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11.
《새엄마 육아 일기》
오진영 글, 눌민, 2021.5.21.
〈숲노래 책숲 1019〉가 나왔다. 새로 낸 《말밑 꾸러미》에 살짝 얹은 낱말그림 하나를 바탕으로 꾸렸는데, 글씨가 너무 작아서 읽기 어려우려나 모르겠다. 큰아이가 옆에서 보더니 “안 작은데요? 읽을 사람은 다 읽겠지요.” 하고 얘기한다. 맞는 말씀이다. 읽을 사람은 잔글씨여도 읽고, 안 읽을 사람은 큰글씨여도 안 읽는다. 읽을 사람은 책값을 안 따지고, 안 읽을 사람은 책값에 매인다. 큰아이하고 읍내 나래터에 들고 가서 부친 다음에, 뒷숲에 가서 등허리를 쉰다. 어치와 까치가 노래하는 소리를 듣다가, 벚꽃비가 내리는 냄새를 누리다가, 파랑괴불주머니(현호색)를 만난다. 숲길을 따라 줄줄이 엄청나게 피었다. 꽃과 잎을 하나씩 따서 봄숲맛을 누린다. 《새엄마 육아 일기》를 읽었다. ‘낳은엄마’가 아닌 ‘돌봄엄마’로 살림을 꾸리는 하루를 펼친다. 처음 어린이로 만난 날부터 어느새 싸움터(군대)까지 다녀온 때에 이르도록 아이랑 곁님하고 보낸 삶이 얼마나 기쁘게 사랑이었나 하고 풀어내는 줄거리이다. 우리말로는 ‘새엄마·돌봄엄마’인데, ‘새’란 새로움일 뿐 아니라, 사이를 잇는 길이고, 하늘과 땅을 누비는 숲짐승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아이는 두 어버이가 사랑을 속삭이기에 ‘새’로 맺는 빛씨이고.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