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4 처마 2024.9.14.



  처마가 없는 집이 부쩍 늘었기에 ‘처마’라는 말소리를 들은 바 없는 사람이 대단히 많다. 골목집이나 시골집에서 지낸 적이 없으면 더더구나 ‘처마’를 알 길이 없다. ‘초리’처럼 지붕 끝이 살며시 나온 곳인 처마요, 집을 이루는 곳에서 처음인 길로 여길 처마이다. 처마에 붙여서 ‘처마종’이다. 처마종은 바람이 불면 살살 춤을 추면서 소리를 낸다. 처마에 붙인 작은 쇠라서 ‘처마쇠’이고, 꽃이나 새나 물고기 모습으로 꾸며서 ‘처마꽃·처마새·처마물고기’이다. 처마끝에서 모이며 떨어지는 물이니 ‘처맛물’이다. 처마를 모르는 탓에 ‘낙숫물(落水-)’ 같은 겹말을 잘못 쓰는 분이 제법 있다. 한자말 ‘낙수 = 떨물·떨어지는 물’이기에, ‘낙수 + 물’처럼 쓸 수 없다. 비가 오면 빗방울이 처마에 부딪히고 모이면서 떨어진다. 처마 밑에 서면 비를 긋는다. 제비는 처마 밑에 둥지를 짓는다. 참새는 아예 처마 둘레에 구멍을 내어 서까래에 둥지를 엮곤 한다. 이제는 굳이 한집(한겨레집)을 지어서 살아야 하지 않으니, 처마가 없는 집에서 살며 처마를 모를 수 있다. 그런데 처마를 조금 내기에 집채가 아늑하다. 처마가 빗물을 튕겨 주기에 집채가 고스란하다. 큰고장에 가득한 ‘아파트·빌라’에는 처마가 아예 없다시피 하기에 바깥담은 늘 눈비에 닳고 햇볕에 삭는다. 집에 처마를 놓으면서 오래오래 건사하는 셈이다. 집에 처마가 있기에 누구나 처마 밑에서 비를 긋거나 해바라기를 하면서 가볍게 쉴 만하다. 처마가 있으니 작은새도 깃들어 노래를 베푼다. 살림자리에서 쓰는 이름 하나가 사라질 뿐일까? 살림을 하는 뜻이 나란히 잊히면서 살림 한켠이 사르르 닳거나 삭아서 사라지는 셈이지 않을까? 처마를 낸 오랜 골목집이나 시골집은 두온해(200년)도 닷온해(500년)도 너끈하지만, 다른 집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3 이름 2024.9.16.



  우리한테는 ‘이름’이 있지만, 곳곳에서 ‘성명(姓名)’처럼 한자를 쓰라고 밀었다. “여기에 손으로 사인(sign)을 하세요”나 “이곳에 수기(手記)로 서명(署名)하세요” 같은 겹말은 아직 사그라들지 않는다. ‘사인·서명’은 ‘이름’을 가리키면서 ‘손으로·스스로’ 하는 몸짓을 담는다. ‘수기 = 손으로 적다’요, ‘서명 = 이름을 적다’이다. 곰곰이 짚자면 처음부터 ‘이름’이라는 낱말과 ‘손으로·스스로’라는 낱말을 쓰면 된다. 우리말로 쉽게 쓴다면 겹말로 잘못 쓸 일이 없고, 어린이부터 알아들을 만하다. 이름을 ‘이름’이라 하지 않다 보니, ‘딴이름·다른이름’을 한자로 ‘별명(別名)’처럼 엮는다. 글을 쓸 적에 붙이는 이름인 ‘글이름·붓이름’을 굳이 한자로 ‘필명(筆名)’처럼 여민다. 이리하여 오늘날처럼 누리집이 새로 뻗는 곳에서는 영어를 끌어들여 ‘아이디(ID)·닉네임(nickname)’을 쓰거나 다른 한자말 ‘계정(計定)’을 쓰기까지 한다. 옛사람은 ‘덧이름’을 ‘호(號)’처럼 한자로 적어야 멋스럽다고 여겼다. 멋스럽게 부르고 싶다면 ‘멋이름’이라 하면 될 텐데, 그만 ‘예명(藝名)’처럼 한자말로 해야 멋지다고 여기기도 한다. 서로 이르는(이야기하는) 소리이기에 ‘이름’이다. 서로 마음으로 이르려고(다가서려고) 하기에 ‘이름’이다. 이름을 부르면서 새롭게 일어난다. 이름을 들려주고 듣는 사이에 뜻을 잇는다. 이름이란 바로 ‘나’이고 ‘너’이다. 이름을 알아가는 동안 이곳에 있는 너랑 나는 새삼스레 어울리면서 한빛을 이룬다. 우리가 쓰는 이름에는 이제부터 일구려는 길이 깃든다. 지난날 임금은 사람들을 다 다른 이름이 아닌 ‘백성(百姓)’ 같은 한자말로 뭉뚱그렸다. 오늘날은 ‘국민(國民)·민중(民衆)·대중(大衆)’으로 뭉뚱그리는데, 우리 이름을 찾아야지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2 님 2024.9.11.



