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43 : 사진의 피사체 세월의 흔적 -의 것


사진의 피사체로서야 세월의 흔적이 가득 묻은 할머니 할아버지의 얼굴만큼 훌륭한 것이 없다

→ 담는 빛으로는 삶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이야말로 훌륭하다

→ 살아온 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이야말로 훌륭한 빛이다

→ 살아온 나날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을 담으면 그야말로 훌륭하다

《일인용 책》(신해욱, 봄날의책, 2015) 172쪽


살아온 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얼굴을 찰칵 담으면 훌륭할 수 있습니다. 살아온 나날이 가득한 할아버지 얼굴도 가만히 담으면 훌륭할 만합니다. 다만, 무엇을 빛으로 담든 아름답게 마련입니다. 더 낫거나 훌륭하지 않습니다.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가만히 옮기는 손길이 아름답다면, 아기를 찍든 할매를 찍든 아름다워요. 스스로 하루를 사랑으로 짓는 마음으로 찰칵찰칵 그릴 적에는, 돌멩이를 그리든 구름을 구리든 늘 빛납니다. 어느 곳에나 삶자국이 흐릅니다. 삶자취가 없는 사람이나 살림은 없습니다. 빛을 읽기에 빛을 담고, 빛을 나누려는 마음이기에 언제나 사랑으로 찍습니다. ㅅㄴㄹ


사진(寫眞) : 1. 물체의 형상을 감광막 위에 나타나도록 찍어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게 만든 영상 2. 물체를 있는 모양 그대로 그려 냄. 또는 그렇게 그려 낸 형상

피사체(被寫體) : 사진을 찍는 대상이 되는 물체

세월(歲月) : 1. 흘러가는 시간 ≒ 나달·세화·연광·연화·오토 2. 지내는 형편이나 사정. 또는 그런 재미 3. 살아가는 세상

흔적(痕跡/痕迹) : 어떤 현상이나 실체가 없어졌거나 지나간 뒤에 남은 자국이나 자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0 : -게 자전거 단어의 -ㅁ


내게 자전거라는 단어의 반짝임이 찾아왔다

→ 두바퀴는 반짝이는 낱말로 찾아왔다

→ 두바퀴는 반짝이는 말씨로 찾아왔다

→ 두바퀴라는 낱말이 반짝인다

→ 두바퀴라는 말씨가 반짝거린다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 7쪽


‘두바퀴’가 나한테 ‘찾아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어의 반짝임이 찾아왔다”는 오롯이 옮김말씨에 일본말씨입니다. 어느 낱말이 여태 싱숭생숭하거나 밍밍했으나, 어느 때부터 갑자기 ‘반짝일’ 수 있어요. 반짝거리면서 눈부실 때가 있습니다. 이 글월은 “두바퀴는 반짝이는 낱말로 찾아왔다”처럼 ‘두바퀴 + 찾아오다’ 얼거리로 손볼 만합니다. 또는 “두바퀴라는 낱말이 반짝인다”처럼 ‘낱말 + 반짝이다’ 얼거리로 손봅니다. ㅅㄴㄹ


자전거(自轉車) :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게 된 탈것.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단어(單語) : [언어]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이에 준하는 말. 또는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 ≒ 낱말·어사(語詞)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1 : 수렴되 자전거에 대한 흥미 시작


0에 수렴되던 자전거에 대한 흥미가 다시 올라오기 시작했다

→ 0에 가깝던 두바퀴인데 다시 마음이 갔다

→ 두바퀴에 아무 마음이 없다가 새로 생겼다

→ 두바퀴는 안 쳐다보았는데 문득 눈이 갔다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 14쪽


“0에 가깝다”는 “마음이 없다”나 “안 쳐다봤다”는 뜻이겠지요. 마음이 없다가 마음이 새로 생깁니다. 안 쳐다보다가 문득 눈이 갑니다. 그저 남일이라 여기면서 팔짱이었는데, 이제는 나도 두바퀴를 달릴까 하는 마음이 조금씩 일어납니다. 이제까지는 시큰둥했으나, 이제부터는 하고 싶습니다. ㅅㄴㄹ


수렴(收斂) : 1.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두어들임 2. 의견이나 사상 따위가 여럿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하나로 모아 정리함

