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지킴이 사진 선물 (사진책도서관 2014.11.2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지난 8월에 서울에서 사진잔치를 조촐히 열었다. 그때에 쓴 사진을 지난 토요일에 돌려받았다. 이 사진을 어떻게 할까 생각하다가,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가 시골에서 씩씩하게 서도록 돕는 ‘도서관지킴이’ 이웃님한테 하나씩 선물로 드리자고 생각한다.


  소나무판에 사진을 두 장씩 붙인 판이기에, 톱으로 반씩 가른다. 그리 안 두꺼운 소나무판이지만 반으로 가르는 데에 제법 품을 들여야 한다. 봉투에 손으로 주소를 쓰고, 도서관 소식지와 사진판을 넣어 테이프로 마감을 하려니 여러 시간이 든다. 이 일도 여러 날에 걸쳐서 조금씩 해야겠다.


  내가 톱질을 하고 봉투에 주소를 적는 동안, 두 아이는 도서관 둘레를 신나게 뛰어다니면서 논다. 나무타기를 하고 가랑잎을 주우면서 땀을 뻘뻘 흘린다. 그래, 멋져, 예뻐. 나무타기만큼 신나는 놀이가 또 어디에 있겠니. 다만, 너희가 아직 아귀힘과 팔힘이 모자라서 나무타기 시늉만 하고 나무를 오르지 못하지만, 한 살 두 살 먹는 사이 어느새 나무를 거뜬히 타고 오르리라 생각해.


  손글씨로 봉투질을 하기는 수월하지 않다. 그러나, 도서관지킴이 이웃님을 그리면서 주소와 이름을 하나하나 적는 동안 퍽 즐겁다. 앞으로 도서관지킴이 이웃님이 차츰 늘기를 빈다. 아무렴, 꾸준히 늘어날 테지.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4-11-21 0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함께살기님께서 손수 찍으시고 손수 소나무판 틀에 붙이신
사진들이 참으로 좋네요.^^
받으시는 분들 모두, 참 소중한 선물이 될 듯 싶습니다~^^*

숲노래 2014-11-21 06:32   좋아요 0 | URL
오늘내일 바지런히 잘라서 부치면
다음주에 닿을 듯해요.
appltreeje 님도 즐겁게 받아 주셔요 ^^
고맙습니다~
 


 삶말 18호 쓰기 (사진책도서관 2014.11.18.)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 소식지 〈삶말〉 18호를 쓰기로 한다. 지난달에는 어렵게 돈을 모아 소식지를 인쇄소에 맡겼으나, 이달에는 아무래도 돈을 모으기 힘들어 손으로 소식지를 쓴다. 16절 종이 앞뒤로 글을 손으로 또박또박 눌러서 쓰면 손목과 손가락과 팔뚝이 꽤 저리다. 여느 글을 쓸 적에는 그냥 쓰지만, 복사를 해야 하니 글씨가 굵고 짙게 나오도록 힘을 주니 손이 저릴밖에 없다.


  한 바닥은 도서관일기와 알림글을 넣는다. 다른 한 바닥은 어떻게 할까 하다가 통그림을 넣기로 한다. 살며시 눈을 감는다. 맨 처음 넣을 그림을 그린다. 마음으로 먼저 그린 뒤 사인펜을 든다. 별을 테두리만 먼저 그린 뒤, 별살이 퍼지는 모습을 그린다. 별살을 일곱 고리로 그리고 나서, 별 몸통에 ‘숲’이라는 낱말을 적는다. 꽃과 제비를 그린 뒤 개미를 그린다. 가시내와 사내 두 아이를 그린다. 별이 베푸는 별비를 그리고, 구름과 해와 눈과 나뭇잎과 씨앗과 물결을 골고루 그린다. 다시금 별을 까맣게 그린 뒤 나무로 해와 아이들을 둘러싸도록 그려 넣는다.


  인쇄소에 소식지를 맡기면 사진을 넣을 수 있고, 손으로 소식지를 쓰면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복사하는 돈은 얼마나 들까. 200부를 복사해야지.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잡지 <전라도닷컴> 2014년 11월호에 실은 글입니다.


..


