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원 이야기
주호민 지음, 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 기획 / 애니북스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8.2.

읽었습니다 242



  시골에서 살지 않는 사람은 시골집이나 시골사람이나 시골길을 제대로 못 그립니다. 거꾸로, 서울에서 살지 않는 사람은 서울집이나 서울사람이나 서울길을 제대로 못 그립니다. 골목집에서 살지 않는 사람이 골목길이나 골목마을이나 골목꽃이나 골목나무를 제대로 그리기를 바란다면 터무니없습니다. 그래서 ‘골목마을 담그림(구도심 벽화)’은 하나같이 엉터리입니다. 스스로 살지 않는 마을 한켠 담벼락이니, 그저 ‘보기좋’거나 ‘이쁘장하’거나 ‘겉멋스럽’게 그립니다. 《제비원 이야기》는 ‘제비’라는 이름이 붙은 절집하고 얽힌 옛이야기를 풀어낸다고 하지만, 막상 ‘제비’가 어떤 새인지는 하나도 안 살핀 채 엉성하게 엮었습니다. 제비나 여러 작은새 노랫소리를 ‘지지배배’라고도 적으나, 참새는 ‘짹짹’하고 안 울고, 개구리는 ‘개굴개굴’ 하고 안 웁니다. 누리집(인터넷·유튜브)에 떠도는 그림만으로 제비를 구경하고서 제비를 그린다면 얼마나 엉성하고 엉터리일까요? 주호민 씨가 선보인 《신과 함께》도 마찬가지인데, 무슨 조선사람 한옷(한복)이 알록달록한지 알쏭달쏭하지요. 더구나 옛사람은 옷을 여러 벌 건사하지 않고 거의 ‘한 벌 살림’입니다. ‘한 벌’을 한 해 내내 입고, 구멍나면 기웁니다. 옛날 시골에서 어느 곳으로 가는 길이 ‘한길(넓다랗고 둘레에 아무것도 없는 길)’일까요? 그 옛날 시골 멧자락에 ‘잔디밭’이 있을까요? 그 옛날에는 ‘평상’이라는 일본 한자말이 없습니다. 19쪽 옷차림에 길도, 39·50쪽 제비 노랫소리도, 51·55·57·139쪽 제비집이나 알도, 65쪽 못도, 60·66쪽 평상도, 66쪽 풀집도, 83쪽 잔디밭도, 아니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엉성하고 엉터리인 이런 책이란, 오히려 ‘제비원’이라는 옛살림이며 옛이야기를 잘못 퍼뜨릴 뿐입니다. 서울이나 경기 일산 같은 데에서눈 제비를 보기 어렵다지만, 눈여겨보면 서울 한켠에서도 제비집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인천·부산·대구·광주·대전 같은 큰고장도 ‘새바라기’를 하는 사람들은 제비에 제비집을 만납니다. ‘제비원’ 이야기인데, 제비부터 이토록 엉망으로 옮기니, 다른 이야기인들 어떻게 다루었을는지는 쉽게 어림할 만합니다. 창피합니다.


ㅅㄴㄹ


《제비원 이야기》(주호민, 애니북스, 2014.6.13.)


+


무슨 일인데 사람이 이리 모여 있소

→ 무슨 일인데 사람이 이리 모였소

9쪽


쉿, 시작하나 보오

→ 쉿, 하나 보오

→ 쉿, 이제 하는군

9쪽


더 많은 조약돌을 얻는 쪽이 이기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 조약돌을 더 많이 얻는 쪽이 이깁니다

