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지위 地位


 지위 향상 → 자리 올림

 지위를 차지하다 → 벼슬을 차지하다

 높은 지위에 오르다 → 높이 오르다

 지위가 높아질수록 → 이름이 높아갈수록


  ‘지위(地位)’는 “1. 개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르는 위치나 자리 ≒ 위 2. 어떤 사물이 차지하는 자리나 위치 ≒ 위지”를 가리킨다지요. ‘자리·자위·지체·차지·칸’이나 ‘높낮이·높이·높고낮다’나 ‘앞뒤·크고작다·눈금·위아래’로 손질합니다. ‘벼슬·벼슬자리·감투’나 ‘어깨끈·어깨띠·팔띠’나 ‘날개·나래’로 손보고, ‘길·길눈·길꽃’으로 손봐요. ‘-로서·몫·모가치·또아리’나 ‘손꼽다·첫손’으로 손볼 만합니다. ‘이름·이름길·이름결·이름값·이름띠’나 ‘이름꽃·이름빛·이름나다·이름있다’나 ‘이름씨·이름줄’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한곳·한자리’나 ‘꽃이름·꽃낯·아름이름·날개이름·나래이름’으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지위(知委)’를 “통지나 고시 따위의 형식으로 명령을 내려 알려 줌”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세 개의 산과 세 개의 숲, 노예 열명을 하사하겠다

→ 누구라도 멧자락 셋과 숲 셋, 종 열 사람을 주겠다

→ 높낮이 없이 메 셋과 숲 셋, 놉 열 사람을 내리겠다

《불새 1》(테츠카 오사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02) 164쪽


언젠가는 마이너리티의 지위를 벗어날 지도 모를 일이다

→ 언젠가는 뒷자리를 벗어날 지도 모를 일이다

→ 언젠가는 초라한 자리를 벗어날 지도 모른다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3》(이상준, 휴머니스트, 2006) 64쪽


사람을 감화시킬 수 있는 덕만 있고 그 지위가 없으면

→ 사람을 깨우칠 수 있는 그릇만 있고 자리가 없으면

→ 사람을 가르칠 수 있는 빛만 있고 자리가 없으면

《율곡문답》(김태완, 역사비평사, 2008) 79쪽


그들의 지위 과시욕망은 스스로 세상을 내려다보고 싶게 하고

→ 그들은 이름을 뽐내면서 스스로 이 땅을 내려다보고 싶고

→ 그들은 자리를 자랑하면서 스스로 둘레를 내려다보고 싶고

《아파트에 미치다》(전상인, 이숲, 2009) 76쪽


다시 말해 세계적인 서사를 제시하면서 자신의 지위를 확보했기 때문에

→ 다시 말해 온누리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제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왜 지금 한나 아렌트를 읽어야 하는가?》(나카마사 마사키/김경원 옮김, 갈라파고스, 2015) 71쪽


재일교포 법적 지위 문제 등은 거론조차 안 했어요

→ 일본한겨레 높낮이 얘기는 한 마디조차 안 했어요

→ 일본한겨레 살림길은 들추지도 않았어요

→ 일본한겨레가 살아온 길은 들먹이지도 않았어요

→ 일본한겨레 삶자락 얘기는 꺼내지도 않았어요

→ 일본한겨레 삶길은 다루지도 않았어요

《한국 현대사의 민낯》(김상웅·장동석, 철수와영희, 2015) 84쪽


지위 고하에 관계없이 누구나 유기농을 먹을 수 있는 세상이 정의로운 세상 아닌가요

→ 누구나 푸른짓기를 먹을 수 있어야 올바른 나라 아닌가요

→ 벼슬이 없어도 거름짓기를 먹을 수 있어야 바르지 않나요

《마을 전문가가 만난 24인의 마을주의자》(정기석, 펄북스, 2016) 43쪽


외부의 어떤 생물체가 니라보다 높은 지위에 있는 것은

→ 다른 어떤 목숨이 니라보다 높은 자리에 있으면

→ 둘레 어떤 사람이 니라보다 높이 있으면

《열다섯 마리 개》(앙드레 알렉시스/김경연 옮김, 삐삐북스, 2020) 83쪽


임금과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 품삯과 자리가 높을수록

→ 일삯과 이름이 높을수록

《혁명노트》(김규항, 알마, 2020) 76쪽


지위를 이용해서 억압적으로 괴롭히는 상사가 있다면

→ 자리를 휘둘러서 괴롭히는 윗내기가 있다면

→ 감투를 앞세워서 억누르는 윗사람이 있다면

《선생님, 노동을 즐겁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이승윤, 철수와영희, 2023) 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