시골도서관 풀내음

― 집에서 먹는 무화과



  시골과 도시는 어떻게 다를까 하고 가만히 헤아립니다. 나와 곁님은 도시에서 태어나 시골에서 지냅니다. 첫째 아이는 도시에서 태어나 네 살 적부터 시골에서 살고, 둘째 아이는 시골에서 태어났으며, 셋째 아이는 이듬해에 시골에서 태어납니다. 나와 곁님은 도시에서 살던 지난날을 그릴 수 있을 테지만, 우리 집 아이들은 도시살이를 그리기 어려우리라 느낍니다. 첫째 아이만 하더라도 도시에서 태어나 지낸 이야기를 얼마 못 떠올립니다.


  시골에서는 한 해 두 해 흐르는 결을 날마다 새롭게 느낍니다. 마당에서 자라는 나무를 느끼고, 밭자락에서 돋는 풀(나물)을 새롭게 만나며, 해마다 봄에 찾아오는 제비를 새삼스레 마주합니다. 해마다 똑같은 씨앗을 논밭에 심더라도 해마다 다른 기운을 느껴요. 철마다 다른 기운을 느끼고, 달마다 다른 기운을 느껴요.


  도시에서는 한집에서 열 해나 스무 해를 살기에 만만하지 않습니다. 삯을 치르며 지내는 집이라면, 다달이 치를 삯이나 해마다 오르는 전세에 살림이 기우뚱합니다. 도시에서는 한집에서 다섯 해나 열 해나 스무 해를 살더라도 ‘달라지는 결이나 흐름’을 잡아채기 어려워요. 한집에서 서른 해나 마흔 해를 살 수 있는 도시이기도 하지만, 도시에서 이쯤 살면 재개발 소리가 튀어나오면서 집이고 나무이고 몽땅 갈아엎습니다. 이른바 ‘고향’을 누릴 수 없는 도시입니다.


  고향이 없는 도시와 고향이 있는 시골은 무엇이 다를까요. 무엇보다 삶이 다릅니다. 고향이 있는 시골이란, 언제나 아늑한 보금자리입니다. 고향이 없는 도시란, 언제 어디로 떠나거나 옮겨야 할는지 까마득한 나그네입니다. 도시에서는 늘 ‘새로운 집으로 옮긴다’고 말하지만, 새로운 집이란 도시에 없어요. 모두 똑같은 집일 뿐입니다. 왜냐하면, 건물 모양새로는 새로움을 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야기를 낳지 않거나 이야기를 짓는 터전이 아니라면 하나도 새롭지 않습니다.


  나그네는 이곳저곳 두루 돌아다니면서 구경하기에는 좋겠지요. 그런데, 나그네는 먹고 입고 자는 살림을 스스로 건사할 수 없습니다. 이곳저곳 떠돌기 때문입니다. 한집을 아늑한 보금자리로 삼아서 지내는 시골사람은 어느새 ‘토박이’가 됩니다. 토박이는 먹고 입고 자는 살림을 스스로 건사합니다. 토박이는 이곳저곳 돌아다니지 않는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제 보금자리를 아름답게 일구기 때문에 굳이 다른 곳으로 가지 않습니다. 스스로 새로운 이야기를 제 보금자리에서 길어올리고, 언제나 새로운 노래를 제 삶터에서 부릅니다.


  올가을에 우리 집에서 ‘우리 뒤꼍 무화과나무’ 열매를 기쁘게 얻습니다. 무화과나무 곁에 있는 모과나무도 아이들 머리통만 한 굵고 단단한 알을 베풉니다. 차고 매서운 바람이 불기까지 ‘우리 집 무화과’를 즐깁니다. ‘우리 집 감’도 즐깁니다. 아이들을 불러 무화과알을 받거나 모과알을 받거나 감알을 받도록 합니다. 아이들이 키가 더 자라면 손을 뻗어 무화과를 딸 테고, 팔다리에 힘이 붙으면 나무를 타서 감을 따리라 생각해요.


  구월에서 시월로 넘어선 바람은 꽤 선선하고, 시월에서 십일월로 넘어서는 바람은 퍽 쌀쌀한데, 아침에 해가 떠서 한낮이 되면 볕이 퍽 포근합니다. 설렁설렁 겨울이 다가오는구나 싶은 이즈음, 마당과 뒤꼍과 옆밭에 새로운 싹이 오릅니다. 해마다 봄이 되면 돋는 봄풀이요 봄나물입니다. 봄풀이니까 가을풀도 될는지 모릅니다. 여름이 저물어 겨울이 다가오는 들과 숲은 우리한테 푸른 숨결을 나누어 주고 싶어 가을나물을 베풀는지 모릅니다. 봄까지꽃을 훑고 갈퀴덩굴을 똑똑 따며 민들레잎을 살짝살짝 끊습니다. 보들보들 보드라운 가을풀을 뜯어 비빔밥을 합니다.


