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21.


《기쁨이 열리는 창》

 이해인 글, 마음산책, 2004.6.25.



아침에 무국을 끓인다. 작은아이가 어제 반죽을 해놓았다면서, 곁님하고 반죽을 뜯어서 수제비로 바꾼다. 낮에는 작은아이하고 저잣마실을 간다. 함께 짊어지고서 천천히 걷고, 어린이쉼터에서 숨을 돌린다. 그런데 이름은 ‘어린이쉼터’인데 어린이보다 할매할배 수다터로 바뀐다. 이러면 어린이가 이곳에 오고 싶을까? 할매할배 쉼터는 곳곳에 많은데, 어린이쉼터에서는 조용해야 하지 않을까? 어린이쉼터는 누구나 드나들며 조용히 쉬는 터전이어야 맞다. 그래서 어린이쉼터에서는 술담배를 말라는 알림판이 곳곳에 서는데, 정작 여기에서 담배 태우는 꼰대가 수두룩하다. ‘어른 아닌 꼰대’는 늘 그들 나이를 앞세우려고 든다. 나이가 안 되면 ‘돈’과 ‘옷’과 ‘쇠(자동차)’를 들이민다. 이런 시골이라면 아이들한테 꿈씨가 깃들 수 있겠는가? 《기쁨이 열리는 창》을 읽어 본다. 아침저녁으로 새소리로 열고 닫으면서, 낮에는 햇빛을 머금는 풀꽃나무를 동무하며 일하다가, 밤에는 별빛이 서리는 풀벌레노래로 꿈길로 간다면, 굳이 글을 안 쓰고 안 읽어도 된다. 그리고 글을 쓰려면 밤낮노래와 풀꽃노래를 품을 일이다. 시골 아재는 무슨 책을 읽을까? 아예 아무 책도 안 읽지 않을까? 시골 아지매도 책읽기란 아예 마음에 없지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22.


《책을 읽다가 잠이 들면 좋은 일이 일어남》

 박솔뫼 글, 위즈덤하우스, 2024.7.31.



엊저녁부터 비가 온다. 시원스레 쏟아진다. 오늘은 비가 거의 그친다. 앵두나무 옆으로 풀벌레가 한둘 남고, 뒤꼍 감나무하고 모과나무 둘레로 개구리가 여럿 남는다. 한가을비가 지나면서 날씨가 뚝 떨어지는 듯싶다가도 어느새 포근하게 오른다. 하루 내내 구름바다를 이루는데, 밤에는 구름이 살짝 걷히는 듯하고, 사이사이 별이 나온다. 바깥마루에 사마귀가 앉은 줄 모르고 빨랫대를 옮기다가 그만 밟을 뻔했다. 풀밭에서는 푸른빛이되, 바깥마루에서는 흙빛으로 몸을 바꾸었네. 나도 사마귀도 깜짝 놀랐다. 《책을 읽다가 잠이 들면 좋은 일이 일어남》을 읽었다. 글님 스스로 ‘좋아하는’ 대로 읽은 책을 둘러싼 하루를 적는다. 유미리도 읽고 만화책도 읽는구나 싶어 살짝 놀라지만, 거의 엇비슷하게만 읽는 듯싶다. 글일을 한다면 문학뿐 아니라 낱말책과 우리말책도 읽을 줄 알아야 할 테고, 낱말책과 우리말책도 이야기할 수 있어야지 싶다. 모든 글은 말을 담으니, 말이 무엇인지부터 짚어야 다른 갈래를 풀어낼 만하다고 본다. 바람과 하늘과 흙이 들려주는 말에도 마음을 기울인다면, 고단한 아이들 마음소리에도 귀를 기울인다면, 글님이 나아갈 앞길이 한결 반짝일 텐데 하고 느끼면서 이 책을 덮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23.


《스티븐 호킹의 우주》

 존 보슬로우 글/홍동선 옮김, 책세상, 1990.9.10.



