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문 1
황미나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22.

만화책시렁 551


《레드문 1》

 황미나

 애니북스

 2004.2.1.



  엊그제 밤에 달이 꽤나 비추었습니다. 이제는 아는 분이 많을 테지만, ‘달’은 ‘빛’을 안 내는 ‘돌’입니다. 햇빛을 튕겨서 푸른별로 보낼 뿐인 ‘딸린 돌’이 ‘달’입니다. 더구나 달은 돌지도 않습니다. 늘 똑같은 모습만 푸른별을 쳐다보는 ‘뭔가 숨긴 돌덩이’입니다. 스스로 돌면서 빛을 내는 곳은 ‘별’이라고 합니다. 별바라기를 하는 사람은 스스로 빛나는 넋으로 나아간다면, 달바라기를 하는 사람은 누가 억누르거나 시키거나 들이미는 굴레에 갇히게 마련입니다. 《레드문》을 오랜만에 되읽습니다. 갓 스무 살로 접어들며 인천을 떠나 서울에서 지내던 무렵 띄엄띄엄 읽다가 싸움터(군대)에 가야 했고, 드디어 싸움터에서 살아남아 삶터로 돌아온 뒤에 마저 읽었어요. 예전이나 오늘이나 이 《레드문》에서 아쉽다면 바로 ‘달(moon)’입니다. 우리말 ‘딸’은 ‘달’하고도 맞물리지만, 두 낱말은 밑동에서 얽히기는 해도 ‘달라’요. ‘딸’은 ‘따(따갑다·가시)’하고 ‘딸기(가시가 있는 달콤한 열매)’하고 맞물립니다. 순이를 가리키는 ‘가시내’에서 ‘갓’은 ‘메(산)’이면서 갓(꼭대기·모자)이요 가시(힘)이거든요. ‘붉은달’이 아닌 ‘붉은별’로 지난삶과 오늘날을 맞물리는 길을 바라볼 수 있다면, 얼거리와 줄거리뿐 아니라, 어제에도 오늘에도, 또 모레에도 이 땅(별)에서 우리가 어떻게 빛나는 넋인 줄 눈부시게 담아냈겠다고 느낍니다. 네, ‘땅 = 딸 = 별’이기도 합니다.


ㅅㄴㄹ


‘잘못 봤겠지. 잘못 본 거야. 잘못. 하지만, 정말 그 말대로 피할 필요 없어. 어제도 이겼잖아?’ (21쪽)


“이 정도도 이겨내지 못해서야 태양이라 할 수 없지.” “나, 난, 태양이가 아니라 태영이에요.” “그래, 태영, 난 언제나 그대를 도울 수가 없으니 스스로 강해지도록.” (12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 1
이시다 요로즈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22.

만화책시렁 661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 1》

 이시다 요로즈

 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3.9.25.



  말을 안 하면 어떻게 아느냐고들 하지만, 말을 해야만 알지 않습니다. 말을 할 적에는 ‘말씨’를 곰곰이 짚고 새기면서 알게 마련이고, 마음으로 마주할 적에는 ‘마음씨’를 가만히 보고 헤아리면서 알게 마련입니다.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은 석걸음으로 짧게 매듭짓는 얼거리입니다. 혼자 붓을 쥘 적에는 늘 밝거나 환한 하루이지만, 붓을 놓고서 마을이나 바깥으로 나올 적에는 으레 갑갑하고 조마조마하고 떠는 늪이라지요. 입으로 말을 안 하면서도 어울릴 수 있을까요? 네, 우리는 풀꽃나무하고는 입으로 말을 나누지 않아요. 언제나 마음으로 마음을 나누는 사이인 풀꽃나무입니다. 나비하고도 풀벌레하고도 새하고도 굳이 말로 마음을 안 나눠요. 그저 마음과 눈빛으로 마음과 눈빛을 나누지요. 이웃나라 사람하고 만날 적에는 어떡해야 어우릴 만할까요? 서로 다른 말을 쓰는 사이라 하더라도, 눈빛과 마음을 환하게 드러내기에 밝게 만납니다. 고양이랑 사람 사이에서도, 거북이랑 사람 사이에서도, 구름이랑 사람 사이에서도, 사람과 사람 사람에서도, 빙그레 웃고 문득 울음짓는 낯빛 하나로도 마음이 흐릅니다. 살짝 내미는 손끝으로도, 가볍게 다가서는 발걸음으로도 넉넉히 이야기를 이룹니다.


