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에서 노래하는 마음

 


  언제 한 번 시외버스에서 아이들한테 노래를 불러 주는 젊은 어머니를 본 적 있습니다. 그 뒤나 그 앞으로나 아이들한테 노래를 불러 주면서 몇 시간 걸리는 시외버스, 또는 기차에서 차근차근 아이들 달래려는 어버이를 좀처럼 못 봅니다.


  아무래도 어른도 힘드니까 아이들 달래려는 마음을 못 품을 수 있구나 싶어요. 그런데, 몇 시간 달리는 길이라면, 어른은 어찌저찌 서서 가더라도 아이를 세워서 가지 못해요. 어른은 배가 고파도 참을 수 있다지만, 아이들 배를 곯리면서 다니는 일이란 참 못할 일입니다.


  그런데 힘들고 배고픈 아이들이라 하더라도, 고운 목소리 뽑아 나긋나긋 즐겁게 노래를 불러 주는 이 있으면, 아이들은 힘겨움과 배고픈을 이내 잊어요. 아름다운 노래에 빠져들면서 즐겁게 놀 생각을 품어요.


  아이들을 재우려고 부르는 노래라 한다면, 조용하며 느린 노래라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꿈속에서 기쁘게 날아다니도록 북돋울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자장노래가 된다고 느껴요. 이쁘장한 노랫말이나 빠른 가락이어야 아이들이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으로 쓴 노랫말과 빚은 가락이 어우러질 때에 아이들은 좋아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시외버스에서 노래를 부릅니다. 즐겁게 나들이를 다니고 싶어서, 또 시외버스가 재미없으니, 기쁨과 재미를 찾으려고 노래를 부릅니다. 어른들은 텔레비전과 손전화에 빠지느라 아이들 노래를 못마땅해 합니다. 그러나, 뭐 어쩌겠어요. 어른이 아이한테 맞추어야지, 아이가 어른한테 맞추는가요? 돈있는 사람이 돈없는 사람한테 맞추어야지, 돈없는 사람이 돈있는 사람한테 맞추는가요? 젊은이가 늙은이한테 맞추어야지, 늙은이가 젊은이한테 맞추는가요? 숲을 살펴 숲에 살아가는 사람이 될 때에 아름답습니다. 사람에 맞추어 숲을 밀거나 줄이거나 없애면, 사람 스스로도 살아갈 길이 없습니다. 4346.7.1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 동교동에 있는 '김대중 도서관'에서

《이오덕 일기》 책잔치가 있어요.

 

- 2013.7.13.토 16∼18시

 

저는 두 아이를 데리고

내일 아침 일찍 순천역으로 가서

기차를 타고 날아갑니다.

 

날아간다 하더라도 4시간 반이 넘는 길인데,

집에서 일곱 시 오 분 군내버스 타고

읍내로 나와서 순천까지 시외버스 타고

기차로 갈아탄 뒤 영등포에서 내려

택시를 타고 날아가면

얼추 낮 네 시에 맞출 수 있을 듯해요.

 

토요일 낮~저녁 사이에

책마실 하실 분들 즐겁게 나들이 해 보시면 좋으리라 생각해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7-12 18:18   좋아요 0 | URL
벼리랑 보라 데리고 긴 나들이...힘은 드시겠지만
뜻깊고 기쁜 책잔치 다녀오실테니 즐거운 나들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이궁, 집안행사때문에 그 곳에 갈 수 없어 무척 아쉽기만 하네요...
다녀오시면 즐거운 후기 남겨주시리라..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며 잘 다녀오세요.*^^*

숲노래 2013-07-14 07:16   좋아요 0 | URL
이래저래 어제 하루 그럭저럭 보냈어요.
참 긴 하루였습니다 @.@

페크pek0501 2013-07-13 11:21   좋아요 0 | URL
<이오덕 일기>로 6월, 이달의 당선작으로 선정되신 걸 축하드립니다. ㅋㅋ

숲노래 2013-07-14 07:17   좋아요 0 | URL
음... 고맙습니다 ^^;;;
 

[시로 읽는 책 35] 외로움

 


  따순 볕 먹은 나무는 달콤한 열매를,
  맑은 숨 마신 풀꽃은 짙푸른 바람을,
  고운 삶 누린 어른은 넉넉한 사랑을.

