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
홍승은 지음 / 동녘 / 2017년 4월
평점 :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5.25.
까칠읽기 70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
홍승은
동녘
2017.4.17.
내가 거북하거나 성가시거나 싫으니, 남도 거북하거나 성가시거나 싫기를 바랄 수 있다. 내가 즐겁고 아름답거나 사랑이기에, 누구나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이기를 바랄 만하다.
바로 내가 나부터 어떻게 보고 느끼느냐에 따라서, 내가 둘레를 바라보는 눈이 바뀐다. 남이 나를 바꾸지 못 하고, 내가 남을 바꾸지 않는다. 누구나 스스로 바꾸고 가다듬고 추스른다.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를 읽으면서 생각해 보았다. 왜 굳이 ‘남’을 들추어야 할까? 남을 따지거나 말하기보다는 ‘나’는 어떤 마음으로 무엇을 하면서 이 삶을 어떻게 사랑으로 짓는지 풀어놓으면 넉넉하지 않을까?
순 사내들이란 제멋대로라고 여기면 그냥 끝이다. 거꾸로 보아도 같다. 순 가시내들이란 멋대로라고 여기면 그저 끝장이다. 남이 쌓은 담벼락도 틀림없이 있을 텐데, 내가 쌓은 담벼락도 나란히 있다. 둘이 서로 쌓은 담벼락이 두 겹이기에 서로 안 만나기 일쑤이다.
자꾸 이야기할 일이다. 다시 이야기할 노릇이다. 또 이야기를 걸고, 새로 이야기를 들으면서, 함께 걸어갈 길을 찾으면 된다. 온나라 책수다를 보면, 거의 순이밭이다. 돌이는 책수다에 거의 안 오거나 아예 안 오기 일쑤이다. 그 많은 사내는 어디에 있을까? 이 나라는 순이돌이가 나란히 있는데, 왜 배움자리만큼은 사내가 안 끼려고 할까? 순이는 한갓지고 일이 없어서 배움자리나 책수다에 가지 않는다. 순이는 참으로 스스로 새로 배우고 다시 익히려는 마음이기에 자꾸자꾸 배움자리나 책수다에 찾아간다.
적잖은 사내는 배움자리나 책수다에 한걸음을 떼고는 다시 안 찾아오기 일쑤이다. 한걸음 들었으면 되었거니 여기는데, 터무니없는 소리이다. 한걸음 듣고서 ‘다 알았’다면 이 나라가 아름답게 거듭나야 하지 않을까? 한걸음 듣고서 ‘다 알았’다고 여기는 마음이라면, 밥을 한 그릇 먹었으니 이제 배고플 일이 없을 테니, 앞으로는 아주 안 먹어도 되는지 스스로 물어볼 일이다. ‘다 알았’다는 사내는 왜 아직도 집안일을 그렇게 못 하거나 안 할까? ‘다 알았’다는 아저씨는 왜 아직도 아이를 돌보는 일을 그렇게 못 하거나 안 할 뿐 아니라 꼬랑지를 빼는가? ‘다 알았’다는 아저씨는 왜 길바닥에 가래와 꽁초를 그렇게 많이 내뱉을까?
갑갑하고 답답해서 죽을 노릇이기에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 같은 책을 썼다고 느낀다. 그러나, 내가 갑갑하기에 너더러 갑갑하라고 한다면, 이런 말이 오히려 ‘말주먹’으로 번지기 쉽다. 내가 여태 이렇게 답답했으니 너도 이제부터 답답해야 한다고 몰아세우면, 언제나 다툼으로 번지고 싸움으로 도진다. 끝없는 앙갚음으로 쳇바퀴에 갇힌다. 앙갚음이라는 사슬은 남(너)이 먼저 끊어야 하지 않는다. 남(너)은 아마 죽었다 깨어나다 안 끊고 안 바꾸리라.
박근혜도 김건희도 ‘년’이 아닌 ‘순이’에 ‘가시내’이다. 박정희도 윤석열도 ‘놈’이 아닌 ‘돌이’에 ‘사내’이다. 그들한테 섣불리 ‘년놈’ 같은 말을 붙이지 않을 줄 아는 마음으로 일어설 적에 이 나라를 갈아엎은 다음에, 아름답게 돌볼 수 있다. 그들이 일삼거나 저지른 ‘잘못’을 짚고 따지되, ‘사람’을 할퀴거나 갉지 않을 줄 아는 마음으로 서야, 비로소 아이들한테 이 나라를 아름답게 일구면서 물려줄 만하다. 그들이 참으로 못나거나 나쁘더라도 그들을 ‘년놈’으로 할퀴거나 깎아내리려고 하면, 이 말씨는 늘 우리한테 고스란히 돌아온다. 끝없는 싸움수렁으로 뒹군다.
홍승은 씨는 ‘어느 시인’과 ‘활동가 진보 진영’ 사람들이 겉속이 다른 모습을 보이는 삶을 온몸으로 겪어 보았다고 밝힌다. ‘그 시인’ 하나만 그와 같지 않다. 틀림없이 아니다. 사람들이 우러르거나 섬기거나 모시는 숱한 ‘시인과 소설가와 기자와 평론가와 교수’ 무리는 매한가지이다. 그러면 생각해 봐야지. 겉속이 다른 ‘시인’과 ‘진보’를 어떻게 해야 갈아엎을까? 갈아엎은 자리에는 무엇을 심어야 할까?
