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4 : 분노 레이저 그의 조준 발사


내 눈에서 이글거리는 분노 레이저가 그의 머리를 조준한다. 발사!

→ 내 눈은 이글거리며 그이 머리를 겨냥한다. 쏴!

→ 이글거리는 눈으로 그 사람 머리를 겨누고 쏜다!

《호두나무 작업실》(소윤경, 사계절, 2020) 25쪽


활활 타오르는 마음인 ‘부아’나 ‘성’은 ‘이글거리다’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글거리는 분노”는 겹말입니다. 이 글월을 보면 “내 눈에서 … 조준한다”인 얼거리예요. 여러모로 엉성합니다. “나는 눈으로 … 겨눈다”로 바로잡습니다. “이글거리는 눈으로 본다”로 손볼 수 있고, “이글거리며 노려본다”로 손볼 만합니다. 일본말씨인 “조준, 발사!”는 “겨냥. 쏴!”나 “겨누고 쏜다!”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분노(憤怒/忿怒) :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또는 그렇게 내는 성 ≒ 분에

조준(照準) : 1. 총이나 포 따위를 쏘거나 할 때 목표물을 향해 방향과 거리를 잡음 2. 둘 이상을 대조하여 보는 표준

발사(發射) : 활·총포·로켓이나 광선·음파 따위를 쏘는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5 : -ㄹ 게 많다


아이는 배울 게 참 많다

― 아이는 우리를 가르친다

→ 아이한테서 배운다

《어린이의 여행법》(이지나, 라이프앤페이지, 2023) 60쪽


무늬는 한글이어도, 얼개가 우리말씨가 아니기 일쑤입니다. “아이는 배울거리가 많다”처럼 쓰는 글이 아주 터무니없지는 않으나, 아이를 마치 사람이 아니라는 듯 여기는 얼개입니다. 아이를 있는 그대로 사람으로 바라본다면, “아이는 늘 가르친다”나 “아이는 언제나 가르친다”나 “아이는 무엇이나 가르친다”처럼 글을 쓰고 말을 하게 마련입니다. 또는 “아이한테서 배운다”라 할 테고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7 : 운전 -ㄴ 로망 가지고 있었다


나는 운전에 대단한 로망을 가지고 있었다

→ 나는 부릉부릉 몰고 싶었다

→ 나는 손수 몰고 싶었다

《어린이의 여행법》(이지나, 라이프앤페이지, 2023) 17쪽


남이 모는 곳에 탈 수 있으나, 손수 몰고 싶을 만합니다. 스스로 몰면서 바람을 가르고 싶을 만합니다. 꿈을 품어요. 이루려고 하는 일을 가만히 그려서 마음에 담습니다. 보기글에서 “대단한 로망”은 옮김말씨에 일본말씨입니다. ‘-ㄴ’으로 적으니 옮김말씨요, 프랑스말 ‘roman’을 ‘로망’으로 읽으니 일본말씨입니다. “가지고 있었다”도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섞여 얄궂습니다. ㅅㄴㄹ


운전(運轉) : 1. 기계나 자동차 따위를 움직여 부림 2. 사업이나 자본 따위를 조절하여 움직임

로망(<프>roman) : [문학] 12∼13세기 중세 유럽에서 발생한 통속 소설. 애정담, 무용담을 중심으로 하면서 전기적(傳奇的)이고 공상적인 요소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로맨스(romanc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8 : 하지만 공부 것 나의 일천


하지만 고작 열 달 공부한 것으로 나의 스페인어는 일천했다

→ 그렇지만 고작 열 달 배운 스페인말은 얕았다

→ 그러나 고작 열 달 배운 스페인말은 허술했다

《어린이의 여행법》(이지나, 라이프앤페이지, 2023) 86쪽


‘그러나’를 ‘러나’나 ‘나’로 줄여서 쓰지 않듯 ‘그렇지만(그러하지만)’을 ‘지만·하지만’으로 줄이지 않습니다. 말을 배워서 쓰는데, 열 달은 짧거나 모자랄 수 있어요. 아직 어설프거나 얕을 만합니다. 엉성하거나 허술할 수 있습니다. 어설프니 다독입니다. 엉성하니 추스릅니다. 얕으니 다지고, 허술하니 채웁니다. ㅅㄴㄹ


공부(工夫) :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

일천(日淺) : 시작한 뒤로, 날짜가 얼마 되지 아니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4.24.

오늘말. 물


어디에서나 물을 마십니다. 시골집에서는 멧골에서 샘솟는 물을 마십니다. 서울에서는 내도 가람도 아닌 꼭지를 틀면 나오는 물을 마십니다. 물마다 빛결이 다릅니다. 시골물에는 숲빛이 서리고, 서울물에는 매캐하거나 어지러운 빛깔이 섞입니다. 누구나 샘물을 마신다면 샘처럼 새롭게 빛나는 하루를 누립니다. 누구나 샘물을 모른다면, 그만 빛기운이 모자란 나머지 자꾸 싸워요. 안팎으로 다투거나 치고받더군요. 자꾸 부딪치면서 미워하고 말아요. 숲에서 비롯하는 숲물을 마시는 사람은 엇갈리지 않아요. 들에서 퍼지는 들물을 머금는 사람은 들끓거나 툭탁거리지 않습니다. 가두리에 고이고 만 물을 마셔야 하니 내처 갈리면서 으르렁거립니다. 새벽마다 잎에 맺는 이슬을 마시는 풀벌레하고 새하고 숲짐승은 포근히 어우러지는 숲살림을 헤아립니다. 잎물도 꽃물도 잊은 채 꼭짓물에 갇힌다면, 빛접은 물빛이 비었으니 어느새 처지면서 어둡게 잠깁니다. 해는 빈자리에도 비춥니다. 들숲바다뿐 아니라 서울도 비추고 귀퉁이도 고르게 비추는 해예요. 비는 어디에나 내립니다. 비가 안 내리는 곳은 없습니다. 봄날에 봄빛으로 물들면서 봄노래이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안다툼·안싸움·집안싸움·집싸움·갈리다·엇갈리다·다투다·싸우다·치고받다·툭탁거리다·부딪치다·미워하다·싫어하다·으르렁·어지럽다·어수선하다·끓다·들끓다 ← 내란(內亂), 내분(內紛), 내전(內戰), 부부싸움(夫婦-)


모자라다·없다·떨어지다·빠지다·빠뜨리다·비다·빈자리·빈곳·빈구멍·빈구석·적다·줄다·다 팔다·모두 팔다·몽땅 팔다·동나다 ← 결품(欠品·缺品)


결·맛·물·꽃물·꽃빛물·꽃물감·빛·빛깔·빛결·빛기운·빛값·빛나다·빛있다·빛접다·빛살·빛발 ← 색감(色感), 발색(發色)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