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잡초 2023.7.24.



나는 내 이름 있어

너는 네 이름 있고

우리는 사랑받아 태어났고

누구나 새빛이란 이름이야


‘아이들’이라지만 다 다르지

‘사람들’이라는데 한 사람이고

‘잡초’가 아닌

들꽃 길꽃 풀꽃 들풀 길풀 풀


푸른별을 푸르게 품어

너나없이 푸근히 풀어

푸릇푸릇 푸지게 풋빛

어깨동무 품앗이 두레


작은 꽃봉오리도 하나

큰 멧봉우리도 하나

함께 하늘빛 받아들여

스스로 피어나고 잔다


ㅅㄴㄹ


사람이 안 심었어도 자라기에 ‘잡초(雜草)’라고 여깁니다. 사람이 심어서 자라기에 ‘남새’나 ‘푸성귀’라고 합니다. 그런데 사람이 안 심어도 자라는 ‘나물’이 있어요. 줄기가 굵고 단단하면서 오래오래 살아가는 푸른빛인 ‘나무’라면, 한해살이를 마치고서 겨울에 시들고서 봄에 새로 돋는 줄기랑 잎이 여린 ‘나물’입니다. 먼 옛날부터 나무도 풀도 사람이 따로 안 심었어요. 나무하고 풀 스스로 꽃을 피우고 씨앗을 내놓았습니다. 스스로 퍼졌고, 새랑 풀벌레가 퍼뜨렸으며, 비랑 바람이 실어날랐어요. 돈이 되도록 사고팔 만하느냐는 눈으로 보느라 그만 ‘풀’을 ‘잡초’처럼 ‘자잘한’ 것으로 가르고 맙니다. 사람이 밥살림으로 건사하지 않더라도, 풀은 늘 푸르게 바람을 베풀어요. 사람이 꼭 베어서 쓰지 않더라도, 나무는 언제나 푸르게 숨결을 베풀고요. 푸르기에 ‘풀’이고, 모든 곳을 ‘풀어’ 줄 뿐 아니라, 푸근하게 ‘품’기도 하는 풀입니다.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른 사랑이요 빛이듯, 다 다른 풀도 다 다른 숨빛입니다. 곁에 있는 풀을 바라보면서 새롭게 이름을 붙여요. 곁풀이고, 길풀이고, 들풀입니다. 골목풀이고, 마을풀이고, 숲풀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화 2023.7.25.



이글이글 오르는 불로

밥을 익힐 수 있지만

활활 태우는 불길이면

풀풀 잿더미로 바꾼다


부글부글 끓는 부아로

마음을 태워 버린다면

훨훨 날던 이 날개를

스스로 꺾는 셈이다


비추는 불일 때에

둘레를 밝힐 수 있어

푸른한 불일 적에

얼음을 녹일 수 있지


무엇을 보고 담을까?

누구를 읽고 닮을까?

부끄러울 일은 없어

나를 보고 우리를 사랑하면


ㅅㄴㄹ


외마디 한자말인 ‘화(火)’는 “몹시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나는 성”을 뜻한다고 합니다. ‘불’을 한자로 ‘화(火)’로 적는 셈인데, ‘화나다 = 불나다·부아나다·성나다’입니다. 추위를 녹이는 불이기도 하지만, 모두 태워서 재로 바꾸는 불이기도 합니다. ‘불나다·부아나다·성나다’는 이모저모 밉거나 싫다는 마음이 확 일어나면서 그만 모두 활활 불지르면서 까맣게 바꾸는 길을 나타낸다고 할 만합니다. 날개라면 가볍게 훨훨 날아요. 어깨를 활짝 펴면 시원합니다. 활개를 치듯 날아오르기에 싱그럽게 피어나는 마음입니다. 이와 달리 마음에 안 든다고 자꾸 여기면서 꺼리거나 부글부글 끓다가 부아를 내고, 이글이글 타올라 불을 내고 말아요. 훅 치밀거나 확 치솟을 적에는 문득 멈추고서 마음부터 돌아봐요. “활짝 피는 꽃”인지 “활활 태우는 불”인지 추스르고서, 환하게 웃음짓는 길로 차근차근 다독여요. 화들짝 놀라다가 활활 태우고 만다면 화끈화끈합니다. 창피하거나 부끄럽지요. 둘레를 환하게 밝히는 눈빛으로 거듭난다면, 훤칠하게 자라는 나무처럼 온누리를 훤히 헤아리게 마련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한국 2023.8.3.