갈아엎는 몸짓으로 끝이 아니다. 갈아엎은 땅에는 씨앗을 심을 노릇이고, 씨앗을 심었으면 돌볼 노릇이다. ‘갈아엎기(개혁·혁명·번혁)’만 진보이지 않다. ‘심기·씨앗·돌봄·지킴’만 보수이지 않다. 모든 사람은 ‘진보·보수’가 나란하기에 스스로 빛난다. 갈아엎은 데를 또 갈아엎으면 다 죽는다. 돌보기만 할 뿐 안 거두고 안 갈아엎으면 이때에도 다 죽는다. 그러니까, 둘 다 해야 사람이고, 남(너)을 미워하는 일만 하려고 든다면, 나부터 쓰러지고 죽을 테지.
ㅍㄹㄴ
스무 살은 무조건 대학생이거나 재수생이어야 하고, 여자는 머리가 일정 정도 이상 길어야 함은 물론, 예뻐지길 욕망할 거라는 견고한 편견들. 아무 생각 없이 뱉은 질문은 정말 생각이 없어서 폭력이 된다. (11쪽)
서점에는 남성 수도권·중산층·고학력·이성애자 저자가 ‘여의도 정치’를 비판하거나 경제적 불평등·철학을 다룬 책이 가득하다. (15쪽)
잘 차려진 밥상 앞에서 바로 맛을 평가하기 전에, 재료를 사오고 손질하고 씻고 썰고 재우고 볶고 양념하고 찌고 설거지하는 누군가의 지난한 노동이 우선 눈에 보인다. (86쪽)
동등하게 소통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닌 고분고분한 대상을 찾는 심리는, ‘내 뜻을 거스를 때 혼낼 수 있다’는 당위를 전제한다. (134쪽)
집회 현장에서 박근혜와 최순실을 ‘년’으로 욕하지 말라는 발언이 집회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거라는 식의 글을 당당히 올릴 수 있는 권력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275쪽)
활동하며 만난 사람들 중에는 일베나 새누리당 쪽 사람들보다 같은 진영의 사람에게 상처받은 이들이 많았다. 친구 D는 종종 “마이크·피켓·펜을 내려놓았을 때 사람들이 변하는 모습이 무섭다”며, “다른 무엇보다 그런 모습에서 인간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고 말했다. (278쪽)
한 시인을 만났다. 그는 세월호의 슬픔에 누구보다 가슴 절절한 시구를 뱉어내는 사람이었다. 시에서 느껴지는 진심에 감동해서 그를 만날 날을 손꼽아 기다렸다. 그런데 처음 마주한 그는 다짜고짜 ‘어린’ 내게 반말을 했고, 먹을 것 좀 사오라며 대뜸 카드를 내밀었다. 그 뒤로도 쭉 이어진 그의 무례한 말과 행동에 한 번 놀라고, 본 행사 때 진심 어린 표정으로 슬프게 시를 읽는 모습에 다시 한 번 놀랐다. (288쪽)
+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홍승은, 동녘, 2017)
수도권으로 가지 않고 지방에 남아 있겠다고
→ 서울곁으로 가지 않고 작은고장에 남겠다고
→ 서울밭으로 가지 않고 마을에 있겠다고
10쪽
엄마 혹은 누군가가 기쁘도록 말을 잘 들을 거라는 어린 나의 다짐을 보며 마음이 쓸쓸해졌다
→ 엄마나 누가 기쁘도록 말을 잘 듣겠다는 어린 다짐을 보며 쓸쓸했다
→ 엄마나 남이 기쁘도록 말을 잘 듣겠다는 어린 다짐을 보며 쓸쓸했다
30쪽
보통의 존재라고 못박기에 나와 너는 고유하다
→ 흔하다고 못박는데 나와 너는 반짝인다
→ 수수하다고 못박지만 나와 너는 빛난다
→ 그냥이라고 못박으나 나와 너는 다르다
33쪽
악력이 약하고 손바닥 살이 연해서요
→ 손힘이 여리고 손바닥살이 여려서요
→ 아귀힘이 없고 손바닥살이 여려서요
36쪽
그때부터 집중 포화가 이어졌다
→ 그때부터 쏟아붓는다
→ 그때부터 퍼붓는다
→ 그때부터 들이붓는다
51쪽
상대적으로 더 눈치를 봐야 하는 입장에 있다 보면 시선이 확장되기 마련이다
→ 더 눈치를 봐야 하는 자리에 있다 보면 눈길이 넓게 마련이다
→ 더욱 눈치를 봐야 하다 보면 눈길을 넓히게 마련이다
86쪽
상대가 여성일 경우 으레 가르치려고 드는 남성의 특성을 일컫는 맨스플레인은 그래서 중요하다
→ 그래서 가시내를 마주하면 으레 가르치려고 드는 꼰대질을 눈여겨본다
→ 그래서 순이와 마주하면 으레 가르치려고 드는 잘난척을 들여다본다
134쪽
어떤 존재가 사회적으로 배제된다는 것, 보이지 않는 것, 금기시되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 어떤 사람이 이곳에서 막히고, 보이지 않고, 묶인다면 어떤 뜻일까
→ 어느 누가 이 삶에서 빠지고, 보이지 않고, 가로막히면 어떤 뜻일까
304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