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도서관에서 (사진책도서관 2014.8.2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전남 고흥으로 삶터를 옮기면서 도서관도 씩씩하게 지키기는 하는데, 우리 건물로 도서관을 지키지는 못하다 보니, 물과 전기를 못 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물과 전기 없이 용케 도서관을 건사한다. 마실물은 집에서 길어오고, 골마루를 닦는 물은 빗물을 썼다. 비가 와서 벽을 타고 빗물이 스미면, 이 빗물로 골마루를 닦았다. 비가 올 적에 밀걸레를 빨았고, 비가 개면 창문을 열고 눅눅한 기운을 뺐다.


  도시가 아닌 시골에 도서관을 두었으니, 도서관 책손은 도시에 있을 때와 견주면 아주 적다. 그러나, 시골에 깃든 사진책 도서관을 궁금하게 여기거나 사진을 좋아하는 이들은 먼길을 마다 하지 않고 찾아온다. 몇 시간 동안 차를 달려 찾아오는 책손이 있기에, 물과 전기 없는 이 낡은 폐교 건물에 도서관을 건사할 수 있구나 싶다.


  인천에서 사는 형이 지난달에 ‘뮤패드’를 장만해 주었다. 값은 아이패드와 견주면 반토막이면서 유에스비를 꽂을 수 있다. 메모리카드와 자판과 다람쥐를 붙여서 도서관에서 이 녀석으로 글을 써 보기로 한다. 집에서 전기를 채워 도서관에서 두 시간 즈음 써 보는데, 전기는 1/3 남짓 닳는다. 너덧 시간 동안 전깃줄 없이 쓸 수 있을 듯하다.


  전기를 쓰며 밤에도 불을 밝힐 수 있으면, 또 물을 쓸 수 있으면, 이곳 폐교 둘레에 있는 낡은 관사를 고쳐서 살림집이나 손님집으로 삼을 수 있겠지. 폐교에는 농약을 치는 사람이 없으니, 이곳에 깃들면 아늑하면서 조용하다. 포근하면서 즐겁게 숲내음과 풀숨을 먹을 수 있다. 이러면서 책이 함께 있고, 언제나 창문을 알맞게 열어 바람갈이를 한다면 곰팡이를 한결 덜 먹으리라.


  도서관과 살림집이 가까이에 있어서 걸어서 쉽게 오가지만, 둘이 똑 떨어진 대목이 아쉽다. 아니, 둘은 이렇게 떨어지지 말아야 했다. 그래야, 우리 살림집에 ‘일을 한다’는 구실로 책을 여러모로 쌓지 않아도 되었으리라. 살림집에서는 살림만 꾸리고, 책은 모두 도서관에 두어서 이곳에서 건사해야 하리라. 그래야, 집과 도서관을 오가는 동안 아이들도 한결 신나게 풀밭을 맨발로 밟으면서 놀 텐데.


  홀로 도서관에서 세 시간쯤 머물며 이것저것 손질하고 곰팡이를 닦는다. 아직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자꾸 피어나는 곰팡이를 다시 닦고 또 닦는 일’이다. 앞으로는 ‘곰팡이 닦기’가 아닌, 우리 도서관에 건사한 책들을 하나씩 펼쳐서 ‘이 책에 어떤 뜻과 꿈이 서렸는가 하는 이야기를 글로 풀어내어 이웃들과 나누는 일’을 하고 싶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꽃 2014-08-27 18: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집안의 책장들 먼지털기요~
오랜만이예요.ㅎㅎ

숲노래 2014-08-27 18:40   좋아요 0 | URL
아, 먼지는... 털기보다 걸레로 닦아야 하더라구요 ^^;;
먼지를 털면... 하늘로 붕 떴다가 다시 그 자리로 돌아가니까요~~~
 


 210만 원 (사진책도서관 2014.8.2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2011년에 고흥에 깃들면서 책꽂이를 늘려야 할 적에, 곁님은 나더러 ‘가장 좋은 책꽂이’를 짜자고 말했다. 나는 이 말이 가장 옳다고 느꼈지만, 혼자서 집일과 바깥일을 다 한다는 ‘핑계’를 들면서, 책꽂이 짜기를 안 하고, ‘다 만들어진(기성품) 책꽂이’를 두 차례에 걸쳐 들였다. 이러느라 들인 돈이 210만 원이다.


