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6.
《철학자의 음악서재》
최대환 글, 책밥상, 2020.10.23.
해가 환하다. 비는 엊저녁에 그쳤고, 천천히 개면서 물기운을 말린다. 오늘만큼은 하늘이 새파랗다. 곁님하고 두 아이가 마당을 치운다. 후박나무 둘레에 쌓인 까만흙을 한켠으로 옮기고, 덩굴을 솎고, 잔뜩 퍼진 노란붓꽃도 좀 파낸다. 저녁에는 〈쿵후팬더 4〉을 함께 본다. 큰나무는 늘 씨앗을 떨구는데, 바로 곁에서 싹틔우기보다는, 알맞게 떨어진 곳에서 새싹이 돋으며 우람하게 크기를 바란다. 모든 씨앗은 어미(어버이) 품에서 홀가분히 나오고서 새길을 열면서 스스로 새빛(어른)으로 자란다. 《철학자의 음악서재》를 진작 읽었다. 뜻도 줄거리도 짜임새도 ‘안 나쁘다’고 느끼면서도, ‘붕뜬 글’이라고도 느낀다. ‘철학자·음악·서재’를 한묶음으로 놓으니 어쩐지 멋스럽거나 깊거나 넓은 듯 꾸미는구나 싶다. 이런 책을 읽을 적마다 늘 생각해 보는데, 누가 읽으라고 쓰는 글일까? 어린이는 못 읽을 글이다. 어른 가운데에서도 ‘한자 인문지식’이 꽤 있어야만 좀 읽을 만하다. 아이들하고 〈쿵후팬더〉를 200벌을 넘게 보기는 했으나, 〈쿵후팬더〉에 나오는 노래는 따로 안 듣는다. 〈포카혼타스〉나 〈울프워커스〉나 〈뮬란〉에 나오는 노래는 늘 듣는다. 바람과 나무와 바다와 숲과 새가 들려주는 가락이 바로 노래이니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