗어른 한 사람은 꼼꼼하고 곱게 읽고 새겼기에 하나하나 풀어서 들려줄 수 있습니다. 글빗질을 안 받으려는 글꾼이나 그림꾼이라면, 또 옮김꾼(번역가)이라면, 우리나라 글밭과 그림밭은 앞날이 캄캄합니다. 빗질이 없는 나라에는 빗방울도 말라버려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205 문화센터



  책숲(책숲)은 책으로 이룬 숲이어야 알맞지만, 우리나라 책숲은 자꾸 너른마당(복합문화공간·백화점 문화센터)을 닮아가요. 책숲에서 책만 다루어야 할 까닭은 없어요. 모든 책은 모든 살림을 다루기에, 모든 살림을 담아낸 책을 바탕으로 모든 살림을 차근차근 풀고 펴고 나눌 만합니다. 굳이 “책으로 이룬 숲”인 ‘책숲’을 여는 뜻을 헤아려 봅니다. 우리는 오른손에 호미를 쥐고서 밭을 일구어 밥살림을 일굴 적에 스스로 서면서 즐겁습니다. 호미를 쥐는 오른손으로 밥을 짓고 빨래를 하지요. 빗자루와 걸레를 쥐고서 집 안팎을 정갈히 치울 만합니다. 오른손으로 나무를 다루어 집을 짓고요. 이다음에 왼손으로 붓을 쥐고서 ‘살림을 지은 이야기’를 새록새록 짓습니다. 살림부터 짓기에 이야기를 짓고, 살림을 지은 어진 마음을 아이하고 이웃한테 나누려고 이야기를 풀고 펴고 들려줍니다. 책숲이라면 오른손과 왼손이 나란히 하는 일이 무슨 뜻인지 밝히면서 왼손이 왼손답게 깨어나고 오른손이 오른손답게 피어나는 길을 나누는 자리여야 어울립니다. 어느 한 손만 쓰지 않고, 어느 한 눈만 보지 않고, 어느 한 귀만 듣지 않아요. ‘온손·온눈·온귀’를 살리는 ‘온몸·온마음·온넋’으로 ‘온살림·온사랑·온숲’으로 갑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204 초등학생



  아이는 아이로 살아가면 넉넉하고, 어른은 어른으로 살림하면 알찹니다. 아이도 어른도 굳이 어떤 틀에 갇힐 까닭이 없습니다. 오늘날은 자꾸 아이를 배움터(학교·학원)에 밀어넣으면서, 그만 살림길을 여는 즐거운 하루가 아닌, 굴레나 수렁이나 틀에 가두는 메마르고 딱딱한 쳇바퀴에 고이더군요. 아이는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이 되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대학생’이나 ‘사회인·직장인’이 되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오로지 ‘사람’으로 나아가면 아름답고, 어른은 늘 아이 곁에서 함께 ‘사랑’으로 살아갈 노릇입니다. 숱한 어른들은 자꾸 아이를 길들이려 하면서 ‘다짐(약속·시간약속·규칙·규정)’을 지키라고 몰아세우더군요. 우리가 참말로 ‘어른’스럽다면 아이한테 다짐을 내밀지 않으리라 생각해요. 아이는 소꿉을 놀면서 느긋이 살림을 익히면 즐겁습니다. 아이는 뛰고 달리고 춤추고 노래하는 하루를 누리면서 일놀이를 배우면 사랑스럽습니다. ‘몸놀림·손놀림’ 같은 낱말을 들여다보기를 바라요. ‘놀다·놀이’란 아무것도 안 하는 허튼짓이 아닙니다. “즐겁게 하루를 살면서 슬기로운 어른으로 자라나는 사랑스러운 오늘 = 놀이”요, 어른은 늘 기쁘게 일하며 아이를 돌아보면 가만히 빛나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7.12.

책하루, 책과 사귀다 203 〈the Cove〉, 3166



  돌고래를 ‘고깃살’로 여겨서 즐기는 사람은 드물고, ‘그냥 고래’를 고깃살로 즐긴다지요. 일본에서는 고래고기를 널리 먹는다는데, 막상 ‘돌고래 고깃살’이기 일쑤라지만, 이 대목을 제대로 밝히지 않거나 감춘다더군요. 일본 ‘와카야마 타이지’에서 ‘고기잡이(어민)·나라(정부)·글바치(언론·작가)’가 똘똘 뭉쳐서 바깥에 감춘 ‘돌고래 떼죽임질’이 있습니다. 이 바보짓을 막으려고 ‘릭 오배리(Ric O'Barry)’ 님이 오래도록 애썼는데, 드디어 이 막짓을 처음으로 담아서 〈the Cove〉라는 보임꽃으로 2009년에 선보입니다. 우리나라에도 걸린 보임꽃을 지켜본 사람은 ‘3166’입니다. 겨우 3166 사람이 보았는가 하고 여길 수 있고, ‘3166 씨앗’이 있었다고 반길 수 있습니다. 힘·돈·이름 셋으로 높다랗게 세운 담벼락을 작은씨앗이 구멍을 하나 뚫었고, 석즈믄(3000) 작은씨앗이 새롭게 이었거든요. 숲은 숱한 씨앗이 나고자라는 터전이되, 모든 아름드리숲은 처음에 씨앗 한 톨에서 비롯합니다. 우리 터전과 마을과 보금자리를 가꾸면서 살리는 씨앗도 늘 마음씨 한 톨과 말씨 한 알과 글씨 한 자락일 테지요. 무엇을 보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사랑을 빛낼 적에 아름다울는지 살피려고 합니다. 작은책과 작은길을 눈여겨봅니다.


ㅅㄴㄹ


Ric O'Barry

릭 오배리(1939∼)

Ric Obarrys Dolphin Project

《Behind the Dolphin Smile, To Free a Dolphin》(2012)


https://en.wikipedia.org/wiki/Ric_O%27Barry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책하루, 책과 사귀다 202 삶길



  우리는 곁에 삶을 둡니다. 일거리나 놀잇거리 모두 삶이고, 곁님(남편·아내)도 삶이고, 아이들도 삶이며, 어버이도 삶입니다. 남처럼 맞이할 삶이 아닌, 나대로 나아갈 삶입니다. 남을 따라가는 삶이 아니라, 나로서 걸어갈 삶이에요. 짝꿍을 만나는 삶이면서, 짝꿍보다는 혼살림을 노래하는 삶이기도 합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삶이면서, 스스로 낳은 아이가 아니어도 마을아이나 이웃아이를 사랑으로 보살피는 삶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늘 바로 이곳에서 오늘 살림을 지으며 스스로 사랑을 일구는 삶이기에 따로 ‘즐겁다(행복)’ 하고 말하지 않더라도 차곡차곡 하루를 가꾸면서 누립니다. 혼자 가는 길이기에 고단할까요? 두셋이나 너덧이 함께 가는 길이기에 지칠까요? 스스로 고단하다고 여기면 혼자이든 여럿이든 고단합니다. 스스로 홀가분하다고 여기면 여럿이든 혼자이든 홀가분합니다. 누구나 다 다르게 오늘을 맞이하면서 삶을 밝히는 길입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바라보는 삶입니다. 어느 날은 버거울 만하고, 어느 날은 가벼울 만하고, 어느 날은 짜증스러울 만하고, 어느 날은 빙그레 웃을 만합니다. 꼭 “이러해야 한다”고 못박지 않으면 돼요. 서로서로 가만가만 삶이라는 오늘 이 하루를 걸어가기에 스스로 즐거이 사랑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