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전라도닷컴> 2016년 10월호에 실었습니다. 즐겁게 읽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즐겁게 읽으신 분들은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이나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이나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같은 책도 어여삐 읽어 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__^

. . .


숲에서 짓는 글살림
2. 가을에 기쁘게 짓는 말


  예전에는 누구나 스스로 말을 지어서 썼습니다. ‘예전’이라고 첫머리에 말씀합니다만, 이 ‘예전’은 새마을운동이 생기기 앞서요, 학교라는 곳이 없던 무렵이며, 찻길이나 자동차가 시골 구석까지 드나들지 않던 때를 가리킵니다. 그래서 예전에 누구나 스스로 말을 지어서 쓰던 때라고 한다면, 사람들이 누구나 스스로 삶과 살림을 짓던 때입니다. 돈으로 밥이나 옷이나 집을 사지 않던 때에는, 참말로 사람들 누구나 제 말을 스스로 지어서 썼어요. 학교에서 배우지 않고 어버이와 동무와 언니와 이웃한테서 말을 물려받던 때에는 고장마다 마을마다 집집마다 다 다른 말을 저마다 즐겁고 고우며 정갈하게 썼어요.

  오늘날 시골에서는 시골말이 차츰 밀리거나 사라집니다. 오늘도 즐겁고 예쁘게 고장말을 쓰는 할매와 할배가 많습니다만, 할매와 할배가 아닌 마흔 줄이나 쉰 줄만 되어도 고장말을 드물게 쓰고, 스무 살이나 서른 살 즈음이면 높낮이를 빼고는 고장말이라 하기 어려워요. 열 살 언저리라면 시골에서도 서울말하고 거의 같지요.

  예전에는 ‘외지인(外地人)’ 같은 한자말을 쓰던 시골사람이 없습니다. ‘외지인’ 같은 한자말은 거의 다 일제강점기 무렵 이 땅에 총칼과 군홧발하고 함께 들어왔습니다. 그러면 예전에는 시골사람이 어떤 말을 썼을까요? 바로 ‘손·손님’입니다. 때로는 ‘길손’이라 했고, ‘나그네’라고도 했어요. 도시에서 시골로 왔대서 모두 ‘서울사람’은 아니지만, 시골 할매나 할배는 도시에서 시골로 여행이나 관광을 온 사람을 두고 곧잘 ‘서울 손님’이라 말씀합니다. 이때에 ‘서울’은 인천 옆에 있는 그곳이 아닌 ‘시골하고 멀리 떨어진’ 도시를 두루 가리킵니다.

  한가을을 맞이하여 시골마다 ‘수확’으로 바쁘다고 합니다. 요즈음은 시골에서도 으레 ‘수확’이라고만 합니다. 농협에서도 마을 이장님 방송에서도 읍내에서도 하나같이 ‘수확’입니다. 신문도 방송도 책도 하나같이 ‘수확’ 타령이에요.

  ‘수확(收穫)’은 “1. 익은 농작물을 거두어들임. 또는 거두어들인 농작물 2. 어떤 일을 하여 얻은 성과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러니 ‘거두어들이다’나 ‘거두다’로 손보면 되고, ‘열매’나 ‘보람’으로 손볼 수 있어요.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살피면 “큰 수확을 거두었다” 같은 보기글이 있습니다. “큰 열매를 거두었다”나 “크게 보람이 있었다”로 손보아야 할 텐데, ‘수확 1’가 “거두어들임”을 뜻하기도 하는 만큼 겹말이기도 해요. ‘거두다·거두어들이다’를 쓰기만 해도 넉넉할 텐데, 굳이 한자말을 따로 쓰려 하면서 엉성한 말투까지 나타나지 싶습니다. 그리고 한국말사전에서 ‘거두어들이다’를 찾아보면 “1. 곡식이나 열매 따위를 한데 모으거나 수확하다”로 풀이합니다. ‘수확 = 거두어들이다’로 풀이하면서, ‘거두어들이다 = 수확하다’로 풀이하는 겹말풀이 얼거리입니다. 참 얄궂습니다.

 벼 수확 → 벼베기 / 벼 거두기
 수확의 계절 → 거두는 철 / 거두어들이는 철
 수확을 보다 → 열매를 얻다 / 거두다 / 거두어들이다
 학술회의에서 얻은 수확이 크다 → 학술모임에서 얻은 열매가 크다
 큰 수확을 거두었다 → 크게 거두었다 / 큰 열매를 거두었다
 벼를 수확하다 → 벼를 거두다 / 벼를 거두어들이다

