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8.
《그림 그리는 할머니 김두엽입니다》
김두엽 글·그림, 북로그컴퍼니, 2021.5.4.
곁님은 마당을 치운다. 나는 집일을 한다. 호미랑 낫을 숫돌로 갈고서, 큰아이하고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저녁에는 “두 가지 배움터”가 ‘길들이기’하고 ‘길찾기’로 갈린다는 대목을 들려준다. 앞에 붙이는 말은 ‘길’이되, 어떤 ‘마음’인가에 따라서 아주 다르게 갈린다고 얘기한다. 비가 실컷 뿌렸어도, 뿌연 먼지하고 꽃가루가 섞인 하늘이다. 먼지는 늘 날리게 마련이고, 꽃가루는 철마다 떠다니는데, 둘 다 내려앉을 흙땅이 없어서 그만 하늘에 머물고 만다. 먼지가 나쁠 일이 없다. 이제 어느 몸에서 가볍게 떨어져나오고서 흙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알갱이가 먼지이다. 흙한테 내려앉아서 빗물에 가만히 녹아들면 까무잡잡한 빛으로 거듭날 먼지이지만, 갈수록 온나라에 잿빛(시멘트)과 깜빛(아스팔트)이 넘쳐서 흙빛이 사라지니 언제나 매캐하면서 어지럽다. 《그림 그리는 할머니 김두엽입니다》를 이제 치운다. 김두엽 할머니 그림은 어쩐지 와닿지 않더라. ‘박정희 할머니’ 그림은 훅 스몄기에 무엇이 다른지 이태 남짓 돌아보았다. ‘모지스 할머니’ 그림도 안 와닿는다. 이 대목도 나란히 헤아렸다. 다 다른 붓결이라고도 하겠으나, ‘살림하는 사랑’이라는 자리가 너무 다르지 싶다. 돋보이게 그려야 할 까닭이 하나도 없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