  세 해가 지난 2014년에 돌아본다. ‘다 만들어진 책꽂이’를 원목으로 하면 값이 꽤 나가기에 합판 책꽂이를 들였다. 합판 책꽂이는 시골에서 쉽게 곰팡이를 먹는다. 닦고 닦아도 다시 곰팡이가 핀다. 햇볕에 말릴 뿐 아니라, 해가 곧바로 드는 데에 책꽂이를 두어도 곰팡이가 핀다. 이와 달리, 나무(원목)로 된 책꽂이는 햇볕이 잘 들지 않는 데에 두어도 곰팡이가 안 핀다.


  여러모로 일이 많다 하더라도 천천히 책꽂이를 짜자고 생각했다면, 돈도 돈이지만 일이 한결 수월했으리라 느낀다. 다만, ‘다 만들어진 값싼 합판 책꽂이’를 잔뜩 들였기에, 책을 한결 빨리 풀어서 더 빨리 제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제자리를 잡은 책을 요즈음 다시 끄집어 내어 ‘나무 책꽂이’로 옮긴다.


  애써 사들인 합판 책꽂이를 차마 버릴 수 없다고 여겨 니스를 발랐는데, 니스를 발라도 곰팡이는 똑같이 핀다. 페인트를 바를까 하고 생각하다가, 페인트를 발라도 똑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를까. 똑같을까. 해 보면 알 테지. 그런데, 합판 책꽂이를 모두 끄집어 내어 페인트를 바르는 일하고, 나무를 새로 장만해서 책꽂이를 짜는 일하고, 어느 쪽이 우리 도서관에 걸맞을까. 아무래도 나무를 장만해서 천천히 책꽂이를 짜서, 책을 제대로 건사하는 쪽이 걸맞겠지.


  책꽂이를 옳게 갖추지 않으면 책이 다친다. 책이 다치면 도서관은 말짱 바보짓이 된다. 값있는 책을 하나하나 알뜰히 장만해서 갖추었다 하더라도, 책꽂이가 엉터리라면 책을 둘 수 없다. 지난 세 해에 걸쳐 곰팡이와 씨름을 하는 동안 ‘나는 참말 돈을 들여서 이렇게 배우네’ 하고 뒷통수를 쳤다. 괜히 몸을 힘들게 굴리면서 배운다. 앞으로는 뒷통수를 치지 말고 즐겁게 노래를 부르고 싶으니, 곁님이 들려주는 말을 귀여겨듣자. 무엇보다 ‘가장 나은 길’로 가자. 가장 나은 길로 가지 않으면 나 스스로 괴롭고, 우리 집안 모두한테 고단한 일이 되리라.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취재기자와 책손 (사진책도서관 2014.8.8.)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베스트 베이비〉에 도서관 기사가 나온 뒤, 두 군데 방송국에서 전화가 온다. 여러 날에 걸쳐서 다큐방송을 찍고 싶단다. 무엇을 찍고 싶은 마음일까. 우리 도서관과 식구를 얼마나 알기에 ‘다큐’를 찍겠다는 뜻일까. 〈베스트 베이비〉에서 찾아온 취재기자는 내 책을 즐겁게 읽고 나서 취재를 오고 싶었다고 했다. 나는 글을 쓰고 책을 내며 도서관을 꾸리는 사람이니, 내 글을 꾸준히 읽거나 내 책을 사서 읽거나 우리 도서관에 책손으로 드나들고 나서 취재를 하고 싶든 말든 말을 해야 옳다고 느낀다. 이녁 스스로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과 도서관을 어떻게 ‘다큐’로 찍을 수 있겠는가. 다큐란 눈요기나 겉치레가 아니다. 다큐란 삶을 담는 이야기이다.


  글을 쓰고 책을 내며 도서관을 꾸리는 사람을 만나고 싶으면, 이 세 가지 가운데 하나를 살피고 전화를 할 노릇이다. 아무것도 모르면서 만나기만 하면 무엇이 나올까. 이 나라 방송국 피디와 작가들이 으레 이런 모습이니, 이 나라에서 흐르는 방송(텔레비전)을 볼 마음이 하나도 없다. 반짝 하고 시청율 올리는 그럴듯한 그림을 그리려 할 뿐이니, 이런 방송을 보는 사람들 마음에 무엇이 남을 수 있겠는가.