  냠냠 맛있게 밥 한 그릇 비운 뒤, 익산에서 조촐히 살림을 가꾸는 문영이 님이 쓴 《내 뜰 가득 숨탄것들》(지식산업사 펴냄,2014)이라는 책을 읽습니다. 시골아이였고, 아이들 어머니였다가, 이제 정갈한 살림과 겨레말을 보듬고 싶은 넋을 가꾸는 작은 할머니 문영이 님은 “온누리는 보이지 않는 제 씨앗 사랑으로 꽉 짜여 있어, 그 힘으로 모든 숨탄것들이 살아가지만, 식물이나 동물에게서 애틋한 그 속내가 보일 때, 마음대로 심고 마음대로 쳐대는 사람이란 교만도 고개 숙는다(41쪽).” 같은 이야기를 적습니다. 살림 꾸리던 이야기, 아이들 돌보던 이야기, 밭 가꾸는 이야기, 나물과 꽃이랑 얽힌 이야기를 알뜰살뜰 여밉니다.


  할머니 한 분이 쓴 책은 할머니 이야기입니다. 학자가 들려주는 전문 지식이 아닙니다. 할머니 한 사람이 쓴 책은 할머니 삶입니다. 작가가 들려주는 문학이나 예술이 아닙니다.


  아이들과 들길을 걸으며 생각에 잠깁니다. 시골 아이와 시골 어른 마음자리에 들내음이 고루 스밀 수 있기를. 아이들과 들길을 자전거로 달리면서 생각을 기울입니다. 시골내기와 도시내기 마음밭에 들노래가 찬찬히 퍼질 수 있기를. 가을꽃을 똑똑 끊어서 머리에 꽂기도 하고, 두 손에 꽃을 들며 바람을 가르는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생각을 거듭합니다. 온누리에 고운 이야기꽃이 가득 필 수 있기를.


  슬기로운 할머니는 언제부터 슬기로울까 궁금합니다. 슬기로운 할머니는 아이들한테 어떤 이야기를 물려줄까 궁금합니다. 나는 머잖아 할아버지가 되어 우리 아이들과 새로운 아이들한테 어떤 슬기나 이야기를 물려줄까 하고 곰곰이 헤아립니다.


  아이와 함께 나무를 심는 사람이 어버이일까요. 아이와 함께 씨앗을 심는 사람이 어버이일까요. 아이와 함께 보금자리를 가꾸는 사람이 어버이일까요. 그러면, 어른이란 어떤 사람일까요. 아이와 함께 나무를 노래하고, 아이와 함께 씨앗을 사랑하며, 아이와 함께 숲집을 돌볼 줄 알 때에 어른이 되리라 느낍니다. 어디에서나 누구나 ‘우리 집 나무’와 ‘우리 집 열매’를 누린다면 생각을 아름답게 지어서 하루를 알차게 사랑하리라 봅니다. 4347.10.16.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도서관 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뛰놀기 (사진책도서관 2014.11.1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네 살 작은아이는 집에서든 길에서든 들에서든 도서관에서든 그저 콩콩 뛰고 통통통 달린다. 일곱 살 큰아이도 네 살 적에는 제 동생처럼 그야말로 어디에서나 신나게 뛰거나 달렸다. 다만, 일곱 살이 되고 보니, 뛰거나 달릴 적에는 뛰거나 달리지만, 동생과 달리 가만히 서서 책에 흠뻑 빠지는 재미를 안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본다. 까르르 웃고 떠들면서 달리다가 우뚝 멈춘다. 다시 까르르 웃고 떠들면서 달린다. 또 우뚝 멈춘다. 이러다가 다시 까르르 웃고 떠들면서 달린다. 이 아이들더러 ‘뛰지 말라’고 해도 될까? 이 아이들한테 ‘달리지 말라’고 해도 될까?