  ‘수확’과 함께 가을에 흔히 듣는 말로 ‘추수’가 있습니다. ‘추수(秋收)’는 “가을에 익은 곡식을 거두어들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에는 “≒ 가을걷이·추가(秋稼)”처럼 비슷한말을 싣는데, ‘가을걷이’는 “= 추수(秋收)”로 풀이하고 ‘추가’도 “= 추수(秋收)”로 풀이해요. 그런데 ‘추가’ 같은 한자말은 쓸 일이 없다고 느낍니다. 그나저나 ‘추수 → 가을걷이’로 말풀이를 바로잡을 노릇이고, ‘가을걷이 = 가을에 익은 곡식을 걷는 일’처럼 말풀이를 고쳐야지 싶습니다. 그리고 ‘추수’는 ‘가을걷이’나 ‘벼베기’로 손질하면 되는데, 벼가 아닌 곡식을 벤다면 ‘밀베기·콩베기·보리베기’처럼 ‘-베기’를 뒷가지로 삼아서 새 낱말을 넉넉히 지어서 쓸 수 있어요.

 추수가 한창인 논 → 벼베기가 한창인 논
 추수를 끝낸 훤한 논밭 → 가을걷이를 끝낸 훤한 논밭
 벼를 추수하다 → 벼를 거두다 / 벼를 베다
 그해 가을에 추수한 햅쌀 → 그해 가을에 거두어들인 햅쌀
 쌀 삼천 석은 너끈히 추수할 → 쌀 삼천 석은 너끈히 거둘
 추수하는 즉시로 → 거두어들이는 대로 / 거두는 대로 곧

  가을에 거두거나 베면 이제 낟알을 떨지요. ‘낟알떨이’라 할 테고, 밤나무 곁에서는 ‘밤떨이’를 해요. 감을 얻으려고 한다면 ‘감떨이’라 할 만합니다. 그런데 낟알을 떠는 일을 놓고도 요새는 ‘타작(打作)’이라는 낱말만 널리 쓰는구나 싶어요. 이런 흐름은 한국말사전에도 이어져서 ‘타작’은 “1. 곡식의 이삭을 떨어서 낟알을 거두는 일 2. =배메기”처럼 풀이하고, ‘바심’은 “= 타작”으로 풀이해요. 오랜 나날 시골사람 삶과 살림하고 함께 흐르던 ‘바심’은 꼬랑지로 처지는 낱말이 되었어요. 이러다가 가뭇없이 사라져 버릴는지 모릅니다. ‘콩바심’도 ‘깨바심’도 ‘조바심’도 시골사람 입이나 손이나 귀에서 차츰 잊혀져요. “조바심을 낸다”로도 쓰는 ‘조바심’은 조를 바심하는 일에서 비롯했어요.

  ‘가을말’을 그려 보고 싶습니다. 가을에 짓는 푸진 가을살림을 헤아리면서 우리가 오늘 새롭게 지을 가을말을 찬찬히 노래해 보고 싶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가을말을 그려 보고 싶어요. 가을에 피는 꽃은 ‘가을꽃’입니다. 가을에 피니 가을꽃일 뿐입니다. 한국말사전에는 ‘추화(秋花)’라는 한자말도 나오는데 구태여 ‘추화’ 같은 낱말은 안 써도 된다고 느낍니다. 봄에 피는 꽃은 ‘봄꽃’일 테지요. 굳이 ‘춘화(春花)’ 같은 말을 안 써도 됩니다. 꽃은 봄가을에만 피지 않기에 ‘여름꽃·겨울꽃’도 있을 텐데, 한국말사전에는 ‘여름꽃’이나 ‘겨울꽃’이라는 낱말이 아직 안 오릅니다. 안타깝습니다.

  여름에 하는 일이라서 ‘여름일’이요, 가을에 하는 일이라서 ‘가을일·갈일’이에요. 시골에서는 여름이나 가을뿐 아니라 봄이나 겨울에도 똑같이 일을 합니다. ‘봄일·겨울일’이 따로 있지요. 그러나 한국말사전에는 ‘봄일’이나 ‘겨울일’ 같은 낱말은 아직 안 실려요. 아리송한 대목입니다.

  우리는 저마다 스스로 즐겁게 노래를 부릅니다. 봄에는 ‘봄노래’요, 가을에는 ‘가을노래’입니다. 일할 적에는 ‘일노래’요, 놀이할 적에는 ‘놀이노래’예요. 들에서는 ‘들노래’이고, 밭에서는 ‘밭노래’예요. 숲이라면 ‘숲노래’요, 바다라면 ‘바다노래’일 테지요. 이처럼 우리 나름대로 부르는 노래는 언제나 노래이니, 홀가분하면서도 즐겁게 ‘-노래’를 뒷가지로 삼아서 쓰면 됩니다. 그래서 살림을 짓는 살림꾼은 ‘살림노래’를 부르고, 서로 아끼는 사랑님은 서로 ‘사랑노래’를 불러요. 글로 이야기를 나누는 벗님이라면 ‘글노래’나 ‘벗님노래’를 부르지요. 손전화 쪽글로 이야기를 나눌 적에도 ‘글노래’예요.