11쪽


지금까지 만든 너의 모든 작품 가운데 가히 으뜸이야

→ 여태까지 네가 지은 꽃 가운데 으뜸이야

→ 이제까지 네가 지은 살림 가운데 으뜸이야

14쪽


호사가들이란 원래 비교하기를 좋아하는 법이니까

→ 남말쟁이란 워낙 견주기를 좋아하니까

→ 재미쟁이란 으레 빗대기를 좋아하니까

→ 구경꾼이란 늘 비기기를 좋아하니까

25쪽


저희는 동가식서가숙하면서 절을 짓고 불상을 만들며 살죠

→ 저희는 떠돌면서 절을 짓고 빛돌을 깎으며 살죠

→ 저희는 나그네로 절을 짓고 하늘돌을 세우며 살죠

40쪽


부처님은 이미 이 안에 계신다

→ 밝은님은 이미 이곳에 계신다

→ 빛님은 이미 여기에 계신다

82쪽


무엇을 발원하고 계십니까

→ 무엇을 바라십니까

→ 무엇을 비십니까

115쪽


저를 끝까지 농락하시는군요

→ 저를 끝까지 놀리시는군요

→ 저를 끝까지 골탕먹이는군요

1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https://blog.naver.com/hbooklove/223172532646

(제비 동영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미에의 사법풍자화 - 열화당미술문고 204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 열화당 / 199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3.8.1.

읽었습니다 240



  ‘열화당 미술문고’라는 이름으로 나온 작고 가벼운 책이 있습니다. 열화당에서는 이웃나라 책에 글삯을 안 치르고서 오래도록 팔았습니다. 1999년 12월 31일에서 2000년 1월 1일로 넘어갈 즈음, 이제는 ‘국제저작권법’에 따라 글삯을 안 치르면 더는 팔 수 없었는데, 그때에 열화당은 ‘여태까지 글삯 안 치르고서 팔았기에 잘못했습니다’라든지 ‘여태까지 몰래팔며 몰래먹은 돈을 뱉어내겠습니다’ 같은 말을 한 마디도 안 했습니다. ‘열화당 미술문고’를 비롯한 ‘이웃나라한테서 훔친 책을 50% 에누리로 팔아치우기’를 했을 뿐입니다. 이런 뒷낯을 모르는 채 《도미에의 사법풍자화》를 처음 만나던 무렵에는 ‘오노레 도미에’가 참 대단하구나 싶었는데, 이런 뒷낯을 들여다보면서 2000년을 지나고 2023년까지 이르니, ‘도미에 익살그림(풍자화)’은 바로 우리 민낯과 속낯을 환히 드러내는 얼거리이네 싶어요. 익살그림이 나무라는 뜻을 등지고서 책을 내거나 읽는다면 무슨 마음일까요?


《도미에의 사법풍자화》(구스타프 라드브르후/최종고 옮김, 열화당, 1981.3.5.첫/1994.12.20.재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가의 여관 - 나혜석.김일엽.이응노를 품은 수덕여관의 기억
임수진 지음 / 이야기나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3.8.1.

읽었습니다 241



  ‘나혜석·김일엽·이응노를 품은 수덕여관’을 다룬다고 하는 조그마한 꾸러미 《예술가의 여관》을 읽으면, ‘세 사람’이 아닌 ‘한 사람 나혜석’ 이야기가 거의 다 차지합니다. 그런데 나혜석 이야기나 김일엽·이응노 이야기 모두 ‘여태 나온 다른 책’에서 따온 글이라고 느껴요. 글쓴이가 느끼고 보고 헤아린 이야기를 담으면 될 텐데, 왜 여태 다른 사람들이 갈무리한 줄거리를 따와야 할까요? 차라리 나혜석·김일엽·이응노 세 분이 손수 쓴 글을 읽는 길이 낫다고 느낍니다. 이러다 보니, 세 사람 이야기도 새삼스레 찾아볼 대목이 없을 뿐 아니라, 막상 ‘수덕여관’이라는 곳이 어떤 쉼터이자 터전이었는가 하고 느낄 만한 대목도 얕고 옅습니다. 더 할 말조차 없습니다.


ㅅㄴㄹ


《예술가의 여관》(임수진, 이야기나무, 2016.2.15.)


찾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손님들의 쉼터가 되었습니다

→ 찾는 이가 늘면서 쉼터가 되었습니다

→ 찾는 이가 늘면서 손님들이 쉬어 갑니다

10쪽


3명의 손님에 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 손님 셋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 손님 세 분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17쪽


손님들은 떠나고 깨끗이 비워졌지만 나는 그들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 손님은 떠났지만 자취는 그대로입니다

→ 손님은 떠났지만 발자취는 있습니다

19쪽


그녀의 이름은 나혜석

→ 이름은 나혜석

→ 그이는 나혜석

22쪽


나혜석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다

→ 나혜석을 다르게 읽는다

→ 나혜석을 보는 눈은 갈린다

6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시 상상 노트 - 발로 찾은 도시재생 아이디어
제종길 지음 / 자연과생태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3.7.15.