자전거(自轉車) :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게 된 탈것.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흥미(興味) : 흥을 느끼는 재미”라 하는데, ‘흥(興)’은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

시작(始作) :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루거나 그렇게 하게 함. 또는 그 단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2 : 사회 구조 수렴되 결과 결국 연결된


사회의 모든 구조는 책으로 수렴되고, 수렴된 모든 결과는 결국 삶으로 연결된다

→ 온누리 모든 길은 책으로 가고, 이 모두는 다시 삶으로 온다

→ 둘레 모든 바탕은 책으로 담고, 이 모두를 늘 삶으로 잇는다

→ 이 삶을 책으로 담고, 책은 어느새 삶으로 나아간다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성갑, 스토어하우스, 2020) 265쪽


온누리는 돌고돕니다. 이렇게 모여서 저렇게 퍼집니다. 이쪽으로 와서 저쪽으로 갑니다. 이렇게 이루더니 저렇게 자랍니다. 이처럼 담아서 저처럼 이어요. 둘레 모두를 이야기로 갈무리하니 어느덧 꾸러미 한 자락입니다. 이야기꾸러미를 넉넉히 누리고 나누는 사이에 새록새록 이 터전을 우리 손으로 알뜰살뜰 여미거나 가꾸거나 일굽니다. 모두 잇고 닿습니다. 나란히 맞물립니다. 모이고 모으고 도르고 뭉치면서 버무리는 즐거운 길은 늘 가까이에 있습니다. ㅅㄴㄹ


사회(社會) :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사회 일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구조(構造) : 1. 부분이나 요소가 어떤 전체를 짜 이룸. 또는 그렇게 이루어진 얼개 2. = 구조물 3. [광업] 탁상, 섬유상 따위와 같은 광물의 형태 4. [수학] 집합과 거기에서 정하여진 연산이나 집합과 거기에서 정해진 관계 등 집합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집합론적 대상으로써 얽어진 것 5. [철학] 구조주의에서, 어떤 일을 성립시키는 것 사이의 상호 기능적 연관

수렴(收斂) : 1.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두어들임 2. 의견이나 사상 따위가 여럿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하나로 모아 정리함

결과(結果) : 1. 열매를 맺음. 또는 그 열매 2. 어떤 원인으로 결말이 생김. 또는 그런 결말의 상태 3.  내부적 의지나 동작의 표현이 되는 외부적 의지와 동작 및 그곳에서 생기는 영향이나 변화

결국(結局) : 1. 일이 마무리되는 마당이나 일의 결과가 그렇게 돌아감을 이르는 말 2. 어떤 일이 벌어질 형편이나 국면을 완전히 갖춤

연결(連結) : 1. 사물과 사물을 서로 잇거나 현상과 현상이 관계를 맺게 함 2. [수학] 위상 공간을, 두 개의 공집합이 아닌 개집합으로 나눌 수 없는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3 : 건강해지고 있어요


아침저녁으로 건강해지고 있어요

→ 아침저녁으로 튼튼해요

→ 아침저녁으로 기운이 나요

《자전거를 타면 앞으로 간다》(강민영, 자기만의방, 2022) 25쪽


‘건강해지다’는 말이 안 됩니다만, 이런 말씨가 자꾸 번집니다. “-해지고 있어요”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인데, 나란히 스멀거립니다. 우리 몸이나 마음은 ‘튼튼해지’지 않습니다. 그저 ‘튼튼합’니다. 예뻐지지 않습니다. 예쁠 뿐입니다. 우리말씨는 입음꼴을 아예 안 쓰다시피 합니다. 이 대목을 곰곰이 생각할 수 있다면, 우리말빛뿐 아니라 살림빛을 깨달을 만합니다. 어떤 결이나 길을 바꾼다고 할 적에는, 어느새 스며서 우리 삶으로 자리잡았다는 뜻입니다. 어느새 깃들어 오늘 하루를 이루기에 튼튼하거나 예쁘거나 즐겁습니다. 기운이 나는 하루요, 힘이 샘솟는 나날입니다. ㅅㄴㄹ


건강하다(健康-) :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아무 탈이 없고 튼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