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속에 찰칵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유키 마사코 글, 서인주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3.15.

사진책시렁 137


《마음속에 찰칵》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유키 마사코 글

 서인주 옮김

 학산문화사

 2002.12.15.



  꼭 열 살이던 1984년에 처음 찰칵 하고 담았습니다. 심부름에도 지치고, 마을이며 집에서 두들겨맞은 몸도 쉬면서, 짐더미(숙제)에서 홀가분하고 싶은 마음에, 바깥마루에 기대어 하늘바라기를 하는데, 똑같은 구름이 하나조차 없이 놀랍게 하늘빛춤을 짓는 모습에 사로잡혔습니다. 집 어디에 우리 아버지가 안 쓰는 찰칵이가 굴러다닌다고 떠올랐고, 나중에 꾸지람을 들을는지 모르나, 구름결을 신나게 찍었습니다. 이러고서 1998년에 비로소 “빛꽃이란 무엇인가?”를 석 달 동안 허현주 님한테서 ‘보도사진’이란 이름으로 배웠는데, 배움칸에 1초라도 늦으면 닫아걸고서 들어오지 말라 하더군요. 저는 늦거나 빠진 적이 없으나, 신문방송학과 사람들은 으레 늦거나 빠져요. 이녁은 “네가 값싼 찰칵이를 쓴다고 해서 빛꽃이 값싸지 않아.”라는 말하고 “찰칵 찍을 마음이라면 찰칵이를 목걸이로 삼아.”라는 말을 들려주었습니다. 《마음속에 찰칵》은 어린이가 빛꽃이 왜 “빛으로 짓는 꽃”인지 사근사근 밝히면서, 봄여름가을겨울로 물들면서 마음에 사랑씨앗을 새롭게 남기는 길인지 보여줍니다. 사랑으로 보기에 쓰고 그리고 담습니다. 사랑으로 만나기에 반갑게 읽고 기쁘게 나눕니다. ‘추억’ 아닌 ‘사랑’을 새기는 빛꽃입니다.


#いわさきちひろ #松本知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
사시다 가즈 지음, 김보나 옮김, 스즈키 로쿠로 사진 / 청어람아이(청어람미디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3.15.

사진책시렁 136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

 사시다 가즈 엮음

 스즈키 로쿠로 사진

 김보나 옮김

 청어람아이

 2022.8.19.



  옆나라 일본은 싸움을 일으켜서 이웃나라까지 괴롭혔을 뿐 아니라, 제 나라부터 밟았습니다. 멀쩡한 사람들은 그저 이웃일 사람들을 노리개나 종으로 다루는 틀에 길들었고, 나라가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했습니다. 드문드문 나라를 거스르는 사람이 있었으나, 나라바라기를 안 한 일본사람은 옆나라 사람 못지않게 억눌리다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일본 히로시마하고 나가사키에 불벼락(핵폭탄)이 떨어져서 애꿎은 사람이 숱하게 타죽고 말라죽었습니다. 그런데 두 고장에는 일본사람뿐 아니라 한겨레가 대단히 많았습니다.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은 ‘어른들끼리 벌인 싸움’이 아니라 ‘미친 일본 우두머리·허수아비가 일으킨 싸움’으로 옆나라도 일본도 고달프던 한복판에서 ‘수수한 보금자리’가 어떤 하루로 흘렀는지 따뜻하게 보여줍니다. 빛꽃만 본다면 애틋하면서 아름답습니다. 싸움불굿에서도 찰칵찰칵 아이들을 남긴 사람이 있으니 놀랍고 사랑스럽습니다. 다만, 글이나 그림이나 빛꽃을 읽을 적에는 ‘착한 사람이 엉뚱하게 죽었다’는 말을 섣불리 안 붙이기를 바라요. ‘찰칵이가 있는 줄조차 모르던 착한 사람이 짓밟히고 시달리다가 집에도 못 간 채 끝없이 쓰러졌다’는 말을 나란히 하지 않는다면, 어쩐지 허울스러울 뿐 아니라, ‘싸움’을 누가 왜 일으켜서 누구를 그토록 깔아뭉갰는가 하는 속내를 감춥니다. “미국에 의해 히로시마에 떨어진(40쪽)” 불벼락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아니지요. ‘허깨비짓을 일삼은 일본에 떨어진’이라고 똑똑히 말할 노릇입니다. 허깨비짓은 모든 아이들을 죽이고, 제 나라도 이웃나라도 박살냅니다.


