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에서 노래하는 마음

 


  언제 한 번 시외버스에서 아이들한테 노래를 불러 주는 젊은 어머니를 본 적 있습니다. 그 뒤나 그 앞으로나 아이들한테 노래를 불러 주면서 몇 시간 걸리는 시외버스, 또는 기차에서 차근차근 아이들 달래려는 어버이를 좀처럼 못 봅니다.


  아무래도 어른도 힘드니까 아이들 달래려는 마음을 못 품을 수 있구나 싶어요. 그런데, 몇 시간 달리는 길이라면, 어른은 어찌저찌 서서 가더라도 아이를 세워서 가지 못해요. 어른은 배가 고파도 참을 수 있다지만, 아이들 배를 곯리면서 다니는 일이란 참 못할 일입니다.


  그런데 힘들고 배고픈 아이들이라 하더라도, 고운 목소리 뽑아 나긋나긋 즐겁게 노래를 불러 주는 이 있으면, 아이들은 힘겨움과 배고픈을 이내 잊어요. 아름다운 노래에 빠져들면서 즐겁게 놀 생각을 품어요.


  아이들을 재우려고 부르는 노래라 한다면, 조용하며 느린 노래라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꿈속에서 기쁘게 날아다니도록 북돋울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자장노래가 된다고 느껴요. 이쁘장한 노랫말이나 빠른 가락이어야 아이들이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으로 쓴 노랫말과 빚은 가락이 어우러질 때에 아이들은 좋아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시외버스에서 노래를 부릅니다. 즐겁게 나들이를 다니고 싶어서, 또 시외버스가 재미없으니, 기쁨과 재미를 찾으려고 노래를 부릅니다. 어른들은 텔레비전과 손전화에 빠지느라 아이들 노래를 못마땅해 합니다. 그러나, 뭐 어쩌겠어요. 어른이 아이한테 맞추어야지, 아이가 어른한테 맞추는가요? 돈있는 사람이 돈없는 사람한테 맞추어야지, 돈없는 사람이 돈있는 사람한테 맞추는가요? 젊은이가 늙은이한테 맞추어야지, 늙은이가 젊은이한테 맞추는가요? 숲을 살펴 숲에 살아가는 사람이 될 때에 아름답습니다. 사람에 맞추어 숲을 밀거나 줄이거나 없애면, 사람 스스로도 살아갈 길이 없습니다. 4346.7.1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