ㅅㄴㄹ


“말을 주고받지 않아도 나를 치유해 주는 동물들이 잔뜩 있다. 이런 내게 딱 맞는 마을. 다음은 어떤 동물을 만나게 될까?” (22쪽)


“이 마을이 마음 편한 거구나.” “응! 치구사도 이사 올래?” “아니, 난 됐어. 가끔 오는 게 딱 좋아.” (118쪽)


‘늘 이렇다. 항상 이렇게 제사 때는 싫은 상황이.’ (137쪽)


#夜子とおつとめどうぶつ

#石田万


+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 1》(이시다 요로즈/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3)


이 가게에 들어오길 잘한 것 같아

→ 이 가게에 들어오길 잘한 듯해

→ 이 가게에 들어오길 잘했어

13쪽


내 거동이 수상해서 의심을 받을지도 몰라

→ 내가 꺼림해서 미덥지 않을지도 몰라

→ 내가 숨기는 듯해서 갸우뚱할지도 몰라

38쪽


대중탕은 허들이 너무 높아

→ 찜질집은 담이 너무 높아

→ 찜질채는 너무 버거워

52쪽


괜찮아요∼ 자리를 비웠으니 사과의 뜻으로

→ 걱정 마요! 자리를 비웠으니 고개숙이며

64쪽


이렇게나 손님을 따르는 것도, 저 이외의 사람과 외출하는 것도 처음이라서

→ 이렇게나 손님을 따르고, 저 아닌 사람과 마실하기도 처음이라서

91쪽


땀에서 나온 염분을 먹기도 하거든요

→ 땀에서 나온 소금을 먹기도 하거든요

115쪽


항상 이렇게 제사 때는 싫은 상황이

→ 늘 이렇게 비나리 때는 싫은 일이

13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벼랑 끝에서 지양청소년 과학.인문 시리즈 5
마농 드바이 지음, 이성엽 옮김 / 지양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21.

만화책시렁 658


《벼랑 끝에서》

 마농 드바이

 이성엽 옮김

 지양사

 2023.12.12.



  벼랑끝에 선다면, 두 갈래로 있는 길을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벼랑끝에서 이쪽은 벼락입니다. 벼랑끝에서 저쪽은 별입니다. 벼랑끝 이쪽에서 벼락이 치듯 넋을 차리고서 눈을 뜰 수 있되, 벼랑끝 에쪽에서 벼락을 맞고서 그만 고꾸라질 수 있어요. 벼랑끝 저쪽에서 별빛을 품으면서 스스로 빛날 수 있되, 벼랑끝 저쪽에서 이 별을 떠나서 저 별로 날아갈 수 있습니다. 《벼랑 끝에서》는 벼랑끝에 선 두 아이가 보내는 나날을 들려주는데, 곰곰이 보면 ‘두 아이’를 낳은 ‘다른 두 어버이’도 벼랑끝에 선 나날입니다. ‘두 아이’ 둘레에 있는 ‘여러 다른 아이들’도 저마다 벼랑끝에 선 하루예요. 따돌리는 아이 하나랑 따돌림받는 아이 둘만 벼랑끝이지 않아요. 배움터와 마을과 집에 있는 모든 아이들이 벼랑끝입니다. 그러면 이제 생각해 봐야 합니다. 아니, 배움터는 왜 배우는 터전하고 동떨어진 채 따돌리고 따돌림받을 뿐 아니라, 다 다른 아이들이 벼랑끝에 서야 하나요? 집은 왜 살림을 짓고 사랑을 짓는 포근한 돌봄터가 아니라, 벼랑끝으로 내모는 구석인가요? 마을은 왜 다 다른 아이를 다 다르게 어루만지면서 달래는 하늘빛이 아닌, 모조리 가두고 억누르는 가두리로 치달을까요? 누구 탓은 아니되, 이대로라면 다 죽습니다.


ㅅㄴㄹ


샤를리는 무슬 익히기를 좋아하는 열두 살 소녀이다 … 아스트리드는 부유한 가정에서 과잉보호를 받고 있는데, 아이들 사이에선 ‘왕따’ 당하는 문학소녀다. (8쪽)


#ManonDebaye #TheClif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구역의 주민 6
미나미 토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14.

책으로 삶읽기 936


《M구역의 주민 6》

 미나미 토코

 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23.6.15.



누가 누구한테 마음이 갈 수 있다. 마음이 가고, 마음이 들고, 마음이 맞고, 마음이 움직이고, 마음이 끌리고, 마음이 쏠리면서, 마음이 기울 적에 ‘나쁠’ 일이 없다. 다만, 내가 마음에 드는 이가 나 아닌 다른 이를 바라본다면 ‘나쁘다’고 느낄 만하다. ‘좋다·좋아하다’란, “나만 바라보아 주기를 바란다”는 뜻이다. 나만 안 바라볼 적에는 마음이 끓고 아프고 괴롭고 힘들고 지치다 못해, “내가 좋아하는 이가 바라보는 놈팡이”를 미워하고 싫어하고 등질 뿐 아니라, 괴롭히고 들볶고 따돌리고 내쫓고픈 마음이 일어난다. 《M구역의 주민 6》(미나미 토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23)에 나오는 여러 마음을 들여다본다. 마음에 들 만한 사람이나 길이나 삶을 ‘둘레’에서만 보려고 하면서 이내 부딪히고 다투고 엉킬 수 있다. 굳이 ‘둘레 너머’를 살펴야 하지 않지만, ‘좋다·나쁘다’라는 마음을 넘어서, ‘사랑’이라는 길로 접어들려고 스스로 바꾸려고 한다면, 여태까지 어떻게 살아왔는지 돌아볼 수 있다. 사랑이 아니기에 싸우고 끓고 부딪히고 할퀴면서 스스로 생채기를 내고 멍이 남는다.