#ヒロシマ消えたかぞく #指田和 #鈴木六郞


ㅅㄴㄹ


+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사시다 가즈·스즈키 로쿠로/김보나 옮김, 청어람아이, 2022)


윗도리를 입고 있는 사람은

→ 윗도리를 입은 사람은

1쪽


우리 아빠는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해요

→ 우리 아빠는 찰칵 찍기를 즐겨요

→ 우리 아빠는 으레 찰칵 찍어요

3쪽


나들이 가는 거 참 좋아요

→ 나들이 가면 신나요

→ 나들이 가면 즐거워요

9쪽


어른들은 지금 전쟁 중이라고 해요

→ 어른들은 한창 싸운다고 해요

15쪽


며칠 후 가족 모두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 며칠 뒤 집안 모두가 죽은 줄 알자

24쪽


미유키바시에 도착했을 무렵, 기미코는 아주 약해져 있었습니다

→ 미유키바시에 다다를 무렵, 기미코는 아주 힘이 빠졌습니다

28쪽


잿더미 속에서 작고 하얀 뼈로 발견되었습니다

→ 잿더미에서 작고 하얀 뼈로 나왔습니다

30쪽


그다음 세대 아이들도 같을 것이다

→ 그다음 아이들도 같다

34쪽


아저씨가 정성 들여 정리한 사진첩들 속 한 페이지에 이렇게 적혀 있었습니다

→ 아저씨가 알뜰히 추스른 빛그림꾸러미 한켠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 아저씨가 고이 간직한 빛꽃꾸러미 한자락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34쪽


미국에 의해 히로시마에 떨어진

→ 미국이 히로시마에 떨어뜨린

4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stless Spirit: The Life and Work of Dorothea Lange (Prebound)
Partridge, Elizabeth / Perfection Learning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2.4.

사진책시렁 135


《Restless Spirit: The Life and Work of Dorothea Lange》

 Dorothea Lange 사진

 Elizabeth Partridge 글

 Puffin books

 1998.



  이제는 까마득한 옛날이라 여길 1895년에 태어나 1965년에 흙으로 돌아간 도로시아 랭 님이 있고, 이녁을 기리는 《Restless Spirit: The Life and Work of Dorothea Lange》가 있습니다. 이분은 웬만한 누구나 가난하고 버겁게 살림을 여미는 미국이라는 나라 기스락에서 숱한 사람들이 어떤 눈망울로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하루를 살아가는가 하는 숨빛을 찰칵 담아서 둘레에 선보였습니다. 수수한 순이돌이를 찰칵 찍으려면, 먼저 수수한 사람들처럼 수수하게 살림을 짓는 길을 걸을 노릇입니다. 우리가 담아내는 그림이란, 우리 눈망울입니다. 남을 구경하듯 찍어댈 적에는 ‘그림’이 아닌 ‘흉내’나 ‘겉멋’이나 ‘허울’입니다. 숱한 사람들은 ‘작가·예술가’라는 이름을 거머쥐려고 찰칵찰칵 찍었다면, 도로시아 랭 님은 “누가 우리 이웃이고 동무일까?” 하고 생각하면서 “내가 낳아도 이웃이 낳아도 모두 사랑으로 피어날 아이들”이라는 마음으로 다가서려 했습니다. 이쯤 해서 우리네 빛꽃밭을 돌아볼 일이에요. 우리나라에는 스스로 수수하게 골목집이나 시골집에서 아이들을 돌보면서 이따금 찰칵 찍을 줄 아는 사람이 너무 드물거나 없다시피 합니다. 나라안팎에 이름을 드날리는 ‘사진가’는 있겠지만 ‘이웃’은 안 보이더군요.


