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선택삭제
글제목 작성일
북마크하기 숨은책읽기 67 꿈을 비는 마음 (공감3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숨은책 1044 韓國動亂과 맥아더元帥 (공감3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다듬읽기 261 두근두근 내 인생 (공감4 댓글0 먼댓글0)
<두근두근 내 인생>
2025-04-17
북마크하기 [삶말/사자성어] 별책부록 (공감2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삶말/사자성어] 갑을관계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외마디 한자말 : 변-邊] (9 +) (공감2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영어] 트러블trouble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인문책시렁 419 상냥한 폭력들 (공감3 댓글0 먼댓글0)
<상냥한 폭력들>
2025-04-17
북마크하기 오늘 읽기 2025.4.11. 새엄마 육아 일기 (공감2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오늘 읽기 2025.4.10. 언어의 높이뛰기 (공감2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오늘 읽기 2025.4.9. 붉은빛이 여전합니까 (공감4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얄궂은 말씨] 1762 : 나의 잠 속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얄궂은 말씨] 1773 : 외래어 -ㅁ 인상을 준다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얄궂은 말씨] 1774 : -의 외모 가지고 건 야비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얄궂은 말씨] 1775 : 위 조문 생명의 소중함 번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얄궂은 말씨] 1776 : 정권 -ㅁ으로 해서 -게 된 것 위태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한자말] 위태 危殆 (8 +)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한자말] 지면 地面 (3 +)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삶말/사자성어] 유년시절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삶말/사자성어] 피부질환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의 : -의 소중] (5 +) (공감1 댓글0 먼댓글0) 2025-04-17
북마크하기 숨은책 1042 스무 살까지만 살고 싶어요 (공감3 댓글0 먼댓글0) 2025-04-16
북마크하기 숨은책 1041 科學哲學序說 (김태섭+대학등록금) (공감2 댓글0 먼댓글0) 2025-04-16
북마크하기 숨은책 1040 人間文化財(인간문화재) (공감3 댓글0 먼댓글0) 2025-04-16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4.17.

숨은책읽기 67


《꿈을 비는 마음》

 문익환 글

 백범사상연구소

 1978.4.20.



  나이가 어리다고 젊은이가 아니요, 나이가 많다고 늙은이가 아닌 줄 시나브로 배웁니다. 어릴적부터 이 대목은 늘 느꼈어요. 둘레에 어른다운 어른이 드물었던 터라, 어릴적 제 꿈 가운데 하나는 “나이만 먹는 사람이 아니라 슬기를 먹는 사람이 되자”였어요. “슬기롭게 자라서 이 땅을 디디는 사람으로 살지 않는다면 어른이 될 수 없다”고 여겼어요. 문익환이라는 이름을 곧잘 들었지만 누구인지 모르다가, 1993년부터 이분 책을 찬찬히 찾아서 읽는데, 어느 날 헌책집에서 《꿈을 비는 마음》이란 매우 얇은 꾸러미를 만났어요. 이 손바닥책에 〈전주 교도소로 이감되던 날〉이라는 노래가 있더군요. “감방쪽으로 돌아서는 길목에서 / 말없이 지켜보던 개나리 꽃봉오리들 / 활짝 피며 흩날릴 그 금싸라기들은 / 영영 볼 길이야 없겠지만―” 머리가 허연 할아버지가 차가운 사슬터에서 봄을 그리는 노래를 썼다니, 더욱이 이런 글을 서슬퍼런 박정희 굴레 한복판에 썼다니, 그즈음 다른 글바치는 무엇을 했을까 궁금하더군요. 따뜻한 집에서 붓을 휘두르면서 돈과 이름과 힘을 거머쥔 숱한 이들은 어떤 글을 펼쳤을까요? 꿈을 비는 마음이 없는 이들이 너무 많고, 꿈을 빌지 않는 채 쓰는 글이 너무 넘실거리는 이 나라이지 않나 모르겠습니다.


덧.

94쪽에 ‘고은’이라는 분이 “시집이 나오는 날 나는 내 몇백억원을 다 가지고 나가서 그를 위한 술자리를 마련하고 얼싸안으려고 단단히 벼르고 있다.” 하고 적습니다. 사슬터에 갇힌 사람을 걱정한다는 말이 ‘술자리’라니, 참으로 술망나니인 고은답습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