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우리말꽃 (2024.3.16.)

― 부산 〈카프카의 밤〉



  부산 동광동에서 연산동까지는 12킬로미터 즈음입니다. 두바퀴를 달리면 30분일 텐데, 87번 버스를 타니 한 시간 길입니다. 우리말로는 ‘고갯길’이고, 일본말로는 ‘산복도로’인데, 고갯길을 굽이굽이 지나면서 마을빛을 새삼스레 느낍니다. 예전에 부산까지 두바퀴를 끌고 찾아갔을 적에 이 언덕배기를 넘었구나 하고도 생각하고, 두 아이를 이끌고 부산마실을 하며 거닐던 골목을 살펴봅니다.


  둘레에서 늘 묻습니다. “아니, 누리책집에서 사면 집까지 바로 갖다 주고, 더 쌀 텐데, 왜 품을 들이고 힘들게 책집까지 사서 온돈을 다 치르시오?” 저는 시골에서 사니 누리책집에서 사는 책도 있습니다만, 이웃고을로 마실을 갈 적에는 기쁘게 굽이굽이 골목골목 돌면서 천천히 바람을 쐬는 하루를 받아들이는 책숲마실을 합니다. 누리책집에서 사는 책이란, 줄거리만 읽는 길입니다. 다리품을 들여서 온돈을 들이는 책집마실이란, 책을 읽고 짓고 나누는 마음이 어떤 마을에서 어떤 꿈으로 피어나는 어떤 사랑인지를 느끼는 길입니다.


  오늘 14시부터 〈카프카의 밤〉에서 이야기꽃이 있기에 일찌감치 찾아갑니다. 일찍 찾아가야 책집을 돌아보면서 ‘밤에 읽고, 이튿날 고흥 돌아가는 버스에서 읽을 책’을 장만할 수 있거든요. 그런데 오늘은 좀 느슨히 여시는 듯해요. 그래서 〈카프카의 밤〉하고 가까운 헌책집 〈글밭〉으로 가서 느긋이 책빛을 누립니다. 이러고서 〈카프카의 밤〉으로 돌아옵니다.


  말 한 마디는 늘 노래입니다. 노래인 말자락을 누리면서 스스로 환합니다. 하늘에서는 해가 웃고, 땅에서는 내가 웃습니다. 온하루를 너랑 내가 새롭게 하나인 우리를 이루는 살림으로 퍼지면서 따뜻합니다. 잇고 익고 읽고 있으니 품습니다.


  부산 이웃님하고 둘러앉아서 함께 ‘5분 만에 노래짓기(시창작)’를 즐기고, ‘책’이라는 낱말을 우리말로 어떻게 풀어낼 만한지 들려줍니다. ‘채·채다·채우다·챙기다’를 비롯해 ‘차리다·차다·참·참하다·착하다’에다가 ‘ㄱ·가다·감·곰·검’이 어우러진 숨결로 ‘책’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한자로 ‘冊’을 보아도 되고, 우리 나름대로 ‘채’하고 얽힌 수수께끼를 찾을 만합니다.


  오늘 새벽은 동광동 까마귀떼가 노래로 깨워 주었습니다. 새벽에 몇 줄을 쓰고서, 87번 버스를 타며 책집으로 가는 길에 매듭을 지은 노래가 있습니다. ‘바다·밤·밭·바람’이 어떤 말밑으로 만나는지를 풀어내면서 책집을 기리는 글자락을 여미어 보았습니다. 예전에는 책집마실을 하면서 찍은 빛꽃을 종이로 뽑아서 드렸고, 요새는 이 책집이 이 살림터에서 어떤 숲빛인지 노래로 써서 건넵니다.


ㅅㄴㄹ


《라면 먹고 갈래요》(하마탱, 인디페이퍼, 2022.7.15.)

《점심 시집》(프랭크 오하라/송혜리 옮김, 미행, 2023.5.25.)

#LunchPoems #FrankOHara

《공무원으로 살아남기》(김수연, 이비락, 2023.12.12.)

《꽃가람 2》(김윤숙·곽민서 엮음, 현대문화, 2024.2.8.)

《야성의 부름》(잭 런던/박성식 옮김, 다빈치, 2023.11.11.)

《우리말꽃》(최종규, 곳간, 2024.1.3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perSalome 2024-03-19 12: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산이 고향이지만 해외에 거주하다보니 늘 그립습니다. 글에서 고향냄새 풀냄새 그득 느끼고 가요, 좋네요~ 참 그리고 산복도로라는 말 이제 사용하지 말아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숲노래 2024-03-19 13:13   좋아요 0 | URL
몇 해 앞서까지 저도 그냥그냥 ‘산복도로‘라는 말을 썼어요. 부산에만 있는 고갯마을 이름이겠거니 여겼어요. 그런데 마산이 고향인 이웃님이 ˝마산에도 산복도로가 있는데?˝ 하시더군요.

마산 이웃님 말씀을 듣고서 ‘산복도로‘란 이름이 언제 어떻게 생겨서 자리잡았는지 헤아리니, ‘고개‘나 ‘재‘나 ‘언덕‘이나 ‘비탈‘을 일본스런 한자말로 ‘산복‘이라 하고, 일본에 ‘산복도로‘가 있으며, 이 이름이 우리나라로 고스란히 들어온 셈이더군요.

사전을 쓰는 몸입니다만, 저도 아직 놓치거나 모르는 낱말이 수두룩합니다.

부산은 그야말로 부산스럽게 싱그러운 고장이라고 느껴요. 머잖아 고향마실을 하시면서, 푸릇푸릇 즐거우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