우리가 살아가는 나라는

하늘빛을 담으면서 하나

함께 함박꽃으로 한길

해를 담아내 하얀 하루


고요밤을 깨우는 아침

온빛을 세워 나아가는 길

새롭게 춤추며 고운 나래

깊고 아름답게 높은메


한겨레라면 한가람 한나라

이웃하고 함께 한길 한살림

해밝게 한옷 한집 한밥 한넋

하늘뜻 실어 한글 한말 한얼


나는 하나이지만

너랑 아울러 우리

너나를 넘나들어 날고

보금자리마다 나무숲 새노래


ㅅㄴㄹ


이 나라를 이루는 겨레를 ‘한겨레’라 합니다. 한겨레가 이룬 나라일 적에는 ‘한 + 겨레’이니까 ‘한 + 나라 = 한나라’입니다. ‘한나라’를 한자말로 옮겨서 ‘한국(韓國)’입니다. 한자로 ‘한국’을 적기도 하지만, ‘한’은 그저 우리말입니다. ‘하늘·하나’를 가리키는 우리말이고, 서울에 있는 큰 물줄기는 ‘한가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크게 마시기에 ‘한숨’입니다. 크게 벌여서 ‘한바탕’입니다. ‘한길 = 큰길’이기도 합니다. 하늘은 땅에서 보기에 더없이 크기에 ‘하늘·한 = 크다’를 나타내기도 하지요. 또한, 하늘은 둘이나 셋으로 못 갈라요. 크게 하나인 덩이입니다. ‘하늘·한·하나·하다(크다)’가 맞물리면서 ‘함께’로도 이어요. 크게 하나로 어우러진다는 뜻인 ‘함께’예요. 이 나라에서 쓰는 글에 붙인 이름 ‘한글’이듯, 이 나라에서 쓰는 말은 ‘한말’이라 할 만합니다. 이 나라에서 누리는 밥과 옷과 집은 ‘한밥·한옷·한집’이라 하면 될 테지요. 함박꽃처럼 크고 시원하게 어우러지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한터요 한누리요 한마을을 가꾸어 봐요. 함함하게 아끼고 함초롬히 빛나는 한동아리를 이루어 봐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부모 2023.8.3.



나비는 왜 알을 낳을까?

푸른잎 갉는 기나긴날 마치고

작은고치에 웅크려 그린 꿈이

날개로 거듭나 하늘빛 먹거든


잠자리는 왜 알을 낳지?

물살을 가르며 실컷 놀다가

물밖에 나와서 바람 쐬면서

햇빛 별빛 꽃빛에 눈떴어


어른은 왜 아기를 낳나?

어질게 살림하는 하루 지나

어머니로서 고요밤 품고

아버지로서 노래낮 담네


낳으려면 나아가야 해

나를 알고 너를 안고

나긋나긋 날아오르면서

나무처럼 숲 이룰 어버이야


ㅅㄴㄹ


해마다 5월 8일은 ‘어버이날’입니다. “부모의 날”이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 둘레를 보면 ‘어버이’를 말하거나 찾는 일은 드물고, 으레 ‘부모(父母)’만 찾습니다. 한자말 ‘부모 = 아버지 + 어머니’인 얼개입니다. 이와 달리 우리말 ‘어버이 = 어머니 + 아버지’인 얼개입니다. 우리말로는 ‘엄마아빠’처럼 으레 어머니·엄마를 앞에 놓습니다. 아이를 사랑으로 돌보는 어른이기에 ‘어버이’입니다. 몸으로 낳은 아이도, 이웃과 마을에 있는 아이도, 늘 사랑으로 따스하게 마주하면서 어질게 보살필 줄 아는 마음인 사람인 ‘어버이’입니다. 사랑이 피어나지 않을 적에는 ‘어버이’라는 이름을 쓰지 않아요. 낳기만 했으면 어버이도, 어머니도, 아버지도 안 어울릴 테지요. 나이만 먹을 적에는 ‘어른’이 아닌 “철없는 사람”이나 “늙은 사람”으로 여깁니다. 어질게 살림을 짓기에 ‘어른’이듯, 어른스러우면서 상냥하고 참하고 착하게 아이를 품는 매무새라서 ‘어버이’입니다. 삶짓기·살림짓기·사랑짓기를 헤아리고, 사람이 곁에 둘 들숲바다를 푸르게 가꿀 줄 아는 눈빛과 손빛인 사람을 어버이답다고 여깁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성격 2023.9.26.



말이 씨가 되는 줄

글도 씨로 맺는 줄

찬찬히 읽고 아는

네 말씨 글씨 마음씨


말에 숨결 담는 줄

글에 빛결 싣는 줄

곰곰이 보고 새기는

내 말결 글결 마음결


낮말은 낮새가 듣는 줄

밤말은 밤새가 듣는 줄

가만히 느껴 노래하는

우리 매무새 차림새 마음새


곱게 피우려니 마음꽃

새로 나아가는 마음길

사랑 바라보는 마음눈

함께 일구려는 마음밭


ㅅㄴㄹ


똑같은 사람은 없어요. 몸도 모습도 눈도 다르고, 손발도 머리도 다르고, 마음도 달라요. 누구나 다 다르게 태어나서 다 다르게 살아가기에, 느끼고 배우면서 가꾸는 하루도 달라, 이 모든 이야기를 담는 마음도 달라요. 어떤 마음인지 살피는 ‘성격(性格)’이에요. 저마다 마음이 어떠한 결인가를 나타내는 낱말입니다. 이 한자말은 우리말로는 여러모로 다르게 옮겨요. 씨앗처럼 틔우고 자란다고 여겨 ‘마음씨’입니다. 해나 별처럼 반짝인다고 여겨 ‘마음빛’입니다. 두루 담고 품는 모습을 헤아려 ‘마음보’입니다. 어떤 숨결인지 바라보고 살피려는 ‘마음결’입니다. 마음을 쓰는 모습이 어떠한지 짚으면서 ‘마음새’입니다. 마음을 가꾸거나 일구는 모습이라면 ‘마음길’로 나타냅니다. 하루하루 어떻게 가꾸고 짓고 누리고 나누었는지 돌아보면서, 스스로 곱고 즐겁게 피어나기를 바란다면 ‘마음꽃’처럼 나타낼 만합니다. 여러 씨앗을 심어서 일구듯 ‘마음밭’을 일군다고 할 수 있어요. 어떤 마음으로 나아가 볼까요? 어떤 마음으로 보살피고 다독이면서 하루를 노래해 볼까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