  ‘이르다’라는 낱말에서 ‘이름’이라는 낱말이 가지를 뻗고, ‘임’이라는 낱말하고 ‘임자’라는 낱말로 뻗는다. ‘이르다·이름’은 지난날에 ‘니르다·니름’에 ‘일홈’이기도 했다. ‘임·님’은 맞물리고, ‘이름·이르다’는 ‘일다·이루다·일구다’하고 만난다. ‘임·님’은 ‘임자’처럼 “쥐거나 있거나 다루는 사람”이거나 “사랑으로 맺은 짝”을 가리킨다. ‘이’라는 말밑처럼 “잇고 있는 사람”도 가리킨다. 어느 곳에 이르고(닿고) 어떤 뜻을 이르기(말하기)에 ‘잇’고 ‘있’는 ‘임·임자’인 ‘님’이다. 다만, ‘님·임’은 높낮이로 가르지 않는다. 나이가 많거나 자리가 높더라도 꼭 ‘님·임’이지는 않다. 어린이도 ‘아기님·아기씨’이다. 해도 꽃도 별도 ‘해님·꽃님·별님’이다. 서로 돌아보는 마음이 맞물려서 이르는 ‘님·임’이다. 함께 ‘이야기’를 하면서 마음을 잇고 싶은 사이인 ‘님·임’이다. 때로는 윗자리에 선 이가 둘레를 내려다보면서 그이를 ‘님’이나 ‘임금’으로 부르라고 이르곤 한다. 그러나 서로 헤아리거나 살피거나 돌보는 마음이 없이, 저 혼자 높이기를 바라는 ‘님·임금’ 같은 이름일 적에는, 오히려 안 높일 수밖에 없는 결이라고 할 만하다. 억지로 높이는 ‘님·임’이 아니기 때문이다. 서로 북돋우는 말씨인 ‘님·임’이기 때문이다. 마음을 이르고(말하고), 마음이 이르는(닿는) 사이일 적에 ‘님·임’이다. 서로 ‘이름’을 부르는 허물없는 ‘너나들이’라는 사이일 적에 비로소 ‘님·임’이다. 모든 말은 “남을 높이는 결”이 아닌 “나를 돌아보는 결”로 둘 사이를 나타내는 속빛이다. 누가 위나 밑(아래)인가 하고 가르려고 하기에, ‘님’뿐 아니라 ‘씨’라 이를 적에도 거북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고, ‘님’이라는 낱말을 가려쓸 줄 모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1 높임말 2024.9.5.



