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쉼 없이 걸어 촛불을 만났다 - 최민희의 언론개혁 여정
최민희 지음, 김유진 인터뷰어 / 21세기북스 / 2020년 3월
평점 :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6.10.
까칠읽기 16
《쉼 없이 걸어 촛불을 만났다》
김유진·최민희
21세기북스
2020.3.11.
《쉼 없이 걸어 촛불을 만났다》(김유진·최민희, 21세기북스, 2020)를 굳이 사서 읽어 보았다. 굳이 사서 읽었기에, 최민희 씨를 비롯한 여러 ‘운동권 언더서클 권력’이 무엇인지 새삼스레 돌아보았다.
만약 노무현 대통령이 서울대를 나왔다면, 돈이 많았다면, 소위 중앙 정치에 인맥이 빵빵했다면, 하다못해 학생운동이라도 했다면 인맥이 있었을 텐데. 이 중에 단 하나라도 가졌으면 그렇게 돌아가시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해요. (97쪽)
“하다못해 학생운동이라도 했다면”이란 무슨 소리인가? 노무현 씨는 고등학교만 마쳤는데 무슨 ‘(대)학생운동’을 할 수 있는가? 서울대는커녕 대학교를 안 다닌 사람더러 “서울대를 나왔다면”이나 “학생운동이라도 했다면”이라고 혀를 끌끌 차는 최민희 씨를 비롯한 ‘언더서클 운동권 권력’은 처음부터 ‘고졸·가난·비운동권’을 쳐다볼 마음도 눈도 없다는 뜻이다. 이들 스스로 귀띔이나 도움말이나 쓴소리를 꾸준히 하면서 함께 나아갈 마음이 있다면, 언제나 사뭇 달랐으리라.
제가 《말》 지에 들어간다고 했을 때 친구들이나 후배들이 민중을 배반했다고 비판했죠. 지금 들으면 그게 왜 배반이야 하겠지만 우리에게는 코스가 정해져 있었으니까요. 최고의 가치는 “민중 속으로”. 민중 속으로 들어가려면 외모나 말투까지 민중처럼 돼야 하니까 화장은 말할 것도 없고 로션 같은 것도 바르면 안 된다는 게 우리의 문화였어요. (29쪽)
최민희 씨는 아직도 “민중 속으로”를 외치는 듯하다. 그런데 누가 “민중 속으로”를 외치겠는가? 우리말도 아닌 ‘러시아말’인 ‘v narod’는, 이분들이 처음부터 ‘사람(민중)’ 사이에 없었다는 뜻이요, ‘사람 곁’이라든지, 스스로 ‘사람’이라는 자리에 설 마음이나 뜻부터 없다는 얼거리이다. 스스로 수수하게 살림을 짓는 사람이라면 누가 “민중 속으로”를 외치겠는가?
그 다음에는 염색공장에 갔죠. 염색공장은 너무 힘들었어요. 딱 하루 일했는데 코피가 터져요. 천을 물에 담갔다가 올려서 말리고, 다시 물에 담그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라 육체적으로 매우 힘들어요. 아무나 하는 일이 아니구나, 거기서도 실패했습니다. 몇 군데서 실패를 하다 보니 공장에 다시 들어가는 게 무서웠어요. (31쪽)
‘학생운동 최민희 씨’는 다른 운동권하고 똑같이 ‘공장 노동자 체험’을 해보려 하지만 고작 하루 일하고서 달아났다고 밝힌다. 다른 곳에서도 매한가지였다고 한다. 그런데 ‘사람(민중)’들은 최민희 씨가 달아나는 이런 일을 늘 할 뿐 아니라, 온집안이 다 한다. 너무 힘들어서 달아났다는 말은 배부른 핑계이다. 사람(민중)들은 안 힘들겠는가? 다들 힘들어 죽을 판이지만 온집안을 먹여살리는 일거리이니, 이 고되고 벅찬 일을 끝까지 짊어지면서 싸우며 살았다.
시민단체는 재야 운동이 반독재민주화운동을 이끌어왔던 시대에서 시민의 삶을 바꾸는 운동, 참여민주주의 등을 표방하면서 안착했어요. 민언련도, 시민언론운동으로 방향을 바꾸었잖아요. 그 지향은 맞았어요. 문제는 시민운동이 상층부 엘리트 중심으로 움직였다는 거죠. 그렇다고 시민들과 유리됐다고 말하면 안 되고요, 참여연대나 환경운동연합 같은 단체들은 회원이 2∼3만이나 됐으니까. (93쪽)
이미 처음부터 사람(민중) 곁에는 있지 않은 채 물밑(언더서클)에서 사회과학책을 몇 읽은 눈으로 ‘시민단체·참여민주주의·시민언론’이라는 이름을 내세운 발걸음이니, 이분들이 쓰는 말은 사람(민중) 곁에 없다. ㅈㅈㄷ을 나무랄 줄은 알지만, 한겨레·경향·오마이뉴스가 잘못하거나 샛길로 빠질 적에는 나무랄 줄 모르는, 이른바 ‘내로남불’에 빠지고 만다. 잘못은 누가 하든 잘못이고, 잘한 일은 누가 하든 잘한 일이다. 한겨레·경향·오마이뉴스가 안 다루거나 안 짚거나 안 쓰는 이야기를 곧잘 ㅈㅈㄷ이 써서 알리거나 북돋우곤 한다. 그렇다고 ㅈㅈㄷ이 ‘잘한다’는 뜻이 아니다. 이쪽이든 저쪽이든 말썽은 똑같이 말썽인데, 잣대를 어느 쪽에만 들이댈 적에는 스스로 눈에 들보를 씌우는 셈이다. 최민희 씨는 여러 시민단체가 “시민들과 유리됐다고 말하면 안 되고요, 참여연대나 환경운동연합 같은 단체들은 회원이 2∼3만이나 됐으니까(93쪽)” 하고 말하는데, 그러면 ㅈㅈㄷ 구독자는 따로따로 200만이 넘으니까 이들 ㅈㅈㄷ이 “사람(민중)과 동떨어졌다고 말하면 안 된다” 하고 똑같이 말해야 하지 않을까? 가난한 사람도 더러 〈한겨레〉를 읽지만, 숱한 가난한 사람은 으레 〈조선일보〉를 읽는다. 〈조선일보〉를 읽는 숱한 가난한 사람은 ‘사람(민중)’일까 아닐까?