  가만히 보면, 방송뿐 아니라 책이나 영화도 엇비슷하다. 천만 사람이 보았다는 영화 가운데 열 해나 스무 해뿐 아니라 서른 해나 마흔 해를 지나도록 아름다운 이야기가 흐르는 작품은 몇 가지가 있을까 궁금하다. 백만 권이나 십만 권쯤 팔린 책이 앞으로 백 해나 이백 해쯤 뒤에, 또는 오백 해나 즈믄 해쯤 뒤에도 널리 읽힐 만할까 궁금하다. 어쩌면 널리 읽힐는지도 모르지. 그런데, 널리 읽히는 책이 아름다운 사랑이나 꿈을 밝히는 책일까.


  내가 한국말사전 만드는 길을 걷고 싶다는 꿈을 어릴 적에 품은 뒤, 지난 스무 해 남짓 이 길을 걸어온 까닭을 문득 돌아본다. 제대로 빚은 한국말사전은 언제나 책상맡에 놓고 들여다보는 책이다. 제대로 빚은 한국말사전은 꾸준히 들여다보거나 살피면서 넋을 북돋우는 책이다.


  늘 책상맡에 둘 수 있을 때에 책이라고 느낀다. 책상맡이 아닌 책시렁에 둔다면 자료라고 느낀다. 책상맡에 두는 책은 ‘이야기를 배우는 책’이라고 느낀다. 책시렁에 두는 책은 ‘이야기를 되새기는 책’이라고 느낀다.


  시골 도서관 이야기가 잡지에 나왔으니, 이 잡지를 읽은 이들 가운데, 시골살이를 마음에 품는 이웃이 나타날 수 있기를 빈다. 느긋하고 넉넉하게 시골 도서관으로 마실을 다니는 이웃이 생길 수 있기를 빈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 며칠 사이

내 네이버블로그에 이웃추가 한 분이

수백 사람이 되기에

뭔 일이 있나 싶더니,

어떤 취재기사가 '네이버 팟캐스트'에 올랐다.

그렇구나.


나는 집에서 밥하느라 못 받은 전화를

곁님이 두 차례 받았는데,

두 군데 방송국에서

'휴먼 다큐멘터리'를 찍겠다고 연락이 왔단다.

곁님이 전화를 받아서

'안 찍을래요' 하고 말해 주었다.

씩씩하게 딱 잘라서 끊는 곁님이 고맙다.

내가 전화를 받았으면 우째 되었을까.


도서관일기에 따로 쓸 생각이지만,

취재기사가 나오면

외려 '또 다른 취재기자 연락'만 온다.

난 다른 취재기사를 바라며 

모처럼 인터뷰를 해 주지 않았거든.


책을 책답게 마주할 이웃이 있기를 바라면서

'책손'이 찾아오기를 바랄 뿐이거든.


..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97&attrId=&contents_id=63774&leafId=1085


<베스트베이비> 잡지에서 무척 고맙게도

취재기사를 사진을 곁들여

인터넷에 띄워 주었다.


아이들 데리고 자전거 타는 모습은

남이 사진으로 찍어 주어야 하는데

이렇게 이런 사진을 몇 장 얻기도 했다.


어쩌면, 나는 '자전거 타고 아이들과 노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혀서 건사하고 싶기에

취재를 받아들였나 보다.

맞아. 그렇구나.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4-08-19 1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우연히 서점에서 책을 들춰보다가 이 기사 실린걸 보게 되었어요. 언젠가 페이퍼에 올려주신게 이 기사였구나 생각이 나서 자세히 보았지요.
온식구가 함께 활짝 웃으며 있는 사진 속 모습이 참 보기 좋았어요.

숲노래 2014-08-19 12:50   좋아요 0 | URL
'활짝' 웃지 않아도 '그냥 웃는' 얼굴인데,
사진을 찍는 분들은 꼭 '활짝'을 바라서
여러모로 힘들기도 해요.