  비록 오늘날에는 뚝 끊어진 노래이지만, 예부터 시골에서는 ‘시골노래’를 부르곤 했어요. ‘농요’가 아닌 ‘시골노래’입니다. ‘노동요’가 아닌 ‘일노래’이고, ‘동요’가 아닌 ‘놀이노래’나 ‘아이노래’예요. ‘민요’라고 하는 이름도 막상 여느 사람들로서는 안 쓰던 말이었으리라 느껴요. 여느 사람들은 ‘요(謠)’가 아닌 그냥 ‘노래’만 불렀을 테니까 말이지요.

  한국말사전에서 ‘한가위’를 찾아보면 “= 추석(秋夕)”으로 풀이합니다. 이는 ‘한가위’보다 ‘추석’이라는 한자말을 쓰라고 하는 말풀이입니다. ‘추석(秋夕)’은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처럼 풀이해요. 아무래도 앞뒤가 바뀌었어요. 이 가을에 우리는 오롯이 기쁜 마음으로 가을말을 새롭게 지을 수 있을까요? 삶과 살림을 손수 지으며 말도 늘 손수 짓던 수수한 시골지기 마음을 이어받아 새롭게 아름다운 가을말을 노래하는 사랑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요? 2016.9.19.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637 : 미리 귀띔



미리 귀띔해 준 것은

→ 귀띔해 주어

→ 미리 일깨워 주어


귀띔 : 상대편이 눈치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슬그머니 일깨워 줌



  미리 일깨워 준대서 ‘귀띔’을 한다고 해요. “미리 귀띔해”는 겹말입니다. ‘귀띔해’라고만 쓰거나, ‘귀띔’ 뜻을 헤아리며 “미리 일깨워”로 손질하면 됩니다. 또는 “미리 알려”나 “미리 속삭여”나 “미리 얘기해”로 손질할 수 있어요. 2016.10.9.해.ㅅㄴㄹ



안톤이 친절하게 미리 귀띔해 준 것은 천만 다행한 일이었다

→ 안톤이 친절하게 귀띔해 주어 아주 고마운 일이었다

→ 안톤이 살뜰하게 미리 일깨워서 매우 잘된 일이었다

《에리히 캐스트너/이희재 옮김-핑크트헨과 안톤》(시공주니어,1995) 3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감수 甘受


 개인의 희생이 감수될 수 있다는 → 개인이 기꺼이 희생될 수 있다는

 많은 고통을 감수한 결과 → 온갖 괴로움을 받아들인 끝에

 어떠한 비난이라도 감수하겠다 → 어떠한 손가락질이라도 받아들이겠다

 어린 나이에 감수하기 어려운 고통 → 어린 나이에 받아들이기 어려운 괴로움


  ‘감수(甘受)’는 “책망이나 괴로움 따위를 달갑게 받아들임”을 가리킨다고 해요. 이러한 뜻풀이처럼 “달갑게 받아들임”이나 “달게 받아들임”이나 “기꺼이 받아들임”이나 “넉넉히 받아들임”으로 손보면 됩니다. 때로는 ‘기꺼이’나 ‘스스럼없이’라는 낱말로 손볼 수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여러 가지 ‘감수’가 나오는데, 굳이 안 써도 될 만하거나 쓰임새가 도무지 없는 한자말이 무척 많구나 싶습니다. 2016.10.9.해.ㅅㄴㄹ



감수(甘水) : 맛이 단 물

감수(水) : 배의 밑바닥에 괴는 물

감수(減水) : 하천이나 호수 따위의 물이 줆. 또는 그 물. ‘물이 줆’으로 순화

감수(減收) : 거두어들이는 것이 줆. ‘수확이 줆’으로 순화

감수(減壽) : 수명이 줆

감수(減數) : 1. 돈이나 물품의 수를 줄임 2. [수학] 어떤 수에서 다른 어떤 수를 뺄 때, 빼려는 수 ≒ 더는수·뺌수

감수(睡) : = 감면(眠)

