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기대지 않기

 


  대청마루를 손바닥으로 쓸다가 손끝을 길게 벤 탓에 여러 날 물 만지기 힘들었다. 어제부터 제법 아물어, 이제는 물을 만져도 쓰라리지 않다. 벤 자리가 아직 달라붙지 않고 살짝 벌어졌기에 물을 만지면서도 살짝 걱정스럽기는 하지만, 아무렇지 않게 물을 만진다. 쌀을 씻고 설거지를 하며 밥을 짓는다.


  손가락을 다친다든지 어디 아프다든지 이럴 때에는, 살짝 기대고픈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럴 때에 기대지 않는다. 이럴 때에 기댈 만하다면 여느 때에 곁님이 씩씩하게 일어서서 살림을 다부지게 일구지 않았겠느냐고 느낀다. 여느 때에 씩씩하게 일어설 수 있도록 조용히 기다리면서 지켜보아야 한다고 새삼스레 느낀다. 그래서, 다친 손가락으로 어떻게 밥을 짓고 물을 만지며 빨래를 해야 할까 하고 가만히 헤아린다. 우리 어머니가 젊을 적에 어떻게 집살림 건사하셨을까 하고 곰곰이 그린다. 지난날 어머니들은 아버지한테 조금도 기댈 수 없었다. 지난날 어느 아버지가 집일을 건사했는가. 지난날 어느 아버지가 밥을 짓거나 빨래를 하거나 청소를 하거나 아이들을 맡아 돌보거나 했는가. 더러 집일을 살뜰히 나누어 맡는 분들 있었을 테지만, 즐겁거나 씩씩하게 먼저 나서서 집일을 알뜰살뜰 가꾸려 한 사내는 아주 드물다.


  모르는 일이지. 조선 사회가 되며 가부장 제도가 뿌리를 내려 이렇게 되었는지 모르는 일이지. 고려나 고구려나 가야나 백제나 발해 같은 때에는 가부장 제도 아닌 ‘함께 일하고 함께 나누며 함께 일구는 살림’이었는지 모를 노릇이지. 왜냐하면, 어느 역사책에도 여느 시골마을 여느 살림집 이야기를 안 담으니까, 책으로는 알 수 없지. 그러나, 조그마한 시골마을이라든지 깊은 숲속 멧골집을 떠올리면, 이러한 집에서 ‘아버지라서 집일 안 해도 되는’ 삶은 없었으리라 느낀다. 사내이건 가시내이건 나무를 하고 장작을 패며 불을 지펴 밥을 지을 줄 알아야 했으리라 느낀다. 사내도 가시내도 나물을 캐고 풀을 뜯으며 씨앗을 심을 줄 알아야 했으리라 느낀다. 절구질을 누구나 해야 했을 테고, 멧돌질도 서로 도우면서 함께 했겠지.


  오늘날 사회는 ‘남녀평등(또는 여남평등)’을 이야기하는데, 막상 마을 이웃이나 도시 이웃을 살펴보면, 평등보다는 푸대접과 외곬로만 나아가는 듯하다. 현대 사회나 도시 사회는 더더욱 ‘어머니가 집에서 할 일’이 늘거나 많을 뿐, ‘아버지가 집에서 할 일’이 무엇인지 알려주지 않고 보여주지 않으며 말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국민학교에서 가시내와 사내 가리지 않고 밥하기·뜨개질·톱질을 가르쳤다. 예전에는 손위인 누나이든 형이든 오빠이든 언니이든, 손아래인 동생을 돌볼 줄 알아야 했다. 사내라서 동생을 안 돌봐도 되지 않았다. 가시내만 동생을 돌봐야 하지 않았다. 그런데 참말 오늘날은 어떤 모습일까. 오늘날 젊은이는 집일을 얼마나 알까. 오늘날 푸름이는 집살림을 얼마나 물려받거나 배울까. 오늘날 아이들은 동생을 얼마나 아끼거나 사랑하면서 돌볼 줄 알까.