읽었습니다 237



  제종길이라는 분이 안산시장으로 얼마나 일을 잘 했는지는 모릅니다. 다만, 온나라 벼슬아치를 돌아보면, 안산시를 푸르게 가꾸는 길에 여러모로 이바지했다고 느낍니다. 벼슬(정치)을 하든, 길잡이(교사)를 하든, 또 집안일이며 집살림을 하든, 누구나 글을 써서 책으로 여밀 노릇입니다. ‘스스로 걸어온 길을 꾸러미 하나로 여밀’ 수 있을 때라야, 비로소 삶도 일도 하루도 오롯이 일군다고 느껴요. 《도시 상상 노트》는 안산이라는 고장뿐 아니라, 우리나라 여러 고장이 저마다 마을빛을 밝힐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습니다. 매우 알차다고는 여기기 어렵되, 이만큼 바라보고 갈무리해서 이야기를 들려주는 눈높이는 되어야 ‘시장·군수·도지사·교육감’ 자리를 맡을 만해요. ‘적어도 이만큼부터’예요. 여러 나라를 돌아보면서 배우기도 해야 할 텐데, 언제나 ‘우리 마을부터’ 천천히 거닐고 돌아보고, 또 ‘마을사람’으로서 수수하게 살림·집안일을 할 적에 마을빛을 깨닫습니다.


ㅅㄴㄹ


《도시 상상 노트》(제종길 글·이호중 그림, 자연과생태, 2018.3.1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나미 153 연대기
김영글 지음 / 돛과닻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3.7.15.

읽었습니다 238



  한때 ‘모나미 글붓’만 썼으나, 이제 더 안 쓴 지 꽤 됩니다. 싸움터(군대)에서 보내던 1995∼97년에도 강원 양구 멧골짝에서 이 글붓을 썼어요. 《모나미 153 연대기》를 읽으며 새삼스레 ‘우리나라 글붓’을 다시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나라사랑(애국)’을 내세워 ‘엉터리 세간’을 그냥그냥 참으며 쓰도록 억누르고 닦달했는데, ‘잘 만든 우리나라 살림’을 이웃나라에 자랑하고 팔아야 한다면, ‘엉터리 우리 것’은 걷어치우고서 ‘잘 빚은 이웃나라 살림’을 들일 노릇이라고 봅니다. ‘모나미 글붓’에 바친 돈과 품과 해가 참 길었습니다만, 조금만 추워도 얼고, 조금만 더워도 퍼지고, 조금만 힘을 줘도 부러지거나 공이 빠지고, 조금만 조금만 조금만 …… 뭘 해도 엉터리투성이였습니다. 미움(저주)이 아니라, 그분들은 ‘사람들이 팔아준 보람’을 뭐에 바쳤는지 알 길이 없어요. 이 책은 ‘모나미가 왜 얼마나 어떻게 엉터리’인지를 딱 하나만 짧게 적었기에 따분합니다.


ㅅㄴㄹ


《모나미 153 연대기》(김영글, 돛과닻, 2019.11.14.)



영원히 되풀이되는 일종의 구전동화일 수 있다

→ 언제까지나 되풀이하는 옛이야기일 수 있다

→ 오래오래 잇는 옛날얘기일 수 있다

1쪽


미모의, 그리고 묘령의 여성은

→ 예쁘고 꽃다운 순이는

→ 곱고 꽃같은 아가씨는

23쪽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양으로 볼펜 입구에 쌓이는 그것

→ 누구도 못 따를 부피로 돌돌붓 어귀에 쌓이는

→ 글붓 앞에 엄청나게 쌓이는

46쪽


새마을운동의 미덕이 되었다

→ 새마을바람에 꽃이 되었다

→ 새마을바람을 빛내 주었다

→ 새마을바람을 밝혀 주었다

7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