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2 : 사회 구조 수렴되 결과 결국 연결된
사회의 모든 구조는 책으로 수렴되고, 수렴된 모든 결과는 결국 삶으로 연결된다
→ 온누리 모든 길은 책으로 가고, 이 모두는 다시 삶으로 온다
→ 둘레 모든 바탕은 책으로 담고, 이 모두를 늘 삶으로 잇는다
→ 이 삶을 책으로 담고, 책은 어느새 삶으로 나아간다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성갑, 스토어하우스, 2020) 265쪽
온누리는 돌고돕니다. 이렇게 모여서 저렇게 퍼집니다. 이쪽으로 와서 저쪽으로 갑니다. 이렇게 이루더니 저렇게 자랍니다. 이처럼 담아서 저처럼 이어요. 둘레 모두를 이야기로 갈무리하니 어느덧 꾸러미 한 자락입니다. 이야기꾸러미를 넉넉히 누리고 나누는 사이에 새록새록 이 터전을 우리 손으로 알뜰살뜰 여미거나 가꾸거나 일굽니다. 모두 잇고 닿습니다. 나란히 맞물립니다. 모이고 모으고 도르고 뭉치면서 버무리는 즐거운 길은 늘 가까이에 있습니다. ㅅㄴㄹ
사회(社會) :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사회 일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구조(構造) : 1. 부분이나 요소가 어떤 전체를 짜 이룸. 또는 그렇게 이루어진 얼개 2. = 구조물 3. [광업] 탁상, 섬유상 따위와 같은 광물의 형태 4. [수학] 집합과 거기에서 정하여진 연산이나 집합과 거기에서 정해진 관계 등 집합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집합론적 대상으로써 얽어진 것 5. [철학] 구조주의에서, 어떤 일을 성립시키는 것 사이의 상호 기능적 연관
수렴(收斂) : 1.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두어들임 2. 의견이나 사상 따위가 여럿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하나로 모아 정리함
결과(結果) : 1. 열매를 맺음. 또는 그 열매 2. 어떤 원인으로 결말이 생김. 또는 그런 결말의 상태 3. 내부적 의지나 동작의 표현이 되는 외부적 의지와 동작 및 그곳에서 생기는 영향이나 변화
결국(結局) : 1. 일이 마무리되는 마당이나 일의 결과가 그렇게 돌아감을 이르는 말 2. 어떤 일이 벌어질 형편이나 국면을 완전히 갖춤
연결(連結) : 1. 사물과 사물을 서로 잇거나 현상과 현상이 관계를 맺게 함 2. [수학] 위상 공간을, 두 개의 공집합이 아닌 개집합으로 나눌 수 없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