#엘리자베스 파트리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Tree (Hardcover, 1st American ed)
Book Sales / 1983년 4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1.13.

사진책시렁 131


《The Tree》

 John Fowles·Frank Horvat

 Little Brown & com

 1979.



  곁에서 담으면 넉넉합니다. 곁에서 바라보면 즐겁습니다. 곁에서 마주하며 이야기를 합니다. 곁에서 함께 가꾸고 짓고 나누면서 하루를 노래합니다. 곁에 있지 않다면 모릅니다. 곁에 없는데 억지를 부려서 담거나 옮기거나 쓰려고 하면 그저 ‘억지’가 나올 뿐입니다. 《The Tree》를 장만해서 읽은 지 오래인데, 자리맡에 놓고서 오래오래 돌아보다가, 고흥읍 부채나무(은행나무)를 떠올립니다. 전남 고흥 시골 읍내 길거리에서 자라던 숱한 부채나무는 목아지가 난데없이 잘렸습니다. 꽤 오래 잘 자라던 나무인데, 그만 짜리몽땅한 젓가락으로 바뀌더군요. ‘나무 아닌 젓가락’으로 꺾인 숱한 부채나무는 빛을 잃고 해롱거립니다. 이와 달리 몇 그루 부채나무는 ‘마당 안쪽’에 있기에 톱질을 안 받았어요. 스스럼없이 줄기하고 가지를 뻗는 부채나무는 줄기도 가지도 반짝이고, 잎망울이 몽글몽글 오르는 기운을 느낄 수 있어요. ‘아름나무’가 따로 없습니다. 우리가 곁에서 가꾸면 모두 아름나무입니다. 팔을 벌려 한 아름 안으면서 포근하게 마음을 나눌 나무입니다. 몇몇 그루만 ‘천연기념물’로 묶는 나라가 아닌, 길나무도 마당나무도 숲나무도 나란히 아름드리로 우거지는 숲길을 펼칠 적에, 사람도 사람빛이 반짝이리라 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산화원 1 - 빛으로 바람으로
안승일 지음 / 지식서관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1.13.

사진책시렁 133


《高山花園》

 안승일

 숨은길

 2007.5.1.



  온누리는 어디나 꽃밭입니다. 그러나 갈수록 꽃밭이 사라집니다. 온누리는 늘 꽃밭이기에 사람도 뭇숨결도 어우러집니다. 그런데 갈수록 꽃밭을 잊으면서 메마르고 매캐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으레 먹는 쌀밥은 ‘나락꽃’입니다. 이웃나라에서 늘 먹는 빵은 ‘밀꽃’입니다. 쌀알 하나는 꽃 한 송이입니다. 밀가루를 이루기 앞서 밀알 하나도 꽃 하나예요. 우리는 누구나 꽃을 먹습니다. 꽃이 지고 난 뒤에 맺는 열매나 씨앗을 먹든, 바로 꽃을 먹든, 그야말로 꽃이 없으면 다 죽습니다. 《高山花園》을 가만히 넘겼습니다. 높메(고산)가 꽃뜰(화원)이라는 줄거리를 들려주려고 더없이 오래 깊이 다리품을 들였구나 하고 생각했으나, 여러모로 아쉬워요. 꽃은 높메뿐 아니라 들에도 바닷가에도 있어요. 시골 논밭에도 숲에도 있고, 서울 한복판이어도 돌틈이나 길바닥에 살몃살몃 올라옵니다. 가끔 서울마실을 하다가 “끝없이 밀려드는 사람바다 틈바구니”에서도 “밟히면서 올라오는 조그마한 들꽃”을 만나면, 문득 귀퉁이에 붙어서 조용히 쪼그려앉아서 한참 들여다봅니다. 먼먼 멧자락 꽃도 곱고, 우리 삶자리 어디에나 피고 지는 들꽃도 길꽃도 풀꽃도 곱습니다. 굳이 눈을 크게 안 떠도, 마음이 꽃빛이면 언제나 꽃을 알아보고 담을 수 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