  손가락을 다쳐 며칠 끙끙 앓으며 집살림을 새삼스레 돌아본다. 나 스스로 한결 알차고 알뜰히 일손을 찾아보라는 뜻 아닐까 하고 헤아린다. 이제 손가락은 거의 아물었고, 깊은 밤에 부시시 깨어나, 아침에 식구들 먹을 밥을 지을 수 있도록 누런쌀을 밥냄비에 부어 잘 씻어서 불린다. 저녁에 안 하고 남긴 설거지를 한다. 한겨울에는 밤에 따로 물을 틀어 설거지를 해야 물이 안 언다. 고흥은 겨울에 물을 안 틀고 지내도 안 얼기는 하지만, 퍽 추운 다른 고장에서 살던 버릇이 있어, 따뜻한 곳에서조차 밤에 한두 시간마다 일어나 물을 틀어서 살핀다. 4346.12.18.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울에 풀 먹기

 


  풀을 먹으려면 들이나 밭둑에서 뜯어 그 자리에서 먹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기른 풀을 가게에서 사다 먹기도 한다. 들이나 밭둑에서 뜯은 풀을 물에 헹구기도 하고 안 헹구기도 하지만, 물에 헹굴 적에는 여름이든 겨울이든 찬물로 헹군다. 여름에는 손이 시원하구나 하고 느끼지만, 한참 헹구다 보면 무척 차갑다. 겨울에는 손가락마디가 어는구나 싶도록 차다. 그렇지만, 아이들과 함께 풀을 먹고 싶어 이 겨울에도 손가락마디 꽁꽁 얼면서 풀을 헹군다. 예쁜 꽃무늬 있는 접시에 풀을 얹는다. 소복소복 얹어서 함께 먹는다. 아이들이 한 입 두 입 먹는 모습 보면서 살그마니 손이 녹는다. 젓가락질 익숙하지 않지만 씩씩하게 익히는 작은아이한테 젓가락으로 풀을 집어서 건네며 손가락에 따순 기운이 감돈다. 4346.12.17.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밴드 한 통

 


  오른손 셋째손가락 첫 마디가 죽 찢어져 며칠 동안 손을 제대로 못 썼다. 설거지도 걸레질도 빨래도 퍽 번거로울 뿐 아니라, 손끝이 자꾸 따끔거렸다. 작은 생채기로도 아무런 일조차 하기 힘들거나 싫을 만큼 달라진다고 또 한 번 느낀다. 손가락마디만큼 째졌으니 작은 생채기는 아니랄 수 있는데, 이만 한 생채기는 집일을 하거나 흙일을 하는 사람 누구나 으레 생기기 마련이라고 느낀다.


  며칠 사이에 밴드 한 통을 다 쓴다. 일할 적에는, 그러니까 설거지를 하고 밥을 차릴 적에는, 아이들 씻기고 빨래를 할 적에는, 글을 쓰고 걸레질을 할 적에는, 참말 손끝을 밴드로 단단히 감싸야 한다. 찢어져서 벌어진 틈이 곧 아물기를 바라며 밴드를 대어 단단히 조인다. 반지도 시계도 목걸이도 모두 성가시다고 여겨 아무것도 안 하는 터라, 밴드를 손끝에 감을 뿐인데에도 몹시 힘들다. 그렇다고 밴드를 벗기면 아무것도 못 한다.


  손끝이란 작은 곳일까. 손가락이 잘리거나 부러지지 않았으니, 팔이 잘리거나 부러지지 않았으니, 아무것 아닌 작은 하나로 여겨도 될까.


  아이들은 아주 작은 한 가지 때문에 웃기도 하지만 울기도 한다. 어른들은 아주 작은 한 가지 때문에 즐거워 하기도 하지만 토라지거나 골을 내거나 등을 돌리거나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작은 하나란, 어찌 보면 모두라 할 수 있고, 온 삶 다스리거나 움직이는 밑바탕일 수 있다. 작은 씨앗 하나에서 우람한 나무가 자라나니, 작은 생채기라 하더라도 알뜰히 살피고 돌보면서 몸을 가꾸어야지 싶다. 아이들 마음밭에 작은 사랑씨앗을 언제나 꾸준히 뿌리는 삶인 줄 다시금 돌아보아야지 싶다. 아이들이 웃을 적에 나도 웃고, 아이들이 노래할 적에 나도 노래하는 삶 누려야지 싶다. 4346.12.17.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밥은 내가 차리지만

 


  우리 어머니 아버지가 나를 낳으셨지만, 내 삶은 나 스스로 일굽니다. 내 삶은 우리 어버이가 이끌 수 없습니다. 우리 어버이는 이녁 삶을 고이 나한테 보여줄 수 있지만, 나는 어버이한테서 삶을 배우거나 받아들일 뿐, 내가 걸어갈 길은 언제나 스스로 찾아서 살피고 가꿉니다.