그동안 집회의 주도 세력이 누구였던가 되돌아보면 정치인, 학생, 조직활동가 등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집회의 주도 세력이 이번 촛불집회를 기점으로 시민으로 바뀐 것, 이런 점은 과거 조직운동을 했던 활동가들에게는 낯설고 불쾌한 지점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촛불집회 연장에서 시민단체 활동가들을 만나기 힘들었어요. “왜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이 집회에 결합하지 않지?” 의아한 생각을 가졌는데, 냉정하게 표현하면 촛불집회의 헤게모니가 바뀌고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338쪽)
‘촛불집회의 헤게모니가 바뀌’기 때문에 촛불모임에 안 나온다는 ‘조직운동 활동가’는 얼마나 안쓰러운가. 그런데 ‘조직운동 활동가’는 촛불모임에만 안 나오지 않았다. 이들 ‘조직운동 활동가’는 ‘밀양송전탑 집회’에는 나왔되 ‘밀양성폭행 청소년’을 나무라는 일에는 팔짱을 꼈고, ‘다른 고장 송전탄 집회’에는 거의 얼굴을 안 내밀거나 아예 쳐다보지도 않았다. 여러 시민단체와 녹색당과 정의당도 똑같다. 이들은 ‘밀양송전탑’이나 ‘제주공항·제주해군기지’나 ‘세월호’에는 이름을 얹지만, 다른 웬만한 크고작은 말썽거리에는 코빼기조차 안 비치고 이름도 안 얹는다. 윤석열 때에 첫삽을 떴고, 문재인 때에 밑밥을 다진 ‘초고압직류송전 해저고속도로’가 있는데, 이 삽질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지 건드리거나 짚는 ‘진보·좌파·녹색’을 아직 못 봤다. 이런 일이 있는지조차 모르기 일쑤이다. 전남과 경남과 충남 바다에 ‘해상 풍력·태양광’을 잔뜩 때려박느라 몇 백 조를 썼는지 알 길조차 없는데, 시골에서는 전기를 쓸 일이 없으니까, 전남 바다부터 인천 앞바다까지 ‘초고압직류송전선’을 바다밑으로 깔아서 서울로 잇는 삽질을 2024년 봄부터 첫삽을 떴다. 최민희 씨는 이런 일을 알까? 알면서 입씻이를 할까? 그냥 모를까?
그대들이 힘(권력)을 잡는다고 해서 나쁠 일이란 없다. 그러나 좋을 일도 없다고 느낀다. “민중 속으로”를 외치고 싶다면, 1억 원이 넘는 돈이나 집이 있는 모든 사람은 국회의원이나 대통령이나 시·도지사나 군수를 할 수 없는 틀을 세우기를 바란다. 제대로 나랏일을 할 뜻이라면, 1억 원이 넘는 모든 돈과 집은 나라에 바치고서, ‘최저시급 월급’만 받으면서 일하기를 바란다. ‘운전기사 딸린 자가용’을 모두 없애고서 오직 ‘자전거’만 타거나 걸어서 움직이기를 바란다. 걸어다니지 않으면서 무슨 ‘민중’을 만나겠는가.
책이름은 《쉼 없이 걸어 촛불을 만났다》로 붙였지만, 최민희 씨나 ‘언더서클 운동권 권력’은 다들 ‘운전기사 낀 자가용’을 거느리는 벼슬자리를 얻어서 떵떵거리는, 오히려 뒤바뀐 민낯이라고 느낀다.
학생운동을 할 적에는 ‘공장체험’을 하러 그렇게 다니던 분들이 벼슬(정치권력)을 쥘 적에는 하나같이 서울을 비롯한 큰고장에서만 맴돈다. 전남 보성이나 경북 영양 같은, 아주 조그마한 군으로 ‘내려가’서 군수 선거에 나선다든지, 지자체 군의원이나 도의원부터 일한다든지, 이렇게 발바닥으로 애쓰려고 뛰어다니는 ‘운동권’이 있다면, 그리고 ‘농부체험’이라도 하려고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에 보름씩 틈을 내어 돌아다니는 ‘운동권’이 있다면, 그대들이 하는 말이 ‘내로남불’이 아닐 수 있겠지.
+
조국 일가를 융단폭격한 정도가
→ 조국 집안을 박살낸 짓이
→ 조국네를 짓이긴 꼴이
14쪽
본격적으로 언더서클 활동을 하고 있지 않았던 때라 시대적 맥락을 가지고 광주를 정리하기에는 버거웠어요
→ 아직 물밑모임을 하지 않던 때라 광주를 한줄기로 추스르기에는 버거웠어요
→ 아직 뒷동아리를 하지 않던 때라 광주를 곧게 알기에는 버거웠어요
2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