 


  아이들이 외롭다면, 어른들이 아이들을 외롭게 했기 때문이라고 느낍니다. 아이들이 활짝 웃는다면, 아이들 마음속에 사랑이 자라도록 어른들도 사랑스레 살아가기 때문이로구나 싶습니다. 따순 햇볕 먹고 씩씩하게 자란 나무는 달콤한 열매를 나누어 줍니다. 맑은 숨을 마신 풀과 꽃은 구름빛과 무지개빛 어우러진 짙푸른 바람을 베풀어 줍니다. 고운 삶 누리며 하루하루 기쁘게 일군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더할 나위 없이 넉넉한 사랑을 물려줍니다. 4346.7.1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직까지도 먼나라 《침묵의 봄》

 


  1962년 미국에서 처음 나온 《침묵의 봄》은 1974년에 한국말로 처음 나왔고, 1976년에 다시 한 번 나온 뒤, 1991년과 2002년에 새롭게 나옵니다. 화학공장에서 만든 살충제가 벌레만 죽이지 않고 모든 목숨을 끝내 죽이고 말아, 겨울 지나 새로 찾아오는 봄에 ‘죽음과 같은 고요함’만 있다는 이야기를 알리는 책입니다.


  살충제뿐 아니라 자동차와 공장이 가득한 곳에서도 봄은 조용합니다. 쥐 죽은 듯이, 아니 쥐도 죽고 벌레도 죽으며 새도 죽어서 조용합니다. 숲소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데에는 자동차와 공장과 기계와 손전화 소리가 가득 퍼집니다. 싱그러운 소리란 없고 죽음을 부르는 소리만 있습니다. 목숨을 살리는 소리는 사라지고, 목숨을 짓밟는 소리만 넘칩니다.


  며칠째 시골마을 하늘을 짓찢는 항공방제 헬리콥터가 날아다닙니다. 창문조차 열 수 없도록 떠도는 헬리콥터입니다. 마을 할배들 봄 여름 가을 가리지 않고 논밭에 농약 뿌려댈 적에도 숨이 막혀 창문도 못 열며 갑갑합니다.


  고속도로 곁에서 창문 활짝 열며 지낼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공항 곁에서 창문 시원스레 열며 지낼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공장과 발전소 곁에서, 또 골프장 곁에서 창문 마음껏 열며 지낼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창문을 열지 못하고, 빨래를 널지 못하며, 아이들이 뛰놀지 못하는 데는, 어떠한 사람도 착하거나 참답거나 아름답게 살아갈 수 없는 죽음터입니다. 우리 어른들은 스스로 죽음터에서 죽음으로 치달으면서 아이들까지 죽음수렁으로 내몹니다. 그런데, 이 나라에서는 입시지옥까지 곁달리니, 이 나라 아이들은 그예 죽은 듯이 사는, 아니 산 듯이 죽은 숨결이 되겠지요. 4346.7.1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골마을 여름 어린이

 


  뙤약볕을 받는 볏포기가 무럭무럭 자란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는 곳에서는 어떠한 풀이든 짙푸른 빛깔 뽐내며 잘 자란다. 무논 곁을 여섯 살 어린이 사름벼리가 달린다. 햇살을 받고 바람을 마시며 꽃을 바라본다. 짙푸른 풀포기 사이사이 알록달록 꽃송이 고개를 내민다. 이 여름에 환하게 벌어지는 꽃이 있고, 이 여름에 시원하게 달리는 아이가 있다. 4346.7.1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