  곁님과 나는 우리 아이를 낳았지만, 아이 삶은 아이 스스로 일굽니다. 아이 삶은 곁님도 나도 이끌 수 없습니다. 곁님과 나는 아이한테 두 어버이 삶을 찬찬히 보여줄 수 있지만, 나는 아이한테 삶을 보여주거나 알려줄 뿐, 아이가 걸어갈 길은 언제나 아이가 스스로 찾아서 살피고 가꿉니다.


  밥은 내가 차립니다. 아이는 어버이가 차린 밥을 맛나게 받아먹습니다. 풀밥을 차리건 만두국을 하건 된장국을 내밀건 고구마소시지볶음밥을 하건, 때로는 라면이나 국수를 삶건, 아이는 어버이가 내주는 밥을 즐겁게 받아먹습니다. 어버이인 나는 아직 어린 아이 입에다가 밥을 떠넣어 줄 수 있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기운을 내어 씹고 삼켜서 삭혀야 합니다. 내가 씹어 줄 수 없고, 삼켜 줄 수 없으며, 삭혀 줄 수 없어요. 젖떼기밥을 먹는 몇 달 동안 어버이가 입으로 씹어서 아이한테 내밀기도 하지만, 어버이가 입으로 씹어서 주더라도 아이 스스로 받아먹어야지요.


  아이들은 어버이가 낳아요. 아이들은 어버이가 하는 말을 배우고, 어버이가 꾸리는 삶을 배우며, 어버이가 지내는 터를 고향으로 삼아요. 그렇지만, 아이는 아이랍니다. 아이는 스스로 빛나요. 스스로 아름답고, 스스로 사랑스럽지요.


  아이들한테 밥을 차려 주고, 밥상에 나란히 앉아서 먹다가, 작은아이 숟가락을 보고는, 무언가 하나 깨닫습니다. 내가 우리 어버이한테서 제금나서 따로 살듯, 나는 내 길을 걷는 만큼, 우리 아이들도 스스로 하고픈 일을 찾아 스스로 눈빛을 밝힐 테고, 스스로 삶길을 걸어가겠지요.


  많이 어린 요즈음에도 아이들은 저희끼리 놀지, 어버이가 놀아 줄 수 없어요. 어버이는 아이들이 놀 적에 곁에서 살짝 거들 뿐입니다. 아이들 놀이는 아이들 스스로 찾고 캐내며 누려요. 아이들더러 흙놀이는 이렇게 하라고 이야기할 수 없어요. 아이들더러 고무줄놀이나 소꿉놀이는 저렇게 하라고 이끌 수 없어요. 아이들 스스로 놀고픈 대로 놀 뿐이에요. 아이들이 오 분만 놀아야 하지 않아요. 아이들이 한 시간 동안 놀아야 하지 않아요. 아이들은 저희 삶결과 몸과 마음에 맞추어 차근차근 놀고 뛰며 먹고 자고 움직이며 노래합니다.


  밥은 내가 차리지만, 숟가락질은 아이가 합니다. 푸른 숨결은 나무와 풀이 베풀지만, 우리 스스로 즐겁게 들이마십니다. 해는 날마다 뜨고 지지만, 햇볕과 햇빛과 햇살은 나 스스로 들에 서서 온몸으로 맞아들입니다. 스스로 사랑하고, 스스로 꿈꿉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삶을 짓습니다. 4346.12.16.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흔 살과 스무 해

 


  나한테 새해는 마흔 살이 되는 해이다. 나는 스무 살부터 어버이 집에서 따로 나와서 혼자 살림을 꾸렸으니, 살림을 꾸린 지 꼭 스무 해째 되는 해가 되기도 한다. 마흔 살 가운데 반토막을 집일을 나란히 하는 삶으로 누린 셈이다.