감수(感受) : 외부의 영향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임

감수(感?) : 고뿔의 빌미

감수(監囚) : [북] 죄인을 잡아 가두고 지킴

감수(監守) : 감독하고 지킴. 또는 그런 일을 맡은 사람

감수(監收) : 절에 딸린 땅을 관리하고 수입을 감독하는 직책

감수(監修) : 책의 저술이나 편찬 따위를 지도하고 감독함



혁명이 농민의 토지 보유를 증대하고 노동자의 주머니를 전보다 두둑하게 해 준다면 인민은 그 상태를 감수할지도 모른다

→ 혁명이 농민한테 땅을 늘리고 노동자한테 주머니를 예전보다 두둑하게 해 준다면 사람들은 그 상태를 달게 받아들일지도 모른다

→ 혁명이 농민한테 땅을 늘리고 노동자한테 주머니를 예전보다 두둑하게 해 준다면 사람들은 그 모습을 기꺼이 받아들일지도 모른다

《톰슨/김재희 옮김-로베스피에르》(신구문화사,1974) 39쪽


어쩌겠습니까, 감수할 것은 감수해야지요

→ 어쩌겠습니까,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여야지요

→ 어쩌겠습니까, 달게 받을 것은 달게 받아야지요

《로알드 달/지혜연 옮김-찰리와 거대한 유리 엘리베이터》(시공주니어,2000) 15쪽


이런저런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사실을 말해​

→ 이런저런 위험을 받아들이면서도 사실을 말해

→ 이런저런 위험에도 스스럼없이 참말을 해

《시이나 카루호/서수진 옮김-너에게 닿기를 5》(대원씨아이,2007) 23쪽


그이가 이를 기꺼이 감수하는 것은

→ 그이가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까닭은

→ 그이가 이를 기꺼이 여기는 까닭은

《안혜령-농부의 밥상》(소나무,2007) 151쪽


그 애들이 진심이 되게 하려면 약간의 희생은 감수해야 해

→ 그 애들이 참된 마음이 되게 하려면 좀 희생이 있어야 해

→ 그 애들이 참마음이 되게 하려면 어느 만큼 희생을 해야 해

《네무 요코/서수진 옮김-일단 지구가 멸망하기 전에 1》(대원씨아이,2013) 18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636 : 달걀을 휘젓는 스크램블드에그



달걀을 휘젓는 스크램블드에그

→ 스크램블드에그

→ 달걀을 휘젓는 부침

→ 달걀휘젓기부침


스크램블드에그(scrambled eggs) : 달걀에 우유를 넣어 버터로 볶은 요리

scrambled eggs : 스크램블드에그 (휘저어 부친 계란 프라이)



  한국말사전에 실린 ‘스크램블드에그’는 달걀에 우유랑 버터를 넣어 볶은 요리라 하고, 영어사전에 실린 ‘scrambled eggs’는 휘저어 부친 계란 프라이라고 합니다. ‘계란 프라이’라고 하는 일본 말투는 ‘달걀부침’을 가리켜요. 그러니 “휘저어 부친 계란 프라이”는 겹말입니다. 아무튼, ‘스크램블드에그’는 보기글에도 나오지만 “달걀을 휘젓는”다고 해요. 그러니 “달걀을 휘젓는 부침”일 테고, 이 모습 그대로 적어 주면 됩니다. “달걀을 휘젓는 스크램블드에그”라는 겹말로 쓰지 않아도 되어요. 더 헤아려 본다면 ‘달걀휘젓기부침’이라는 이름을 새롭게 써 볼 수 있어요. 2016.10.9.해.ㅅㄴㄹ



그래서 달걀을 휘젓는 스크램블드에그라고 하는구나

→ 그래서 달걀을 휘젓는 부침이라고 하는구나

→ 그래서 달걀휘젓기부침이라고 하는구나

《에리히 캐스트너/이희재 옮김-핑크트헨과 안톤》(시공주니어,1995) 3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635 : 내 개인적인 생각



내 개인적인 생각을 쓴

→ 내 생각을 쓴

→ 내 생각을 따로 쓴

→ 내 나름대로 생각을 쓴


개인적(個人的) : 개인에 속하거나 관계되는

개인(個人) : 국가나 사회, 단체 등을 구성하는 낱낱의 사람



  “개인적인 의견”이나 “개인적인 경험”이라고 할 적에는 “어느 한 사람”

을 가리키는데, 이 어느 한 사람이란 바로 ‘나’입니다. 내 뜻을 밝히기에 “내 뜻”이고, 이를 “개인적인 의견”이라 해요. 내가 겪기에 “내 경험”이라 하며, 이를 다시 “개인적인 경험”이라고도 합니다. ‘내’ 이야기를 하면서 ‘내’라고만 하지 않고 한자말 ‘개인적’을 쓰기도 하다 보니 “내 개인적인 생각” 같은 겹말이 나타납니다. ‘개인적인’을 덜면 되는데, 힘주어 말하고 싶다면 꾸밈말을 넣어 “내 생각을 따로”나 “내 나름대로 생각을”로 적어 볼 만합니다. 2016.10.9.해.ㅅㄴㄹ



내 개인적인 생각을 쓴 ‘생각 쪼가리’들은

→ 내 생각을 쓴 ‘생각 쪼가리’들은

→ 내가 따로 쓴 ‘생각 쪼가리’들은

→ 내 나름대로 쓴 ‘생각 쪼가리’들은

《에리히 캐스트너/이희재 옮김-핑크트헨과 안톤》(시공주니어,1995) 1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