  아이들이 뛰거나 달리지 않아야 할 곳도 있으리라. 왜냐하면, 오늘날 문명 사회에서는 아이들이 다칠 만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이들만 다치지 않고, 문명 사회가 무너질 만한 것도 많다. 이를테면 공장이나 발전소에서 아이들이 뛰거나 달릴 수 없다. 송전탑 둘레에서 아무것이나 만질 수 없다. 고속도로를 가로지를 수 없고, 골프장에서는 꽃송이 하나조차 함부로 건드려서는 안 된다.


  어른들은 아이들더러 도서관이나 학교나 공공기관이나 건물이나 이런저런 곳에서 뛰지도 말고 달리지도 말라고 이르거나 윽박지른다. 다른 사람한테 피해가 된다고 말한다. 옛날 같으면 어른들은 꼭 한 마디만 했다. “얘들아, 밖에 나가서 놀아라.” 그러면, 아이들은 학교 밖이나 도서관 밖이나 집 밖에서 얼마나 마음껏 뛰어놀 만할까? 아이들은 도서관에서 신나게 뛰놀고 싶을밖에 없다고 느낀다. 아이들은 학교 골마루에서 그야말로 개구지게 뛰놀고 싶을밖에 없구나 싶다. 왜냐하면, 길이나 골목이나 동네나 집에서 도무지 뛰거나 구르거나 달릴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어른들은 우리 아이들한테 고무줄놀이를 물려주지 않는다. 아이들한테 온갖 놀이를 가르치지 않는다. 아이들은 놀이를 물려받거나 배우지 못할 뿐 아니라, 뛰거나 달리지도 못한다.


  도서관을 꾸린다고 할 적에 ‘폐교’ 자리에 들어가고 싶은 마음이 무엇이었나 하고 가만히 돌아본다. 다른 무엇보다 운동장 때문이다. 폐교 자리에 도서관을 세우면, 운동장은 아이들 놀이터가 될 수 있다. 어른한테는 너른 운동장이 이야기터요 쉼터이면서 쉼터가 된다.


  요즈음은 농약을 너무 많이 쓸 뿐 아니라, 농약이 몸에 나쁜 줄 아예 잊는 사람조차 많다. 시골에서 농약 안 치는 곳을 찾기 아주 어렵다. 그러나, 시골에서도 폐교 자리에는 농약을 안 친다. 아이와 어른 모두 걱정없이 뒹굴거나 뛰놀 뿐 아니라, 풀을 만지고 숲을 누릴 만한 곳은 시골에서 폐교 자리라고 느낀다.


  나는 어릴 적에 뛰놀기를 몹시 즐겼다. 국민학교를 다니면서 그야말로 날마다 쉬잖고 뛰어다녔다. 학교는 나한테 놀이터였다. 동네도 놀이터이지만, 운동장이 드넓고, 골마루가 긴 학교는 더없이 좋은 놀이터로 여겼다. 우리 아이들이 우리 도서관을 놀이터로 삼는 모습을 기쁘게 바라본다. 우리 아이들이 우리 도서관을 책터요 놀이터요 쉼터요 조그마한 숲으로 느낄 수 있도록 꿋꿋이 가꾸고 싶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푸른숲 도서관 (사진책도서관 2014.11.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시골에 깃든 우리 집과 도서관이 나아갈 길을 생각하면 늘 한 가지가 맨 먼저 떠오른다. ‘푸른숲’ 집과 도서관. 그리고, 푸른숲 집과 도서관은 ‘사랑’을 바탕으로 가꾼다고 느낀다. 사랑으로 가꾸는 푸른숲은 기쁘게 웃고 노래하는 곳으로 흐르리라 본다.


  푸른숲과 사랑과 기쁨, 이 세 가지를 어떻게 어우를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한다. 이 세 가지를 바탕으로 가꾸는 집과 도서관을 생각한다. 나부터 이 세 가지를 즐겁게 이루면서 살아야지 싶다. 나부터 이 세 가지를 슬기롭게 헤아리면서 땀을 흘려야지 싶다.


  책순이는 한 자리에 두 발이 멈추면 ‘읽’는다. 책순이는 두 발이 땅에서 떨어지면 ‘논’다. 사뿐사뿐 가벼운 발걸음으로 달음박질하는 아이들 뒤를 따른다. 가만히 보면, 나는 아이들 앞에서 갈 때보다 뒤에서 따를 때가 더 잦구나 싶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