아무튼, 기사에 나온 "따옴표" 말은 편집자가 이렁저렁 섞어서 엮었어요.
'한국말을 곱게 살려서 쓰자'고 하는 사람은 "따옴표"에 나온 대로
말하지는 않았습니다 ^^;;;;

아무튼, 책방에서 보셨군요!
아무래도 종이잡지로 읽을 때가 제 맛이기도 해요~

더운 여름이 막바지를 지나
곧 가을로 접어들 듯하네요~~
다가오는 한가위 기쁘게 누리셔요~

2014-08-19 16: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화력발전소 취재 손님 (사진책도서관 2014.8.1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서울에서 동화를 쓰는 분이 손님으로 도서관에 찾아온다. 고흥군 도양읍 장수마을에서 나고 자라서 녹동고등학교까지 다닌 뒤 서울로 가셨다는데, 서울에서 특수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틈틈이 동화를 쓰신다고 한다. 지난 2013년에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동화로 뽑히셨다고 한다. 이즈음에 ‘시골살이’ 이야기와 ‘지자체에서 시골에 화력발전소 지으려고 하던 일’을 묶어서 동화로 쓰신다고 한다. 고흥에서 그때 일을 몸소 치른 사람들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으려고 하신단다.


  고흥군수와 군청 공무원이 화력발전소를 끌어들여서 포스코 돈을 타려고 하던 지난날을 돌이키면서, 그무렵에 쓰던 작은 알림천과 알림종이를 보여주고는, 포스코나 군청에서 몰래 만들어서 면사무소와 읍내 버스역에 수천 장씩 뿌린 ‘화력발전소 유치 추진위원회 선전물’을 하나 드린다. 포스코나 군청에서는 그때 주민들 눈과 귀를 속이려는 짓을 많이 했다. 우주기지에 핵발전소에 화력발전소에 …… 눈먼 막개발로 눈먼 돈을 얻어들이려 했다.


  고흥에서 화력발전소 계획을 쫓아낼 수 있던 힘 가운데 하나는, 그즈음 경상도 밀양에서 아주 크게 불거진 ‘송전탑’이기도 하다. 처음에 화력발전소 이야기가 나왔을 적에는 나로도 작은 마을 한쪽 이야기로만 여기다가, 밀양 송전탑 이야기가 온 나라에 퍼지자, ‘고흥반도 맨 오른쪽 끝에 있는 작은 마을부터 고흥반도 바깥으로 전기를 빼려면 송전탑을 곳곳에 박아야 할 텐데 어디에 박느냐’ 하고 그림을 그리니, 그때부터 주민들이 꽤 술렁거렸다.


  고흥에서 도서관을 꾸리면서 곰곰이 지켜보면, 고흥 바깥에서 고흥을 바라볼 적에 너나없이 ‘아름답고 깨끗한 바다와 들과 숲’을 말하지만, 고흥 안쪽에서는 온갖 쓰레기와 농약과 비닐과 비료로 더럽힌다. 군수도 군청도 고흥이 얼마나 깨끗하며 아름다운가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다. 공무원뿐 아니라 여느 교사조차 고흥을 깨끗하며 아름답게 보살피는 길을 헤아리지 못하기 일쑤이다. 고흥에서 지내는 여느 사람들도 이 시골마을이 아름다우면서 깨끗하게 돌보면서 누리는 길을 살피지 못하곤 한다.


  물이 맑게 흐르지 못하면 우리는 어떻게 살까. 바람이 맑게 불지 않으면 우리는 어떻게 살까. 풀과 나무가 푸르게 우거지지 못하면 우리는 어떻게 살까. 아주 뻔한 노릇이지만, 이렇게 뻔한 대목을 살피거나 들여다볼 줄 아는 사람은 어디에 얼마나 있을까.


  송전탑이나 발전소나 해군기지는 아주 자그마한 조각이다. 아주 자그마한 조각도 아름답게 돌볼 수 있어야 할 터이며, 삶을 이루는 오롯한 몸통이 무엇인가를 읽으면서 돌볼 수 있어야 한다고 느낀다. 인문책도 동화책도 모두 좋다. 그러나, 무엇보다 삶을 읽어야지. 삶을 읽어야 인문책도 동화책도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지.


  지난주까지 용을 쓰면서 책꽂이 자리를 거의 다 바꾸었는데, 새로 바꾼 책꽂이에도 곰팡이는 똑같이 올라온다. 쇠걸상을 받치고 바닥하고 꽤 높이 띄웠는데에도 곰팡이는 똑같이 올라오네. 어쩌나. 참말 어쩌나.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