  서로 아낄 줄 모르면 ‘높이’지 못 한다. 한쪽만 높일 수 없다. 곁에서 높여 주는 사람이 있다면, 높이는 마음을 받는 사람도 나란히 둘레를 아낄 때라야 비로소 ‘높이는’ 사이라고 할 만하다. ‘높임말’이 무엇인지 뜻풀이부터 다시 할 노릇이라고 본다. “아끼고 돌보면서 높은 자리에 있도록 하려는 마음으로 마주하는 말. 아끼고 돌보면서 하늘빛을 담거나 품기를 바라면서 마주하는 말.”쯤으로 다룰 일이다. 좋거나 나쁜 말이란 없게 마련이다. 때와 곳에 맞는 말이 있다. 마음을 살피는 말이 있다. 그런데 ‘때·곳’도 ‘마음’을 살피고 헤아리고 돌아볼 적에 비로소 알맞게 가눌 수 있으니, 서로 ‘틀(나이·높낮이·자리)’이 아니라 ‘마음’으로 마주할 적에는 말씨를 어질게 추스른다. 생각해 보자. 아기한테 깎음말(반말)을 하는 사람이라면 바보이다. 아기는 들은 대로 돌려준다. 어진 할머니 할아버지라면 아기한테부터 높임말을 쓴다. 아기는 으레 ‘높임말’부터 배운다. 왜 그럴까? 아기는 둘레 모두가 사랑인 줄 깨닫고 알아보고 느끼고 누릴 적에 비로소 사랑으로 말을 익히면서 사랑으로 자랄 테니까. 나이가 적기에 나이가 많은 사람한테 쓸 높임말이 아니다. 둘레를 아끼고 돌볼 줄 아는 눈길과 마음길을 다스리려고 높임말을 쓰고 들려주고 배우고 익힌다. 누구한테서 “높임말을 듣고 싶은 분”이라면, 먼저 “나보다 낮다고 여기는 자리나 나이인 이웃”한테 높임말을 쓰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분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더라. 나이가 한 살이라도 많거나, 돈·이름·자리·힘이 조금이라도 많다고 여기면, 그만 나이가 적거나 돈·이름·자리·힘이 적다는 쪽을 함부로 낮추거나 깔더라. 억지를 쓸 적에는 높임말이 아니다. 서로 노을처럼 물들면서 노래하고 놀이할 줄 아는 사이일 때라야 높임말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10 즐겁다 2024.9.4.



  즐거워 보이는 사람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 우리말 ‘즐겁다·기쁘다’는 뜻과 결이 비슷하지만 다르다. ‘즐겁다’는 ‘즈믄’하고 닿고, ‘기쁘다’는 ‘깊다’하고 닿는다. ‘즈믄’은 ‘1000(천·千)’을 가리키는 우리말이고, 받침으로 붙는 ‘ㄹ’은 ‘물’처럼 노래하며 흐르는 결을 나타낸다. ‘깊다’는 속으로 고요하면서 포근히 품는 결을 나타낸다. 환하게 틔우듯 가없이 웃고 노래하는 마음을 ‘즐겁다’로 들려준다면, 그윽하면서 포근히 품는 마음을 ‘기쁘다’로 들려주는 얼거리이다. 밖으로 터뜨리는 웃음꽃이 ‘즐겁다’요, 속(안)으로 넉넉히 차오르는 웃음꽃이 ‘기쁘다’라고 할 만하다. 이러한 결을 읽지 못 하다 보니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행복(幸福) =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처럼 풀이한다. 더구나 ‘만족 = 흡족’이고, ‘흡족 = 만족’이라고도 풀이하니 뜬금없다. 게다가 “흐뭇하다 = 흡족하여 매우 만족스럽다”로 풀이하니 안쓰럽기까지 하다. 누구나 하루가 즐겁고 삶이 기쁘려면, 무엇을 미워하거나 싫어하는 마음을 모두 지우면서, 스스로 오늘을 살림하는 빛살인 사랑을 품는 푸른숲이라는 길을 씨앗으로 새롭게 심어야지 싶다. “행복해져야 한다”는 말은 오히려 기쁨이나 즐거움하고 먼 꺼풀이라고 느낀다. 스스로 우리 길을 헤아리고 찾아나서면, 바로 이 하루가 가시밭길이건 꽃길이건 즐겁게 마련이다. 이 하루가 차곡차곡 모이면서 어느새 삶을 기쁨으로 이룬다고 느낀다. 샘물처럼 싱그럽게 솟는 즐거운 마음을 그린다. 바다처럼 넉넉하게 일렁이는 기쁜 마음을 살핀다. 빗물처럼 노래하며 내리는 즐거운 몸짓을 바라본다. 바람처럼 파랗게 하늘을 채우면서 아늑하게 어루만지는 기쁜 몸짓을 헤아린다. 즐겁게 한 발을 떼고서, 기쁘게 두 발짝 나아간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