ㅅㄴㄹ


‘그렇게 말하고 웃어 준 순간. 미묘하게 우울했던 기분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정말로 신경 쓸 필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69쪽)


“나도 만약에 리쿠 형이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면 그때는 온힘을 다해 응원하려고 했는데, 그러지 못해서 미안해.” (94쪽)


+


《M구역의 주민 6》(미나미 토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23)


아, 그게 아니지. 악연이다

→ 아, 아니지. 얄궂다

→ 아, 아니지. 엉터리다

→ 아, 아니지. 끔찍하다

16쪽


무슨 허세야

→ 무슨 거드름

→ 무슨 거품

→ 무슨 겉멋

77쪽


그 시간에 히로를 위해 키홀더를 뽑고 있었다

→ 그때 히로한테 줄 열쇠막대를 뽑았다

→ 그무렵에 히로 주려고 고리를 뽑았다

86쪽


3연패라니 무슨 소리지?

→ 석판 졌다니 무슨 소리?

1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리가면 27
스즈에 미우치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8.

책으로 삶읽기 934


《유리가면 27》

 미우치 스즈에

 해외단행본기획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6.30.



《유리가면 27》(미우치 스즈에/해외단행본기획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을 돌아본다. 이 아이는 빛으로 서고, 저 아이는 그늘로 선다. 이 아이는 밝게 비추는 자리를 보여주고, 저 아이는 그늘진 어둠을 드러낸다. 언뜻 보기로는 가난한 아이가 그늘길을 한결 잘 보여주리라 여길 테지만, ‘가난 = 그늘’이지 않다. 설핏 본다면 가멸찬 아이가 빛길을 훨씬 잘 펼치리라 여길 테지만, ‘가멸 = 빛’이지 않다. 돈이 많기에 빛나지 않는다. 이름이 높기에 빛나지 않는다. 힘이 세기에 빛나지 않는다. 그저 ‘빛나는 마음’인 사람이 빛난다. 그늘진 사람이 그늘일 뿐이다. 그런데 누구나 몸하고 마음이 있을 뿐 아니라, 일어나서 움직이고 누워서 잠드는 터라, 빛그늘은 나란히 품게 마련이다. 스스로 어떤 낮빛과 밤빛이 있는지 알아본다면 빛길도 그늘길도 새롭게 선보인다. 낮빛과 밤빛을 눈여겨보지 않았다면, 아무리 가난했어도 밤빛을 못 그리고, 아무리 가멸찼어도 낮빛을 못 담는다.


ㅅㄴ


“후후후. 그늘이 짙어도 빛이 없으면 그늘은 생기지 못해.” (129쪽)


‘싫다! 왜 저런 인간에게 칭찬 들은 정도에 얼굴이 붉어지는 거야?’ “여우같이 잘 둔갑한 칭찬의 뜻으로, 약속대로 너에게 꽃을 한아름 선사하지 … 이대로 마지막날까지 모쪼록 여러 사람들을 홀려 보렴. 정말이지 아름답더군. 그 알디스는 좋았어. 무대 위에서만 볼 수 있다니 아쉽구나.” (177쪽)


#美内すずえ #ガラスの仮面


궁전 안 불만분자의 중심인물로, 이 나라 귀족들이 가진 우리들에 대한 적대감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 임금집에서 앞장서서 불뚝대며, 이 나라 벼슬아치가 우리를 미워하도록 부채질합니다

→ 너른집에서 까칠하기로 손꼽고, 이 나라 나리집안이 우리를 등돌리도록 부채질합니다

71


잘 둔갑한 칭찬의 뜻으로, 약속대로 너에게 꽃을 한아름 선사하지

→ 잘 꾸몄다는 뜻으로, 다짐대로 너한테 꽃을 한아름 베풀지

→ 잘 바꾸었다는 뜻으로, 말한 대로 너한테 꽃을 한아름 내리지

177


무대 위에서만 볼 수 있다니

→ 마루에서만 볼 수 있다니

→ 마당에서만 볼 수 있다니

17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