  아침에 마룻바닥을 맨손으로 쓸다가 그만 오른손 셋째손가락을 크게 벤다. 핏물이 똑똑 떨어진다. 웬만큼 베어서는 손가락이든 다리이든 어느 곳이든 아무것도 안 바르고 안 붙이는데, 오늘만큼은 빨간약으로 소독을 하고 밴드를 두른다. 그런데 퍽 성가시다. 안 하다 하니 그런 듯하다. 푼다. 그런데, 풀자마자 벤 자리가 벌어진다. 다시 피가 날 듯하다. 이번에는 하얀 그물천을 대고 돌돌 감는다. 더 도톰하다.


  설거지는 할 수 있을까. 빨래는 할 수 있을까. 밥은 지을 수 있을까. 에휴 한숨 한 번 쉬다가 그대로 자판을 두들기고 빗질을 하고 밥을 짓는다. 설거지는 왼손으로 한다. 칼질을 하고 고구마를 헹군다. 무를 썰고 국을 끓인다.


  지난날 돌이키면 손가락이든 발가락이든 이곳저곳 곧잘 다쳤다. 제대로 마음을 쓰지 않아 다치고, 몸을 함부로 굴리다가 다쳤다. 손끝이 살짝 베더라도 신문을 돌리려 자전거를 몰 적에 번거롭다. 무릎을 다치거나 어깨를 다쳐도 신문배달뿐 아니라 글쓰기와 청소와 밥하기 모두 고단하다. 어느 한 곳 다칠 때에는 다음에 이렇게 다쳐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한다. 다치면 아파서 안 좋다기보다 집일과 집살림 모두 여러 곱 힘을 들여야 하니까.


  밥을 하고 설거지를 하다가 그물천은 젖어서 벗긴다. 벤 자리는 아직 아물지 않는다. 넓직한 밴드를 새로 붙인다. 저녁까지 이대로 두고 잘 때에 벗겨야겠다. 밥은 알맞게 익고 국도 이럭저럭 익는다. 달걀도 다 삶았으니, 조금 뒤 아이들 부엌으로 불러 밥을 먹여야지.


  다른 사내들은 혼인을 하면 집일을 거의 안 하거나 아주 적게 할 텐데, 나는 혼인하기 앞서부터 언제나 집일을 혼자 맡아서 했고, 혼인한 뒤로도 집일을 도맡아 한다. 아이들과 함께 지내고, 모든 살림을 고만고만하게 다스리면서 하루를 누린다. 집일과 집살림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아이들한테 제대로 마음을 쏟지 못하는 곁님과 지내니 여러모로 일거리가 그득그득 쌓인다. 이렇게 지내니 책방마실은커녕 집에서 느긋하게 책을 펼칠 겨를조차 모자란다. 그러면 나는 슬프거나 힘든 삶일까. 아무것도 못하는 삶일까. 틈이 없어 글을 못 쓸까.


  집일을 도맡으니 외려 더 글을 많이 쓸 수 있다고 느끼기도 한다. 늘 새롭게 글을 쓰고 책을 읽기도 한다고 느낀다. 밥을 짓는 글을 쓰고, 국을 끓이는 책을 읽는다. 아이들과 살아가는 글을 쓰고, 아이들 놀이를 함께 누리는 책을 읽는다. 손가락이 다치면 다치는 대로 재미난 글을 쓸 만하고, 손가락이 나을 무렵 새삼스러운 책을 읽는구나 싶다.


  내 나이 스무 살이던 지난날은 우리 어머니가 이녁 작은아이와 누린 스무 해였겠지. 그무렵 어머니는 어떤 넋과 삶과 말로 하루를 누리셨을까. 앞으로 우리 아이들 스무 살 나이가 되면, 내가 우리 어버이와 제금을 나며 살던 무렵 어머니가 느꼈을 마음이 될까. 이제 천천히 첫 걸음 내디디는 삶이 아닐까 하고 돌아본다. 4346.12.14.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