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10.
《언어의 높이뛰기》
신지영 글, 인플로엔셜, 2021.9.1.
엊저녁 가볍게 비를 뿌리고 지나갔다. 비가 더 오며 하늘을 씻을 만한데, 새로 볕날로 돌아선다. 꽃가루받이를 마친 흰민들레 한 송이는 어느새 꽃대롤 곧길게 뻗더니 동그랗게 씨공을 맺는다. 바야흐로 텃노랑과 흰민들레가 우리집을 고루 둘러싼다. 지난 열다섯 해 동안 제법 퍼뜨렸다. 멧딸기꽃도 하얗게 일어난다. 오늘도 모과꽃을 한 소쿠리 훑는다. 낮에는 꾀꼬리와 까치와 직박구리와 박새와 뱁새와 굴뚝새와 제비가 노래를 베풀고, 밤에는 소쩍새가 노래를 편다. 논개구리가 멀잖은 곳에서 깨어나서 낮에도 노래하고 밤에도 노래한다. 《언어의 높이뛰기》를 읽었다. 우리나라에서 우리말글을 이만큼 헤아려서 글로 여미고 책으로까지 내는 분이 있다니 반가우면서 고맙다. 말글을 익히고 이야기하면서 다루려면 ‘높은 저곳’이 아닌 ‘살림하는 여기’에 있을 노릇이요, ‘서울 복판’이 아닌 ‘시골에서도 들숲메바다 곁’일 노릇이다. 우리말도 이웃말(외국말)도 말글은 숲에서 태어난다. 그러니까 《언어의 높이뛰기》는 말글을 ‘말과 글’로 바라보려는 눈길이 알뜰하되 여러모로 아쉽다. ‘사람들(사회)’이 말결과 글빛을 미처 못 읽더라도, 말글지기와 글바치가 기둥을 곧고 곱게 다스려서 펴면 된다. 오늘부터 일구면 넉넉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