‘닫은곳(폐교)’을 어떻게 살릴 수 있는지 듣고 싶다며 찾아온 손님하고 이야기한다. 새로 배우려는 사람이 확 사라지고 떠나기에 어린배움터를 닫고 푸른배움터까지 닫는다. 새로 배우려는 사람이 있으면 어느 배움터도 안 닫는다. 어린이하고 젊은이가 왜 떠났을는지 생각해야 한다. ‘생각(새로 가는 길)’을 짓지 않는 마음이 퍼지기에 어린이하고 젊은이가 떠난다. 할매할배가 늘 새롭게 배울 길을 가꿀 뿐 아니라, 어진빛을 젊은이한테 들려주되 새빛을 어린이랑 젊은이한테서 배우는 매무새를 나란히 살펴야 비로소 마을도 시골도 살아난다. 할매할배 가운데 누가 책을 읽을까? 시골사람은 책을 얼마나 읽는가? 어린배움터가 닫는다면 아이가 안 태어난다는 뜻이고, 할매할배는 ‘어른·어르신’이기보다는 ‘늙은이’로 주저앉겠다는 뜻이다. 죽살이를 제대로 짚고 배워야 할 노릇이다. 《스티븐 호킹의 우주》를 돌아본다. 2012년에 새 옮김판으로 나오기도 했다. 별누리를 읽으려면 늘 별을 보아야 한다. 별이 안 보이는 서울에서라면, 눈을 감고서 ‘나를 둘러싼 별’과 ‘우리가 깃든 별’을 온몸으로 느낄 일이다. 몸과 마음으로 나란히 바라보고 느낄 적에 온누리와 별누리를 열면서, 우리 넋이 깨어날 만하다.


《시간의 지배자들》(이충호 옮김, 새길아카데미, 2012.5.31.)

#Masters of time #John Boslough 

#Cosmology At The End Of Innocence

#Stephen Hawking's Univers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8.21.


《우리 역사가 담긴 8가지 우표 이야기》

 김재은 글, 설은영 그림, 어린이작가정신, 2011.6.14.



오늘은 비가 안 올 듯싶다만, 구름은 짙고, 곧잘 해가 환하게 난다. 두바퀴를 달린다. 들길을 가르면서 구름바다를 헤아린다. 수박을 장만한다. 등으로 짊어진다. 천천히 돌아온다. 숨을 고르면서 발판을 고른다. 새가 뜸해도 너무 뜸하고, 참새를 보기란 왜 이렇게 어려울까. 《우리 역사가 담긴 8가지 우표 이야기》를 읽었다. 이 같은 어린이책이 2011년이 아닌 2001년이나 1991년에는 나올 수 없던 우리나라이다. 1981년에는 더 어림조차 못 했다. 어린이 살림길이나 눈높이하고 멀던 나라 얼거리이다. 나이에 따라 맡아야 할 짐을 수북히 안기는 나라에서는,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도 고단하게 마련이다. 나래꽃(우표) 이야기를 애써 담아낸 책을 읽다가 곰곰이 생각한다. “우리 역사”보다는 “우리 살림”하고 “우리 마을”하고 “우리 숲”을 읽자는 눈길이라면 사뭇 달랐으리라 본다. “나래꽃에 담은 발자취”는 오래도록 “우두머리(대통령) 입맛”에 따라서 흔들렸다. 사람들이 아늑하면서 즐겁게 살아가는 길하고는 등진 채, 한켠으로 내몰며 닦달하는 얼거리를 담았으니, “반공 포스터·산불조심 표어” 같은 틀에 갇혔다고 할까. 나래꽃을 사거나 붙이는 사람이 확 줄면서 이제서야 뒤늦게 바뀌는데, 다 죽어갈 때에라야 바뀐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8.20.


《꽃샘추위》

 임순옥 글·이상권 그림, 산하, 2022.11.25.



엊저녁부터 구름바다를 이룬다. 비가 오겠구나. 아침에 햇볕이 한동안 비추다가 비로소 후두둑 떨어진다. 비는 오다가 멎기를 되풀이한다. 멎을 적에는 구름이 걷히면서 해가 난다. 비가 뜸한 아침에 시골버스를 타고서 읍내 나래터를 얼른 다녀온다. 늦은낮에는 조용하다가 저녁에 다시 빗물을 뿌린다. 많이 뿌리지는 않아도 가문 들숲을 적시고 바람이 싱그러이 몰아친다. 《꽃샘추위》를 읽었다. ‘동화쓰기’라는 틀로 보면 알맞게 엮었구나 싶으나, 이야기가 좀처럼 못 살아난다고 느낀다. 아이들은 뭘 하며 놀까? 요새 아이들 놀이를 꼭 지켜보고서 ‘어린이 놀이’를 넣어야 하지는 않지만, 어린이가 어린이로서 어린이넋을 살리는 놀이빛을 밝히는 곁얘기가 하나도 없고, 동무나 어버이하고 부딪히고 다투다가 응어리를 어느새 푸는 줄거리로 맺는구나. 글감(소재주의)에만 파묻힐 적에는 ‘문학’은 될는지 모르나 ‘이야기’하고는 한참 멀다. 우리는 어른으로서 아이들한테 ‘문학 아닌 이야기’를 들려줄 노릇이라고 본다. ‘동화쓰기·동시쓰기’는 이제 멈추고서 ‘이야기쓰기·노래쓰기’로 거듭날 일이라고 본다. 이야기가 없기에 꿈이 없고, 노래가 없기에 사랑이 없다. 이야기와 노래를 잊기에 다들 서울만 쳐다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